태그
옥내소화전설비
부속실 제연설비
전실 제연설비
스프링클러설비
제연구역
가스계 소화설비
거실 제연설비
스프링클러 헤드
예상제연구역
방호구역
방연풍속
수평거리
가압송수장치
수원의 양
화재안전기준
옥내소화전
폐쇄형 헤드
클래퍼
연결송수관설비
표준방사량
차고 주차장
포소화전설비
감지기
기동용수압개폐장치
제연경계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보충량
배출구
방화구획
연결송수관설비 방수구
급기송풍기
호스릴포소화설비
옥내소화전 방수구
건식밸브
옥상수조
제연설비
비상전원
능력단위
Fail Safe
감시제어반
연돌효과
소방시설
고정포방출설비
수동기동방식
부속실
저장용기실
소화농도
Fire plume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압축공기
일제개방밸브
습식 스프링클러설비
도로터널
위험물 제조소
탱크전용실
위험물 취급탱크
포소화설비
고가수조
Trip Time
자동폐쇄장치
옥외탱크저장소
특별피난계단
보행거리
수직거리
자동화재탐지설비
스프링클러
형식승인
수평거리 r 값
프리액션밸브
스프링클러설비 배관
제연경계로 구획
포소화약제
포수용액
유수검지장치
건식스프링클러설비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
방수구
2차측 배관
스프링클러헤드
설계농도
성능위주설계
공간용적
다중이용업소
압력스위치
소화약제
소방용품
아파트
소화기
Preaction Valve
교차회로 방식 감지기
개방형 헤드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설비
후드밸브
동력제어반
수계 소화설비
연결송수관설비 펌프
0.35Mpa 이상
누설량
자동폐쇄장치의 폐쇄력
벽으로 구획
탱크의 내용적
임계풍속
옥내탱크저장소
관포체적
펌프 토출량
정방형 배치
중간챔버
Quick Opening Device
수계소화설비
최고주위온도
표시온도
위험물 제조소등
0.17Mpa
연소하한계
연소범위
심부화재
발화층 및 직상층 우선경보방식
Soaking time
충압펌프
지하층 무창층
무창층
전역방출방식
공장 창고
유증기
지연시간
체크밸브
바닥면적
개구부
지하층
방화문
배출량
공동주택의 화재안전기술기준
건축물의 피난 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연소할 우려가 있는 개구부
가압수조식 가압송수장치
방수구역
교차회로 방식의 감지기
엔진펌프 연료
펌프 성능시험
급수배관
최상층 방수구
개폐밸브
누설틈새 면적
제연구역 출입문
최대차압
급기풍도
제연구역과 옥내
제연경계 폭
공기유입구
위험물 탱크
항공기 격납고
피난연결통로
헤드간 거리
유효살수반경
특수가연물
부속용도
소형소화기
고층건축물
60분방화문
Water Columning
스프링클러 설비
Ta = 0.9Tm – 27.3
소화수조
방유제 용량
펌프설비
거실제연설비
연소상한계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배연설비
자동차압급기댐퍼
방사압력
과압배출구
보유공지
플랩댐퍼
아파트 대피공간
특정소방대상물
성능인증
제트팬
소화펌프
엑츄에이터
송수구
비상구
안전거리
숙박시설
이산화탄소
moc
상수도 직결형 간이스프링클러설비
고정식 소화설비란
대피공간을 설치해야 하는 아파트
하나의 방호구역의 바닥면적
랙크식 창고 스프링클러설비
최소 방호구역의 수
개방형 헤드 설치
규약배관 방식
유수검지장치 설치 장소
유수검지장치실
아파트 기준개수
하나의 방호구역
전동볼밸브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
습식 유수검지장치
스프링클러설비 설치 대상
부압식 스프링클러설비
건식 스프링클러설비
배관 내 사용압력
하젠윌리암스 공식
전동기 동력
전양정
엔진펌프 제어판넬
방수압력 0.17Mpa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
펌프 성능곡선
릴리프밸브
성능시험배관
옥내소화전설비 펌프
옥내소화전설비 방수구
가압수조
물올림장치
기동스위치
최상층 방수구 방수압력
송수압력범위
연결송수관설비 송수구
0.17Mpa 이상
펌프 양정
수직배관
수동기동장치
계단실형 아파트
누설틈새면적
거실유입풍량
급기량
110N 이하
출입문 개방에 필요한 힘
차압범위
자동차압・과압조절형 댐퍼
힝클리 공식
바닥면적 1000㎡ 이하
공동예상제연구역
바닥면적이 400㎡ 이상인 거실
통로인 예상제연구역
통로배출방식
배출량 산정
승강기 승강장
계단실 부속실
위험물 옥내탱크저장소
제품검사
백레이어링 현상
옥내소화전 함
용량이 최대인 탱크
방호대상물
고정포방출구
포헤드설비
포워터스프링클러설비
특수가연물 저장소
기준개수
유효반경
자동소화장치
압력챔버
최대 방수압력
호스릴 옥내소화전설비
최소방수압력
저압식 건식밸브
Priming Water
작동 메카니즘
화재성장속도
체적당 소화약제량
최소산소농도
여유온도
예비전원
가지배관
예비펌프
Interlock System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
방유제
자동기동방식
표면화재
ABC 소화기
Flash Over
Vapor Delay Time
고압식
가스계 소화약제
ASET
RSET
대피공간
계단실
인접구역 상호제연방식
분말 소화약제
마찰손실
선형상수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
skipping 현상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충전비
다이어프램
전기차 배터리
발신기
대각선의 길이
을종방화문
안전밸브
수리계산
주펌프
LFL
지하 주차장
물류창고
소방호스
시험장치
엑셀레이터
샌드위치판넬
공동주택
tab
리튬이온배터리
배터리
제연경계벽
주방
주차장
제연설비는 연기를 제어하는 설비이다.
인천 청라아파트 전기차 화재 교훈
하향식 피난구와 하향식 피난구용 내림식 사다리의 차이
대피공간의 구조
대피공간의 바닥면적
발코니의 바닥에 하향식 피난구를 설치한 경우
감시제어반 전용실의 설치 위치
피난안전구역의 설치 기준
계단실과 부속실 사이에 창문 설치 가능
특별피난계단은 내화구조의 벽으로 구획
소방관 진입창에 설치할 수 있는 유리
비상용승강기 설치 대상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특별피난계단에 설치하는 배연설비 구조
계단 및 경사로에서의 경계구역 설정 방법
화재안전기준에서 성능인증 의무 규정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규약배관 방식이란
캐비닛형 간이스프링클러설비
고정식 소화설비가 아닌 것
소화수조에 저장하여야 할 수원량
스프링클러설비 감시제어반
소방부하 및 비상부하 겸용
소방전용 발전기
자가발전설비 축전지설비 전기저장장치
스프링클러설비 비상전원 종류
스프링클러설비 송수구
압력범위를 표시한 표지 설치
송수구 설치 높이
장방형 헤드 설치
세로열 헤드 수
상향식 헤드를 설치해야 하는 이유
개방형 헤드를 설치하는 이유
스프링클러헤드의 수평거리
스프링클러 헤드 설치 방법
TA = 0.9 TM – 27.3
펌프의 정격토출압력
설치장소의 평상시 최고 주위온도
급수개폐밸브 작동표시 스위치
배관의 호칭경
펌프의 체절압력
스프링클러설비 시험장치
유수검지장치 2차측 배관
동파의 우려가 없는 장소
교차배관의 최소 구경 40mm 이상
교차배관 청소구
스프링클러설비 기준개수
펌프의 정격토출량
무대부에 폐쇄형 헤드 설치
급수배관의 구경
천장과 반자사이 헤드 설치
스프링클러설비의 급수배관
KS D 3562
무대부 개방형 헤드
방호구역과 방수구역의 차이
교차배관
트리형 배관 방식
하나의 방호구역의 면적
옥상수조 자연낙차압
성능시험배관 유량계
스프링클러설비 고가수조
배관의 마찰손실수두
수리계산 방법
마찰손실수두
가압송수장치 정격토출압력
기준개수 적용
수원산정 기준개수
개방형 헤드 수
스프링클러설비 설치장소
헤드 부착 높이
프리액션밸브 개방
슈퍼비조리판넬
급속개방장치
유수검지장치 2차측
수손피해
반응시간지수란
스프링클러 설치 대상
수용인원 100명 이상
델류지밸브
감시제어반 설치 기준
감시제어반 전용실
감시제어반 기능
비상전원 설치장소
Fail Safe 기능
옥내소화전설비 비상전원
비상전원 설치 대상
전기저장장치
상용전원 비상전원
수평거리 25m 이하
토출측 주배관
급수배관이란
소방용 합성수지배관
배관용 탄소강관
1.2Mpa 이상
배관 마찰손실압력
상당길이
수직배관의 구경
펌프 체절압력
펌프 대수분할
펌프 운전점
압력수조의 압력
엔진펌프 배터리
충압펌프 역할
Jockey Pump
동결 우려
학교 공장 창고
펌프 체절운전
순환배관
정격토출압력 65%
정격토출량 150%
정격운전시험
최대운전시험
체절운전시험
펌프 토출측
흡수배관
소방설비 전용수조
유효수량의 1/3 이상
Fail Safe 역할
특수가연물 저장 취급
고정식 소화설비
펌프 직렬 연결
펌프 직렬연결
노즐 선단 방수압력
최대압력
펌프 겸용
펌프 병렬운전
펌프 직렬운전
연결송수관설비 가압송수장치
연결송수관설비 수원
바닥면적 1000㎡ 이상
주배관의 겸용
연결송수관 송수구
송수구 마개
탬퍼스위치
옥외 송수구
방화문 내화시험 방법
Piston Effect
유입공기 배출
배출용 송풍기
자연배출식
기계배출식
수직풍도
KS F 3109 방화문
출입문 면적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
역류누설량
계단실 출입문
직렬경로
여닫이식 창문
방연풍량
엘리베이터 승강장
아파트 제연구역
차압 40pa 이상
지하층 또는 무창층
설치제외
공기유입구 크기
청결층 유지
바닥으로부터 1.5m 이하
배출구 설치 위치
CMH
바닥면적이 400㎡ 미만인 거실
공기유입구 설치
바닥면적이 400㎡ 이상
청결층의 높이
연기 배출량
연기층 하강시간
Hinkley 공식
리타딩챔버
벽으로 구획된 경우
직경 40m 원
청결층 높이
보행중심선의 길이
예상제연구역의 배출량
통로 복도
5/100 이상 10/100 이하
타원형 횡형탱크
허가량 계산
탱크의 허가량
옥내저장탱크
경유 등유
펌프실
소방법령 처벌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 기술기준
판매 진열 공사
법적 의무
방수압력
이동식 소화설비
고정식 포소화설비
이동식 포소화설비
물분무소화설비
일방향터널
양방향터널
차량 주행방향
열폭주 현상
전기차 화재
발화층
방유제 용량 산정
방유제 면적
방유제 높이
위험물 옥외탱크저장소
포수용액의 양
포소화약제의 양
국소방출방식
위험물 안전관리에 관한 세부기준
소화난이도 등급
방호대상물의 표면적
포워터스프링클러헤드
포헤드 개수
헤드의 살수밀도
간이헤드
살수분포시험
살수밀도
무대부
유효거리
살수헤드
0.1Mpa
헤드간 간격
지하구
연소방지설비
개방형헤드
상업용주방자동소화장치
위험물제조소등
설계방호체적
대형소화기
지시압력계
피난방향
Single Risk
고정식소화설비
수원 겸용
최소 방수압력
노즐의 반동력
130ℓ/min
수원겸용
연기 확산
클래퍼 개방
Transit Time
건식스프링클러 설비
60분 방화문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
반응시간지수
ADD RDD
수동식 기동장치
점화원
열방출률
Ultrafast
1055kw
HRR
최대설계농도
방출계수
최소 설계농도
피스톤효과
방유턱
배출설비
On Off
열폭주
질식소화포
전용수조
하향식 헤드
상향식 헤드
살수반경
열류층
허용피난시간
피난설계
피난지연시간
자동소화설비
간막이둑
천장류
청결층
Plug Holing
화재하중
코안다효과
비화재보
소화약제량
코안다 효과
저압식 저장용기
저압식
교차회로 방식
교차회로
수동잠금밸브
Abort Switch
가산량
집합관
모듈러방식
시각경보장치
방출시간
Knock down 효과
방화 증거
아파트 제연설비
제연설비 TAB
Feed Back System
피난안전구역
초고층건축물
기동용 가스용기
호스접결구
블래더 탱크
방염 대상
소방전원 보존형 발전기
소방부하
방재실
형식승인 성능인증
물분무등 소화설비
헤드 표시온도
비상전원 용량
교차회로방식
소방펌프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소방용수
K급 소화기
저장용기
판매시설
배수밸브
공조설비
초고층 건축물
유류화재
유량조절밸브
제어반
피난기구
스프링클러 설치
Fool Proof
UFL
엔진펌프
자동확산소화기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솔레노이드 밸브
방염처리
실내장식물
앵글밸브
영화상영관
화재감지기
RTi
유도등
응축수
소화전함
갑종방화문
연쇄반응
소화설비
니들밸브
시험에서
독성물질
송풍기
유량계
안전구역
방화범
가연성가스
발코니
이물질
메탄
공기조화설비
식용유
전기차
CRT
지하주차장
2차전지
엘리베이터
문제점
인테리어
연기
헤드
스케줄
무창층과 지하층의 거실 제연설비 적용의 예시
거실제연설비의 적용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바닥면적의 합계를 적용하는 방법
바닥면적의 합계가 1천 제곱미터 이상의 경우
설치장소가 지하층 또는 무창층인 경우
거실 제연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지하층 또는 무창층 시설 중 제연설비 설치 대상
운수시설의 경우 모든 층에 거실 제연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
지하층이나 무창층에 설치된 운수시설 제연설비
운수시설 관련하여 해당 부분에 거실 제연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
운수시설에 대한 특정소방대상물 분류
운수시설의 경우 제연설비 설치 대상
제연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운수시설
해당 용도로 사용되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제곱미터 이상
지하층 또는 무창층 바닥면적 합계가 1000제곱미터 이상
판매시설 근린생활시설의 제연설비 설치
영화상영관 중 제연설비 설치 대상
문화 및 집회시설 거실 제연설비 설치 대상
부속실 제연설비 설치 대상
거실 제연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대상
소방시설법 제연설비 설치 대상
제연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대상
거실 제연설비와 부속실 제연설비
부속실 제연설비의 승강장 제연 방식
계단실 또는 부속실 제연 방식
부속실 제연설비의 특징
거실 제연설비의 희석 방식
거실 제연설비의 특징
거실 제연설비에서 연기의 제어 방법
소방법령 연기 제어 방법
공조시스템 hvac 의 실패
공조설비 또는 제연설비의 실패
피스톤효과는 어디에서 발생하는가?
피스톤효과가 발생하는 이유
건물내 연기가 확산되는 요인
연돌효과 stack effect
연기의 하강에 따른 연기 확산
부력에 의한 상승과 공기 팽창
화재시 건물에 연기가 확산되는 원인
화재시 사망에 이르게 되는 원인
화재 연기의 유해 요인
배연 차연 희석 구획화 축연
연기를 제어하는 방법
화재시뮬레이션에서 가시거리의 중요성
연기로 인한 시야의 저하가 가장 문제
연기를 제어해야 하는 이유
연기의 배출과 신선한 공기 공급
연기가 하강하지 않도록 제어
연기가 다른 곳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제어
연기의 제어라는 표현을 쓴 이유
제연설비를 설치하는 목적
제연설비의 역할
거실 제연설비의 용어 정의
거실 제연설비의 역할과 목적
시뮬레이션 시나리오와 수행 결과의 신뢰성 확보
화재 피난 시뮬레이션의 커플링 실시
건축설계안에 대한 passive형 화재위험평가
화재 피난 시뮬레이션 분야
전기자동차 주차구역 충전장소 화재예방대책
소방활동 접근성 분야
건축 피난 방재 분야 성능위주설계 가이드라인
성능위주설계 평가단 운영 방법 및 절차
소방청 가이드라인 2023.12
소방청 성능위주설계 표준 가이드라인 목차
성능위주설계 적용으로 인한 화재안전성능 비교표
소방시설 설치계획 및 설계설명서
성능위주설계 2차심의시 제출 서류
성능위주설계 신고시 제출해야 할 서류 등
성능위주설계의 사전검토 신청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사전검토 신청시 제출해야 할 도서
성능위주설계 평가단 회의를 위한 제출도서
성능위주설계 변경신고 대상 중 소방서에 변경신고 하는 대상
연면적 높이 층수의 변경이 있는 경우 변경신고
건축법에서 경미한 사항은 성능위주설계 변경신고 제외 대상임
건축법에서 규정한 경우 성능위주설계 변경신고 제외 가능
성능위주설게 변경신고 제외 대상
성능위주설계 변경신고를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변경신고를 하지 않아도 되는 대상
면적 변경신고 대상 중 관할소방서에서 처리 가능한 경미한 사항
2차 성능위주설계 신고를 마친 경우
건축허가 신청 전 성능위주설계의 변경
건축허가 완료 후의 성능위주설계 변경
성능위주설계 변경신고에 대한 검토
성능위주설계 변경신고 방법
성능신고설계 대상 중 경미사항에 대한 처리
성능위주설계 변경신고 대상
소방차량 비상동선도 협의 및 제출
성능위주설계업자의 접수 및 결과서 제출
건축허가 완료 후 변경신고 진행 순서도
건축허가 신청 전 신고단계 진행 순서도
건축심의 전 사전 검토단계 진행 순서도
소방청 성능위주설계 평가운영 표준 가이드라인
성능위주설계 평가단 운영절차 순서도
수리여부의 통보
성능위주설계업자의 보완 조치계획 제출 여부
신고 2차심의인 경우의 결과조치
평가단 회의에 따른 보완의견
사전검토 1차심의인 경우의 결과조치
성능위주설계 평가단 회의 참석자
성능위주 평가단의 개의와 의결
성능위주설계에 대한 평가단의 회의 절차 및 결과조치 실무
성능위주설계의 기본 방향과 소방차량의 동선 및 전용구역 배치 협의
성능위주설계업자는 의견에 대한 보완 제출
성능위주설계 자료 제출 및 의견 통보
관할 소방서 방문 및 협의
성능위주설계에 대한 관할 소방서 방문 사전협의
평가단의 검토 절차 실무
성능위주설계에 대한 사전협의 실수
성능위주설계 사전검토 및 신고 운영절차
2차 심의 신고 건축허가 신청 전
성능위주설계 2차 심의
사전검토가 신청된 성능위주설계에 대한 검토 및 평가
사전검토 건축심의 전
성능위주설계 사전검토 1차심의
성능위주설계 운영절차 개괄
성능위주설계 사전검토 및 신고
재검토와 반려의 차이
원안채택과 보완의 차이
수리 및 불수리 방법
평가단의 운영 결과 의결
평가단원에 대한 수당 및 여비 등의 지원
평가단의 의결 정족수
성능위주설계 평가단 구성 인원
평가단의 구성 시기
소방시설 성능위주설계 평가단 운영 방법
임기는 2회에 한하여 연임이 가능
직무와 관련된 비위사실이 있는 경우 평가단원의 해임
평가단원의 회피
평가단원의 기피 신청
평가단원이 심의 및 의결에서 제척되는 경우
성능위주설계 평가단원의 임기
소방서장으로부터 성능위주설계 접수되면
평가단의 위촉
성능위주설계 평가단원의 위촉 제척 해임
평가단원의 임기
성능위주설계 평가 단장
성능위주설계의 당연직 평가단원
평가단원이 될 수 있는 자
성능위주설계 평가단은 50명 이내
성능위주설계 평가단의 역할
성능위주설계 평가단이란?
성능위주설계 평가단의 구성 방법
성능위주설계를 수행하기 위한 조건
전문 소방시설 설계업과 일반 소방시설 설계업의 구분
전문 소방시설 설계업 등록
성능위주설계를 할 수 있는 자의 자격 기술인력 및 자격에 따른 설계범위
성능위주설계는 전문소방시설설계업 등록 필요
성능위주설계 자격요건에 대한 법적 근거
성능위주설계를 할 수 있는 설계자의 자격
성능위주설계를 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범위
층수를 판단할 때 유의사항
성능위주설계의 대상 여부를 판단할 때 적용하는 비고
복합건축물에 해당하는 경우
아파트에 대해 성능위주설계 대상 여부 판단할 때 주의 사항
아파트의 연면적이 20만 제곱미터 이상인 경우
아파트에 대한 성능위주설계의 적용 기준
성능위주설계를 해야 하는 아파트
터널 중 수저터널 또는 길이가 5천미터 이상인 터널
지하연계복합건축물도 성능위주설계 대상이다.
영화상영관의 경우 성능위주설계 대상
특정대상물의 용도에 따른 성능위주설계 대상 여부
층수 및 높이에 따른 성능위주설계 대상
특정소방대상물의 용도에 따른 면적
면적에 따른 성능위주설계 대상 여부
성능위주설계를 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성능위주설계를 통해 건축된 건물이 증축되는 경우
공사 도중 증축 설계를 하는 경우
성능위주로 설계된 건축물이 증축 설계를 하는 경우
기존에 존재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증축
성능위주설계를 적용하는 시점
소방청 발간 소방시설등 성능위주설게 평가운영 표준 가이드라인
성능위주설계 기준
특정소방대상물에 적용하는 성능위주설계
소방시설법에서 말하는 성능위주설계의 정의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 발간 전기차 충전구역 화재예방 매뉴얼
전기차 화재시 화재대응 방법
전기차 화재시 화재 인지 등 확인
전기차 화재시 관리자의 대응 요령
전기차 화재시 단계별 대응방법
전기차량 화재시 신고 피난 대응 요령
서울 소방본부 발간 전기차 주차구역 화재예방 대응 매뉴얼
전기차 화재 서울 대응 매뉴얼
화재시 소방관서 협력 방법
화재시 입주민 피난대피 방법
소방관서 신고시 전달 정보
전기차 화재시 소방관서 신고 등 초기 대응요령
전기차 충전 주차구역 화재예방 대응 매뉴얼
입주민의 전기차 화재시 초기 대응 매뉴얼
서울 소방에서 발간한 전기차 대응 요령
입주민의 전기차 화재시 대응 요령 매뉴얼
전기차 화재시 피난 및 대응 요령
서울특별시 전기차 대응 매뉴얼
전기차 화재예방 및 대응 매뉴얼
전기차 화재 관계자의 대응 절차
전기차 화재시 대응절차 및 방법
공동주택 관리자 대응요령
전기차 화재시 대응요령
아파트 등의 각 동이 주차장으로 서로 연결된 경우
공동주택 화재안전기준에서 스프링클러설비 헤드 기준개수 적용
전기차 전용구역에 헤드 설치시 수원 설치 방법
살수밀도 비교를 통한 최적의 헤드 선정
전기차 주차구역에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할 때 수원 적용 방법
전기차 전용구역의 수원 계산
전기차 전용구역의 스프링클러 헤드 k factor별 살수밀도 비교
주차구역에 살수밀도를 비교하는 방법
k factor 80 헤드를 1.8미터 간격으로 설치한 경우
k factor 115 헤드를 2.5미터 간격으로 설치한 경우
단위 방호면적을 대상으로 살수 밀도 비교
헤드의 k factor에 따라 살수밀도를 비교하는 방법
전기차 전용주차구역에 헤드간 거리 적용 방법
k factor 80 헤드를 사용할 때 살수밀도
전기차 전용구역의 헤드 설치시 살수밀도를 비교하는 방법
스프링클러 헤드의 거리를 1.8m 이상으로 유지하는 이유
k factor 115 헤드의 헤드간 거리와 살수밀도
부산시 전기차 전용주차구역 소방안전가이드
스프링클러헤드의 살수밀도 기준
전기차 전용주차구역의 스프링클러헤드 살수밀도 적용
전기차 전용구역 방출량이 큰 헤드 또는 살수밀도를 높여 계획
전기차 전용구역 스프링클러헤드 사이 간격
경기도 성능위주 가이드라인 전기차 전용구역
부산시 전기차 전용구역 소방안전가이드
서울특별시 성능위주설계 가이드라인 전기자동차 주차구역
소방청 성능위주설계 표준 가이드 라인 전기차 화재예방대책
전기차 전용구역에 스프링클러 헤드 설치 방법
fail safe의 역할
연결송수관설비 급수배관은 어디에 연결되어야 하는가?
연결송수관설비 송수배관을 밸브 1차측에 연결할 경우 문제점
준비작동식 밸브의 개방 실패
연결송수관설비와 관련된 문제점
연결송수관설비 연결 방법
인접한 제연구역 또는 통로에 유입되는 공기를 해당 제연구역에 대한 공기 유입으로 하는 경우
공기유입구가 제연경계보다 더 높이 설치되어 있을 때
해당 구역의 유입풍도에 설치된 댐퍼 자동 폐쇄
공기유입구 설치 방법
인접구역 상호제연방식의 공기유입구 설치 방법
건축법 시행령에서 지하주차장 방화구획의 완화
주차램프 수에 따른 방화구획 적용
최근 지하주차장의 건축 추세
건축법 지하주차장의 방화구획 여부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 특성
서울특별시 성능위주설계 가이드라인에서 지하주차장 방화구획
지하주차장의 방화구획 필요성
인천 청라아파트 전기차 화재
현장에서 습식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지 않으려는 이유
감지기가 필요없는 습식스프링클러설비
습식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 대응성
스프링클러설비가 작동하지 않았던 이유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의 시스템적 문제
전기차 화재와 스프링클러설비 적응성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의 특징
과금형 콘센트의 문제점
램프 주변 또는 da 인근에 전기차 주차구역 설정
외기에 가까운 피난층
직통계단의 출입문 아닌 곳
외기에 개방된 지상
소방안전가이드에서 규정한 주차구역 설치 장소
부산광역시 전기차 전용 주차구역 소방안전가이드
전기차 주차구역 설치 장소
급속 충전시설의 수
친환경자동차법 시행령에서의 급속충전시설 설치 비율
급속충전시설 설치 비율
전기차 전용구역 공공기축시설이란?
공동주택의 전기차 전용구역 설치 비율
전기차 전용 주차구역 의무설치 비율
전기차 전용 주차장을 설치해야 하는 건축물
전기차 전용구역을 설치해야 하는 공동주택
공공건물 및 공중이용시설 등
전기차 전용구역 설치 의무 대상
전기차 전용구역 및 충전시설을 설치해야 하는 대상
환경친화적 자동차 전용구역 설치 대상
원룸형 구조이 주거용 오피스텔에서의 하향식 피난구 설치 방법
소방청 가이드라인 양방향 피난설비 적용
세대 내 하향식 피난구 설치 위치
소규모 주택에서의 하향식 피난구
하향식 피난구 방화구획 방화문 설치
서울 성능위주설계 가이드라인 하향식 피난구
소방청 성능위주설계 표준 가이드라인의 하향식 피난구
피난기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피난기구의 설치 제외 규정
하향식 피난구가 설치된 아파트는 피난기구 설치 면제
아파트 발코니에 설치된 하향식 피난구
하향식 피난구용 내림식 사다리
아파트 하향식 피난구 설치 기준
피난기구의 적용성 표의 문제점
피난기구의 화재안전기술기준
피난기구로서의 적응성
하향식 피난구용 내림식 사다리의 설치 층수
승강식 피난기와 차이점
소방법 하향식 피난구용 내림식 사다리
건축법 하향식 피난구
하향식 피난구를 설치하면 완강기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하향식 피난구는 소방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
하향식 피난구는 소방시설이 아니다
하향식 피난구용 내림식 사다리의 설치 대상 및 설치 층
설치 대상의 차이
하향식 피난구와 하향식 피난구용 내림식 사다리 설치방법 비교
하향식 피난구용 내림식 사다리의 설치 대상
소방법령에 의한 하양식 피난구용 내림식 사다리
하향식 피난구의 설치 대상
하향식 피난구의 설치 층
대피공간을 대체하는 하향식 피난구
건축법령에 의한 하향식 피난구
환기구 작업구 양쪽방향으로 살수헤드 설치
지하구의 화재안전성능기준
연소방지설비 설치 방법
환기구 사이의 간격이 700m 초과할 경우
지하구에 방화벽 설치
피난기구의 화재안전기술기준의 규정
대피실의 면적 및 구조
대피공간의 출입문에 대한 규정
대피공간 60분+ 방화문
하향식 피난구용 내림식 사다리 대피실의 방화문
하강구의 규격과 구조
대피실의 표지 및 표지판
대피실의 출입문 방화문
대피실의 면적
하향식 피난구용 내림식 사다리를 설치한 대피실
피난기구 설치시 여건상 불가피한 경우
설치층에서 피난층까지 연계
피난기구의 설치 경로
하향식 피난구용 내림식사다리 설치 기준
건축법의 하향식 피난구
노약자에게 적합한 피난기구
승강식 피난기의 사용장소
하향식 피난구용 내림식 사다리와 승강식 피난기의 차이점
소방법령 승강식 피난기
소방법령의 하향식 피난구용 내림식 사다리
하양식 피난구 상호간의 수평거리 및 수직거리
하향식 피난구의 덮개 성능 및 크기
아파트에 대피공간을 설치하지 않을 수 있는 경우
대피공간 대체시설인 하향식 피난구
아파트 발코니에 설치하는 하향식 피난구
하향식 피난구 구조
대피공간 대체 가능한 하향식 피난구 설치 기준
대피공간에 냉방장치의 배기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대피공간 출입문 60분+ 방화문
아파트의 대피공간 설치 기준
대피공간에 설치하는 출입문
대피공간의 위치
발코니 등의 구조변경절차 및 설치 기준
대피공간의 출입문 방화문
대피공간 방화구획 처리
대피공간은 바깥의 공기와 접하는 위치에 설치
발코니에 대피공간의 설치
건축법 시행령 대피공간 구조
아파트에 설치하는 대피공간 구조
대피공간과 동일 이상의 성능이 있는 대체시설을 한 경우
발코니의 경게벽에 피난구를 설치한 경우
발코니와 인접세대와의 경계벽이 파괴하기 쉬운 경량구조
대피공간은 어디에 설치하는가
대피공간의 설치 규정
아파트에 대피공간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발코니와 인접 세대와의 경게벽이 파괴하기 쉬운 경량구조인 경우
인접세대로 대피가 가능한 경우 대피공간 설치 여부
대피공간을 설치하지 않을 수 있는 아파트
4층 이상인 아파트 대피공간
아파트 발코니 대피공간이란?
아파트에 설치하는 대피공간
지하주차장으로 연결된 경우 특별피난계단 제외 여부
매 층마다 200제곱미터 이내미다 방화구획된 경우
바닥면적 400제곱미터마다 구획된 경우 특별피난계단의 설치 여부
16층 이상 공동주택의 특별피난계단 설치 여부
특별피난계단 국토교통부 질의회신
특별피난계단 설치 관련 질의회신
특별피난계단 부속실의 전용화
서울시 성능위주설계 가이드라인 변경 이유
제연설비의 차압기능을 통해 연기 유입 방지 기능
상호간 겸용이 가능했던 이유
서울시 가이드라인에서 특별피난계단 부속실과 비상용승강기 승강장의 별도 분리
특별피난계단의 부속실 겸용 규정 변경
서울시 성능위주설계 가이드라인 변경
피난계단과 특별피난계단의 차이
계단실과 건축물 내부 사이에 개구부 설치 금지
특별피난계단에 부속실을 설치해야 하는 이유
특별피난계단에는 노대 또는 부속실 설치
특별피난게단의 설치 기준
복층형 구조의 공동주택에 하향식 피난구 설치 방법
공동주택에 승강식 피난기 및 하향식 피난구용 내림식 사다리 적용
복층형 구조의 공동주택에 비상방송설비의 적용
자동화재탐지설비 경계구역의 적용
복층형 구조의 공동주택에 피난설비 적용 방법
복층형 구조의 공동주택에 경보설비 설치 방법
스프링클러설비의 방호구역은 2개층에 미치지 아니하여야 한다
복층형 구조의 공동주택에서는 하나의 방호구역을 3개층 이내로
복층형 구조의 공동주택에 스프링클러설비의 방호구역 적용
복층형 구조의 공동주택에 옥내소화전설비 방수구 적용
복층형 구조의 공동주택에 소화설비 적용
각 확인회로마다 도통시험 및 작동시험
감시제어반 전용실에서 유지관리해야 하는 기능
감시제어반 전용실에 설치해야 하는 설비
감시제어반 전용실 방화구획
감시제어반 전용실 설치 기준
공동주택 스프링클러설비 감시제어반 전용실 기준
아파트 관리동 경비실에 감시제어반 설치하는 경우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공동주택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에서 감시제어반 위치
물분무소화설비 감시제어반 전용실 위치
공동주택 감시제어반 전용실 위치의 특이점
감시제어반의 기능
감시제어반의 특징
공동주택 스프링클러설비 감시제어반 전용실 위치
방호구역을 예외적으로 설정 가능한 경우
하나의 방호구역은 3개 층에 미치지 아니하여야 한다.
지붕층 설비 및 스카이 브릿지와 관련된 방호구역 설정 방법
스프링클러설비의 방호구역 설정 방법
공동주택에서 스프링클러설비의 방호구역 적용방법
하나의 방호구역의 최대면적
하나의 방호구역이 2개층에 미치지 아니라하는 의미
공동주택에 적용하는 스프링클러설비의 방호구역과 유수검지장치
방호구역이란?
하나의 층에는 하나의 유수검지장치 설치
하나의 유수검지장치로 2개 이상의 층을 담당해서는 안된다.
shadow effect 방지 조치
살수방해가 최소화되는 위치에 헤드 설치
공동주택에 설치하는 헤드가 살수방해를 받는 경우
살수장애로 보지 아니하는 경우
헤드의 살수장애가 없도록 조치
헤드는 반경 60cm 이상의 공간 보유
공동주택에서 스프링클러헤드 설치시 살수방해가 있는 경우
하향식 피난구실
하향식 피난구 설치장소에 스프링클러헤드 설치 여부
하향식 피난구 설치에 관한 규정
하향식 피난구는 대피공간의 대체 기능
대피공간은 화재로부터 안전하다.
대피공간은 별도로 방화구획
대피공간에 헤드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고 규정하는 이유
아파트 대피공간에 스프링클러 헤드 설치여부
하향식 피난구를 설치한 장소
대피공간에는 헤드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는 장소
헤드 설치 제외 규정
건축물에서 헤드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장소
대피공간의 구조 및 요건
공동주택의 대피공간이란
공동주택 대피공간에 스프링클러헤드 설치 제외
창문에서 0.6미터 이내 규정을 지키기 않아도 되는 경우
발코니가 확장되면서 발생한 문제점
조기 개방을 통한 화재 확산 방지
헤드를 0.6미터 이내에 설치해야 하는 이유
창문의 외측면을 기준으로 해야 한다면 발생하는 문제
외벽에 설치된 창문에서 0.6미터 이내
창문과 헤드의 간격은 0.6미터 이내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된 창문과 스프링클러헤드의 간격
창고시설에서 수평거리 적용
아파트 이외의 장소에 적용하는 헤드의 수평거리
수평거리가 3.2m에서 2.6m로 변화된 이유
아파트등에서 적용하는 헤드의 수평거리
헤드의 개수를 설정하는데 필요한 수평거리
헤드의 유효한 살수범위 수평거리
수평거리란?
공동주택에 설치하는 스프링클러헤드의 수평거리
공동주택 대피공간에 스프링클러헤드의 설치 제외 가능
공동주택 발코니에 설치하는 헤드
창문과 헤드와의 거리를 0.6미터 이내로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외벽에 설치된 창문으로부터 0.6미터이내
공동주택 창문과 스프링클러헤드와의 거리
수평거리는 2.6미터 이하
공동주택 스프링클러헤드까지 거리
공동주택 스프링클러헤드 설치 준수사항
아파트 수원산정 헤드 기준개수 10개
기준개수보다 더 적은 헤드가 설치되는 경우
수원 설치 방법에 따른 기준개수 적용의 변화
지하주차장은 기준개수 30개를 적용하는 이유
지하주차장이 있는 경우 기준개수 30개
공동주택에서의 스프링클러설비 기준개수
스프링클러설비 수원 산정을 위한 기준개수 적용
공동주택에 설치하는 스프링클러설비의 수원
호스릴 방식의 옥내소화전 마찰손실 계산
복층형 구조의 공동주택에 옥내소화전 설치
호스릴 방식 옥내소화전설치시 유의사항
호스릴 방식의 장점
호스릴 방식 옥내소화전 설치 이유
공동주택 호스릴 방식의 옥내소화전설비 설치
아파트의 보일러실 소화기 적용
위락시설에 확보해야 할 소화기 능력단위
보일러실에 소화기 적용 여부
보일러실에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경우
아파트 세대 내 보일러실이 방화구획 된 경우
아파트 보일러실에 소화기 추가 배치 여부
공동주택 화재안전 기술기준 소화기구 적용
소화기구 감소기준의 적용
보일러실에 소화기구 적용의 제외
아파트 보일러실에 소화기구 적용 여부
소화기를 설치해야 하는 장소
바닥면적에 따른 능력단위 적용
소화기의 능력단위 적용기준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
공동주택의 화재안전기술기준 용어 정의
아파트 등이란
공동주택의 부속실이란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주배관 및 부속실에 대한 용어의 정의
갓복도식 공동주택이란
아파트 및 기숙사 등이란
공동주택에 대한 정의
피난안전구역에 설치하는 소방시설 설치 기준
고층건축물의 화재안전기술기준에서 정하는 피난안전구역의 소방시설
피낭구역의 설비 중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설비
초고층 재난관리법 시행규칙에서 정하는 기준
피난안전구역 설치 기준
초고층 재난관리법에서 정하는 기준
피난안전구역에 설치하여야 하는 소방시설 및 안전설비
픽토그램을 사용한 시인성 향상
피난안전구역의 접근성 향상 조치
피난안전구역 개구부의 최소화
피난안전구역의 설치 개수
다른 용도로 사용된 실의 출입문은 이중화
피난안전구역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조치
소방시설등 성능위주설계 평가운영 표준 가이드라인
피난안전구역의 안전성 강화 조치
성능위주설계 표준 가이드라인
피난안전구역의 면적과 높이
피난안전구역 급수전 통신시설 배연설비 설치
피난안전구역에 설치해야 할 설비등
비상용 승강기의 승하차
피난안전구역으로 특별피난계단과 연결
피난안전구역의 아래층과 윗층의 구조
피난안전구역의 구조 및 마감
피난안전구역의 구조 및 설비
1개층을 대피공간으로
계단실에 연기 침입 대비 및 확산 방지
특별피난계단을 트랜스퍼구조로 하는 이유
특별피난계단은 트랜스퍼구조
피난안전구역에 기계실 등 설치
특별피난계단의 설치 방법
피난안전구역의 구조
선큰의 연기 제어조치
선큰 차수판 집수정 역류방지기 설치
경사로 너비 1.8미터 이상
직통계단 또는 경사로의 설치
선큰 설치 기준
용도별로 필요한 선큰의 면적
선큰의 면적
선큰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
선큰이란 sunken
지하에 설치하는 선큰 설치 기준
준초고층 건축물에서 피난안전구역 설치 면제 규정
계단 및 계단참의 유효너비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을 설치하는 경우
30층 이상 49층 이하인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피난안전구역을 설치해야 하는 기준
준초고층 건축물에서 피난안전구역 설치
준초고층 건축물이란?
피난안전구역 면적 산정시 거주밀도의 산정
피난안전구역 수용인원의 산정
지하층이 둘 이상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피난안전구역 면적
지하층이 하나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지하층에 설치하는 피난안전구역의 면적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의 용도
초고층 건축물 등의 지하층에 설치하는 피난안전구역 또는 선큰의 면적 산정 방법
문화집회용도인 경우의 재실자 수 산정 방법
피난안전구역 설치 대상 용도에 대한 용도별 건축물의 종류
건축물의 용도에 따른 사용 형태별 재실자 밀도의 적용
피난안전구역 윗층의 재실자 수 산정 방법
지상층 피난안전구역의 면적 산정 기준
피난안전구역의 면적 산정 방법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에서의 피난안전구역 설치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의 피난안전구역 설치
전체 층수의 2분의1에 해당하는 층으로부터 상하 5개층 이내
최대 30개 층마다 1개 이상 피난안전구역 설치
준초고층건축물 피난안전구역 설치
초고층 건축물 등에 피난안전구역 설치 방법
건축물 높이에 산입하는 경우
층수에 산입하지 않는 경우
지표면 간에 고저차가 있는 경우
건축물 높이를 산정하는 기준
건축물 높이 산정 방법
초고층 건축물이 되기 위한 조건
건축물의 층수 및 높이 산정 기준
초고층 건축물이란
층수가 50층 이상 높이가 200미터 이상
고층 건축물과 준초고층 건축물
초고층 건축물의 정의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재난관리에 관한 특별법에서 말하는 초고층 건축물
피난안전구역을 적용해야 하는 초고층 건축물
건축물 내부와는 창문 설치 금지
노대 또는 부속실의 창문 설치 가능성
게단실에 접하는 노대 또는 부속실 사이에 창문 설치 가능
다른 창문과 2미터 이상의 거리
특별피난계단의 창문은 기타의 창문과 2m 이상 이격
외기에 접하는 창문 설치 가능
특별피난계단에 창문 설치 가능한가
비상용승강기 승강장의 구조
공동주택은 부속실과 승강장의 겸용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과 특별피난계단의 부속실 겸용 가능
노대 부속실은 방화구획 후 불연재료로 마감
노대 부속실의 마감
건물 내부와 방화구획
특별피난계단에 설치하는 노대 또는 부속실 구조
특별피난계단의 부속실 면적
부속실에 배연설비 설치 여부
부속실에 창문 설치 여부
특별피난계단에 설치하는 부속실의 구조
부속실 급기가압을 통한 차압 유지
제2차 안전공간 역할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과 부속실
특별피난계단에 설치해야 하는 노대 또는 부속실
특별피난계단의 출입구에 방화문 설치
특별피난계단에 창문 설치 가능성 여부
특별피난계단은 계단실 노대 부속실
특별피난계단의 구성
특별피난계단 설치 기준
판매시설은 두개 이상의 계단이 있을 때 1개소 이상을 특별피난계단으로 설치
거실통로유도등을 설치하는 판매시설
판매시설의 특성
건축법 시행령의 피난계단 설치 규정
판매시설은 직통계단 중 1개소 이상을 특별피난계단으로 설치
지하 3층 이하의 층에 설치하는 계단은 특별피난계단으로 설치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16층 이상부터 특별피난계단 설치
갓복도식 공동주택은 제외
11층 이상인 층에 설치하는 계단은 특별피난계단으로 설치
직통계단을 특별피난계단으로 설치해야 하는 대상
5층 이상인 층의 용도에 따라 피난계단 추가
4층 이하의 층에서는 이용할 수 없도록 하라
피난계단과 특별피난계단의 특이점
바닥면적의 합계가 2천 제곱미터를 넘는 경우
건축물의 5층 이상인 층으로서
직통계단 외에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을 추가해야 하는 대상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으로 설치하는 이유
건축법 시행령 피난계단의 설치
5층 이상인 층의 바닥면적이 200제곱미터 이하인 경우
계단은 제3차 안전구역
5층 이상 또는 지하 2층 이하인 층에 설치하는 직통계단
직통계단을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으로 설치해야 하는 대상
소방관 진입창과 건축물 에너지절약 설계와의 상관관계
골든타임 단축을 위한 소방관 진입창
소방관 진입창 설치 목적
소방관 진입창은 40미터 이내마다 설치
11층 이하의 층에 소방관 진입창 설치
소방관 진입창 설치 기준
소방관 안전진입창의 효용성
기존 유리창에 크러쉬버튼 설치 가능성
소방관 진입창으로 사용되는 crush button
소방관 안전진입 se창이란
크러쉬버튼 소방관 진입창
소방관 진입창 신제품
thk24 로이아르곤 복층유리의 소방관 진입창 가능성
thk22 칼라 복층유리
thk22 로이 복층유리
복층 유리의 규격을 읽는 방법
이중유리 복층유리란
이중유리로서 두께가 24밀리비터 이하인 것
소방관 진입창 복층유리
소방관 진입창으로 사용되는 이중유리
소방관진입창으로 사용될 수 있는 두께
소방관진입창 비산의 위험
소방관진입창 배강도유리
소방관 진입창 강화유리 두께
플로트 판유리 소방관 진입창
소방관 진입창으로 사용되는 유리
소방관 진입창의 바닥으로부터의 높이
소방관 진입창의 크기
붉은 색의 반사형 역삼각형 표시와 타격지점
소방관 진입창에 설치해야 하는 것들
수평거리에 따른 소방관 진입창의 설치
소방관 진압창의 설치 층
소방관 진입창을 설치하는 방법
소방관 진입창의 구조
소방관 진입창의 기준
소방관 진입창 면제 규정
아파트에 설치되는 근린생활시설에 소방관 진입창 설치
별도 건물에 설치된 부대복리시설에서의 소방관 진입창 설치
아파트에 설치되는 판매시설에서 소방관 진입창 설치
아파트에 설치하는 부대복리시설에서의 소방관 진입창 설치
아파트는 소방관 진입창 면제 가능
아파트의 부대시설과 판매시설에서 소방관 진입창 설치 여부
비상용승강기를 설치한 아파트에서의 소방관 진입창 설치 여부
인접세대로 대피가 가능한 아파트
대피공간을 설치한 아파트에서의 소방관 진입창 설치
소방관 진입창 설치 원칙
아파트에서 소방관 진입창 설치
70m 고가사다리차가 도달 가능한 높이
성능위주설계에서 소방관진입창의 적용
비상용승강기가 없는 건축물 대상
2층 이상 11층 이하의 층
소방관 진입창을 설치해야 하는 층
소방관 진입창 층수 적용
소방관서 소방사다리차의 제원
비상용승강기 설치대상과 소방관 진입창의 상관관계
소방관 진입창을 11층 이하로 규정하는 이유
2층 이상 11층 이하의 층에 소방관 진입창 설치
소방관 진입층 설치해야 하는 층수
소방관 진입창을 설치해야 하는 대상
배연기 예비전원
배연기의 설치
배연구는 손으로도 열고 닫을 수 있어야 한다
배연구는 감지기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
배연구의 개폐방식
배연구 및 배연풍도 설치 방법
비상용승강기 승강장에 설치하는 배연설비 구조
소방법령에 의한 제연설비 설치
배연창 또는 배연구를 설치할 수 없는 경우
배연구는 예비전원에 의하여 열 수 있어야 한다
손으로도 열고 닫을 수 있어야 한다.
화재시 자동으로 열려야 한다
배연구의 특징
배연구 설치 기준
배연설비에서 배연구 설치 방법
건축법령에서 말하는 배연구
배연구의 형태
배연창 대신 배연구를 설치하는 이유
배연창 및 배연구의 면적과 수직거리
배연창 및 배연구의 설치 개소
배연창과 배연구의 설치 방법
배연설비에서 말하는 배연구
배연창과 배연구의 차이
배연설비에서 배연구의 설치
배연설비 배연창 유효면적 산정 방법
미들창 유효면적 산정기준
배연창 들창 유효면적 산정
pivot창 유효면적 산정
미서기창 유효면적
배연창의 유효면적 산정 기준
배연창의 형태별 유효면적 산정 기준
거실 바닥면적 20분의 1 이상으로 환기창이 설치된경우
건축물의 설기기준 등에 관한 규칙
환기창이 있는 거실 바닥면적 산정
방화구획이 설치된 경우 바닥면적 산정
배연창 전체 면적의 합게가 바닥면적의 100분의 1 이상
배연창의 유효면적을 산정하는 기준
유효면적은 1제곱미터 이상
배연설비의 배연창 유효면적
거실의 층고가 아닌 천장고 의미
배연창의 하변을 기준
반자 높이가 바닥으로부터 3미터 이상인 경우 배연창 설치 위치
사람이 대피할 수 있는 청결층 확보
배연창의 상변 높이를 규정한 이유
배연창의 상변은 천장 또는 반자로부터 0.9미터 이내
배연창의 상변 높이가 기준
배연설비에서 거실 높이별 배연창의 설치 높이
배연창의 설치 위치
호흡한계선 1.8m
성능위주설계에서의 호흡한계선 높이
성능위주설계의 호흡한계선 높이와 다른 이유
배연창의 설치 높이를 규정하는 이유
방화구획마다 1개소 이상의 배연창 설치
배연설비 배연창의 설치 높이
비상용승강장에 설치하는 배연설비
특별피난계단에 설치하는 배연설비
거실에 설치해야 하는 배연설비 설치기준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 배연설비 설치
거실에 설치하는 배연설비
두가지 배연설비 설치 기준
특별피난계단의 부속실
배연기에 예비전원 설치
배연설비 대신 제연설비 설치
부속실에 배연설비 설치
배연설비를 제연설비로 대체할 수 있는 근거
제연설비의 효과성과 신뢰성
특별피난계단에 부속실을 설치하는 방법
배연설비 대신 제연설비가 설치되는 부속실
특별피난계단 부속실에 배연설비 대신 제연설비가 설치되는 이유
특별피난계단의 부속실에 제연설비 설치
계단실 최상부 배연 등에 유효한 개구부 설치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계단실에 배연설비 설치
부속실이 아닌 계단실에 배연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
배연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장소
건축물 내부와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을 연결하는 방법
특별피난계단에서는 어떤 경우에 배연설비 설치하는가?
특별피난계단에서 배연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장소
특별피난계단에서 배연설비를 설치하는 부속실
공기유입방식을 급기가압방식 또는 급배기방식으로 하는 경우
배연설비 대신 제연설비가 설치되는 이유
배연설비 대신 제연설비 설치 가능 기준
비상용승강기 승강장에 배연설비 설치기준
비상용승강기 승강장에 제연설비가 설치되는 이유
비상용승강기 승강장에 배연설비가 설치되지 않는 이유
소방법령에 의한 제연설비 설치시 배연설비 설치 면제
피난용승강기의 승강로에 배연설비를 설치하라고 규정한 이유
피난용승강기의 승강로 배연설비 설치
피난용승강기의 승강장 배연설비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 배연설비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계단실 배연설비
개별 법령에 따라 배연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장소
6층 이상인 건축물로서 배연설비 설치 대상
건축법 시행령에서 배연설비 설치 대상 규정
건축법령에서 배연설비 설치 대상 규정
건축법령에 의한 배연설비 설치 대상
차압센서 DPT 설치
과압해소조치를 위한 릴리프댐퍼 설치
과압방지를 위한 플램댐퍼 설치
제연설비의 가변풍량방식
제연설비에서 인버터 제어방식
일반 댐퍼방식과 복합댐퍼 방식의 차이
복합댐퍼를 사용하는 방식
제연구역의 과압방지조치 방법
화재감지기와 연동하여 폐쇄
다중이용업소 출입문을 자동문으로 설치 가능 여부
다중이용업소 출입문을 슬라이딩도어로 설치 가능?
다중이용업소 비상구의 출입문을 슬라이딩 도어로 설치 가능?
방화구획을 위한 방화문
다중이용업소의 출입문
갑종방화문 60분 방화문
시험 또는 공학적 자료로 입증
과압을 방지할 수 있는 조치란?
제연구역에 과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조치
화재안전기술기준의 변화 24.4.1
변경된 화재안전기술기준
과압이 발생하면 안되는 이유
부속실 제연설비의 과압방지조치
출입문의 개방에 필요한 힘 110N 이상
출입문의 폐쇄로 인한 순간적 과압 발생
어느 정도의 압력이 과압인가?
특별피난계단의 부속실에서 과압이 발생하는 이유
제연구역에 과압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경계구역 설정시 지상층에 포함하여 설정하는 이유
지하층이 하나이면 지상층에 포함하여 설정
지하층의 계단과 경사로는 별도의 경계구역을 설정하는 이유
지하층의 게단 및 경사로에서 경계구역을 설정하는 워칙
지하층이라도 지상층에 포함시켜 설정
게단 및 경사로 지하층이 한개층만 있는 경우 경계구역 설정 방법
계단과 경사로는 지하층의 경우 별도로 경계구역을 설정하는 이유
지하층에 위치한 계단 및 경사로 경계구역 설정
실무에서 운영하는 방법
지하층이 있어도 별도의 경계구역으로 설정하지 않는 이유
모든 수직공간의 지하층은 별도 경계구역인가?
수직공간의 지하층 경계구역 설정
지하층의 경우에는 별도로 경계구역 설정 이유
자동화재탐지설비 경계구역 설정 방법
소방시설의 무용지물
피난에 장애 발생
전 층에 경보
소방시설의 신뢰성에 문제
수신기에서만 경종이 울린다.
경계구역을 나누지 않았을때 발생하는 문제
계단 및 경사로에서 높이에 따라 경계구역을 나누지 않는다면
자동화재탐지설비에서 수직 경계구역의 특징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경계구역 설정
연기가 부딪히는 계단참에 감지기 설치 가능
높이 45m마다 별도로 경계구역을 나눈 이유
수직 공간의 경계구역 설정 방법
계단 및 경사로에서는 45m마다 경계구역 구분 설정
지하층의 층수가 한개층만 있는 경우 경계구역 설정 방법
지하층의 계단과 경사로는 별도의 방화구획 설정
수직 공간은 별도의 경계구역 설정
수직 관통부분의 방화구획
건축물에서 수직으로 구획된 곳
수직 구획된 곳에 대한 자동화재탐지설비 경계구역 설정
분포형 감지기
아날로식 및 주소형 감지기
성능인증받은 경우 별도의 경계구역 설정
한변의 길이를 적용하는 방법
경계구역 형태에 따른 한 변의 길이 적용
한 변의 길이는 50m 이하
경계구역의 면적에 포함해야 하는 사항
벽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면적 산정
경계구역 면적 산정 방법
경계구역 설정시 검토할 사항
자동소화설비의 방호구역과 동일하게 설정
경계구역 면적에 산입하지 않는 경우
경계구역 선정시 다르게 적용하는 사항
수직적으로 구획하여 설정
방화구획에 맞추어 설정
수평적으로 구획하여 설정
하나의 건축물 기준 산정
경계구역 설정 기본 원칙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경계구역 설정 방법
드라이펜던트 헤드 유리벌브형 색깔 온도
Dry Pendent Head란
회향식 배관 형태
드라이펜던트 헤드 설치 이유
드라이펜던트 헤드를 사용하는 이유
유리벌브형 드라이펜던트 헤드
드라이펜던트 헤드 설치시 주의할 사항
드라이펜던트 헤드란
살수장애가 있는 곳에 하향식 헤드를 설치할 때
드라이펜던트 헤드를 설치해야 하는 상황
하향식 헤드를 설치할 수 있는 경우
겨울철 동결 또는 동파 문제
헤드의 설치 방향에 따른 소화수의 존재
습식스프링클러설비 외의 설비에 설치하는 헤드
드라이펜던트 헤드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
보의 넓이가 1.2m를 초과하는 경우 간이헤드 설치 방법
보의 중심에서 헤드까지의 거리가 상호간 거리의 1/2 이하인 경우
보의 길이가 55cm 이하인 경우
보 근처에서는 헤드 설치 높이가 달라지는 이유
보와 가까운 간이헤드 설치 방법
보에 의해 살수장애
보가 있는 경우 간이헤드 설치 방법
옥내소화전 호스접결구 인입측에 감압변 설치
방수압력을 0.7MPa 이하로 제한하는 이유
옥내소화전 노즐의 반동력 공식
옥내소화전 방수압력을 0.7MPa 이하로 규정한 이유
옥내소화전 방수압력 0.7MPa 이하로 감압하는 방법
플러쉬형 헤드는 최소 거리 기준이 없는 이유
플러쉬형 헤드의 설치 거리
일반 간이헤드보다 측벽형 간이헤드 설치 높이가 더 낮은 이유
측벽형 간이헤드 설치 높이
천장 또는 반자에서 간이헤드 설치 거리
상향식 하향식 간이헤드
간이스프링클러설비 간이헤드 수직 설치거리
간이헤드 사이의 간격 S
각 부분과 하나의 간이헤드까지의 수평거리
간이헤드의 수평거리 r 값
간이헤드의 공칭작동온도
주방과 같이 온도가 높아지는 장소
실내 최대 주위 천장온도 기준
간이헤드 작동온도
간이스프링클러설비 간이헤드 설치 방법
대형소화기와 소형소화기를 구분하는 기준
임시소방시설 중 간이소화장치
대형소화기와 소형소화기의 구분
대형소화기 설치 감소 기준
자동차에 소화기를 설치해야 하는 규정
자동차용 소화기가 별도로 있는가?
자동차에서 사용 가능한 소화기
자동차에도 소화기를 설치해야 하는가?
자동차 소화기 설치 의무
소화기 설치개수 산정 방법
부속용도별로 추가해야 하는 소화기 수
대형소화기 설치 감소
다중이용업소에 소화기 설치 기준
용도별 소화기의 능력단위 산정
주방에 연소기기가 있는 경우 소화기 산정 방법
음식점 주방에 소화기 배치 방법
주방에 자동확산소화기 설치
소화기 배치기준
소화기구의 능력단위 산정
부속용도별로 소화기 추가
소화기의 산정기준과 배치기준
소화기 개수 산정하는 방법
출입문 있는 경우 보행거리 산정
소방시설에서 적용하는 Fail Safe와 Fool Proof
소방시설에서 Fail Safe를 적용한 것
소방시설에서 Fool Proof를 적용한 것
Fire Ball은 왜 둥그런 공 모양일까?
BLEVE와 Fire Ball의 공통점과 차이점
Fire Ball 발생 원리
UVCE란
Fire Ball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방화문 내화시험 차염성 평가
차열성 차염성
대형공간에서 방수구 설치 방법
대형공간에 설치하는 방수구의 높이
대형공간에서 옥내소화전 함 설치 방법
상용전원 비상전원 예비전원의 구분
옥내소화전 운영을 위한 비상전원 확보 시간
옥내소화전설비 감시제어반 기능
펌프 자동기동을 위한 점검순서
감시제어반에서 펌프 수동 설정
동력제어반에서 펌프 수동설정
옥내소화전설비 사용전원 및 비상전원
옥내소화전설비 내화배선으로 설치해야 하는 곳
배선에 사용되는 전선의 종류 및 공사방법
물류창고 성능위주설계 대상
성능위주설계대상의 변경
성능위주설계 대상의 확대 적용
해저터널 및 5천미터 이상의 터널 성능위주설계대상
지하주차장에 방화구획 미적용
지하주차장에는 제연설비가 없다
아파트 지하주차장은 방화구획 제외
아파트 지하주차장에 설치되는 소방시설
교차회로 방식의 감지기 확인
건물 리모델링에 따른 소방법령 적용의 변화
건물 리모델링시 주의할 점
숙박시설에 거실 제연설비
숙박시설이 보다 안전해 지기 위한 조치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방화셔터 근처 출입문
일체형 방화셔터 사용 금지
방화구획이란?
갑종방화문을 설치한 출입구
방화셔터 3미터이내 출입문 설치
성능인증은 강제제도가 아니다.
형식승인을 받지 않은 경우 벌칙
성능인증 후 제품검사는 의무
성능인증은 받지 않아도 벌칙이 없다
제품검사의 의의
제품검사는 의무적인가?
성능인증과 제품검사 상관관계
제품검사 미이행 벌칙
합격표시 미부착시 벌칙
성능인증과 제품검사 의무화 대상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 의무 규정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 의무 대상
성능인증 대상 소방용품
옥내소화전 세차 처벌
옥내소화전을 사용하면 누가 처벌 받는가?
소방시설을 개인 목적으로 사용할 때 처벌?
옥내소화전 무단 사용시 처벌
옥내소화전으로 개인 차량 세차 가능?
소방시설 개인 목적 사용 가능한가?
옥내소화전을 사용해도 되는지 여부
옥내소화전을 개인 목적으로 사용 가능한지?
소방용수시설 무단사용 벌칙
소방시설 무단 사용하면 어떤 벌칙?
간이헤드를 폐쇄형으로 설치하는 이유
간이헤드는 폐쇄형으로 것으로 설치
간이스프링클러설비에서 설치하는 간이헤드
주차장에는 표준반응형 헤드를 설치하는 이유
용도변경으로 간이헤드를 설치하는 경우 주차장
주차장에 표준반응형 스프링클러헤드 설치
기후변화 원인 온실가스
가스계 소화설비 제1세대 소화약제
친환경 소화약제의 구비조건
지구온난화지수 오존층 파괴지수
이산화탄소 분사헤드 설치 제외 장소
가스계 소화설비를 설치하지 말아야 할 곳
가스계 소화설비 설치 방식
호스릴 설비 설치 가능 장소
소화약제 방출에 따른 실내 압력 변화
최소 개방압력의 중요성
과압 배출구 면적 산정
과압 배출구 설치시 고려할 사항
가스계 소화설비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량 계산 기준
체적에 따른 방출계수는 설계농도와 관련
방호구역의 체적이 작을 수록 체적당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량이 많아지는 이유
개구부에 대한 가산량 산정
표면화재에 대한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량 계산 공식 원리
방호구역의 실내 최저온도를 30도로 설정한 이유
자유유출 공식 사용
선형상수 값이 0.56m^3/kg인 이유
할론 1301 소화약제 비체적
최저예상온도를 25도로 정한 이유
할론 1301 체적당 소화약제량이 정해지는 원리
할론 소화설비는 무유출 방식
오존층 보호를 위한 할론소화약제 생산 금지
할론 소화설비가 할로겐 화합물 소화설비로 변화된 배경
가스계 소화설비 임계온도를 알아야 하는 이유
소화약제량 측정 방법
소화약제 저장용기실의 온도
배관 내 2상계 흐름
방지새설 부하를 소방부하로 볼 것인가
비상발전기 용량 산정을 위한 소방부하와 비상부하
60분 방화문과 30분 방화문 설치대상의 차이
갑종방화문을 설치해야 하는 장소
60분 방화문을 설치해야 하는 장소
30분 방화문을 설치할 수 있는 장소
염화칼슘의 특징
겨울철 눈 덮인 도로에 염화칼슘
염화칼슘이 차에 미치는 영향
도로에 염화칼슘을 뿌리는 이유
핫팩이 빨리 뜨거워지는 이유
핫팩의 비닐을 벗겨야 뜨거워지는 이유
핫팩 재사용이 가능한가
유류를 사용한 방화로 판단하는 방법
사람의 상태를 보고 방화여부 판단
방화를 판단하는 정황증거
일회용 가스라이터에 부탄을 사용하는 이유
코안다 효과에 의해 화재 확대
화재가 상층으로 확대되는 원인
발코니확장의 위험성
아파트는 옆 세대로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
아파트 화재시 집에 머물러라
화재시 엘리베이터를 타면 안되는 이유
계단에 연기가 가득차면
연돌효과에 의한 질식
물류창고의 화재 특성
물류창고 화재진압이 어려운 이유
물류창고의 화재하중
물류창고는 심부화재 특성
스프링클러 헤드가 동작하는 시점의 열방출률
T자승 Fire는 1MW를 기준으로 하는 이유
1MW를 기준으로 하는 이유
BLEVE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하려면
BLEVE 현상 발생 매커니즘
BLEVE 현상 이란
차압 설정의 필요성
차압이 유효하게 설정되기 위해서
차압을 설정해야 하는 이유
제연구역에 설정되어야 하는 차압
계단실과 부속실 사이의 차압
110N과 자동폐쇄장치 폐쇄력과의 상관관계
110N 이하가 되기 위한 조건
차압으로 규정하지 않고 110N 이하로 규정하는 이유
출입문 개방 110N 이하가 되기 위한 부속실 차압 크기
110N 이하가 되기 위한 부속실의 차압 크기
출입문을 개방하는 힘 110N 이하
110N 이하로 문을 개방할 수 있는 내부 차압
110N 이하가 되도록 하는 차압 70Pa
부속실 제연설비의 110N
이물질을 막기 위한 마개
자동배수밸브 체크밸브
연결배관의 개폐밸브
송수구 주변의 밸브 설치 기준
유리창이나 낙하물
소방차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
간이스프링클러 송수구 설치 기준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송수구
송수구를 강제하지 않는 이유
설치되는 간이 스프링클러설비의 종류
다중이용업소법 시행령에서 규정하는 대상
간이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되는 다중이용업소
송수구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는 경우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수계소화설비
송수구의 필요성 역할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송수구 설치
캐비닛형 비상전원 축전지
펌프를 이용한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시험밸브 2개 설치하는 이유
사수도 직결형 배관 및 밸브 설치 순서
급수차단장치 설치
압력계의 설치 위치
간이스프링클러설비 배관 및 밸브 설치 순서
가압송수장치의 방수압력 기준
수리계산 방식이란
캐비닛형 및 상수도 직결형
간이헤드를 반자 아래와 위에 병설하는 경우
방호구역의 최대 면적
규약배관 방식 배관의 구경과 간이헤드 수
구경에 따른 헤드수 규격화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급수배관 구경 산정 방법
수도배관 호칭지름 32mm 이상
개폐표시형 개폐밸브 설치
상수도 직결형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급수배관
급수배관은 전용으로 한다.
급수배관으로 보지 않는 것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급수배관
송수구의 급수배관은 유수검지장치 이후로 연결해도
송수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은 예외
고가수조는 일정 낙차 필요
소화수가 통과
유수검지장치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
화재가 발생했다는 사실의 통보
유수검지장치 존재 이유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유수검지장치의 역할
사람이 점검 및 작동 가능한 출입문 설치
유수검지장치의 설치 높이
유수검지장치 설치장소에 대한 기준
하나의 방호구역이 다수의 층으로 설정된 경우
방호구역마다 유수검지장치 설치
유수검지장치의 설치 위치
유수검지장치 하나가 담당할 수 있는 최대 면적
간이스프링클러설비 방호구역에 유수검지장치 설치
하나의 건물에서 방호구역의 설정
하나의 층에 설치된 간이헤드의 합이 10개 이상인 경우
간이스프링클러 설비 특징
간이헤드 수가 10개 이하라는 의미
하나의 층에서 방호구역의 설정
소규모의 대상
2채 층에 미치지 않을 것
간이스프링클러설비 하나의 방호구역 범위
바닥면적이라고 규정하는 이유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방호구역은 바닥면적을 기준으로 한다
하나의 방호구역의 바닥면적을 1천제곱미터 미만으로 규정하는 이유
근린생활시설과 복합건축물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방호구역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설치 대상 중 기준이 강화되는 대상
모든 층에 설치
주택의 용도와 함께 있는 복합건축물
근린생활시설 바닥면저긔 합계
강화되어 적용되는 기준들
기준이 강화되어 적용되는 대상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설치 대상 중 강화된 대상
적용을 제한하는 이유
적용할 수 없는 설비
비상전원의 용량이 다르다.
20분 이상 방수할 수 있어야
주차장의 기준개수 5개
가압송수장치의 분당 토출량
기준개수가 5개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설치 대상 중 강화된 기준을 적둉해야 하는 경우
강화된 기준을 적용해야 하는 간이스프링클러 설치 대상
다중이용업소에 설치하는 캐비닛형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주차장에 이미 자동소화설비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캐비닛형 간이스프링클러설비는 어떤 곳에 설치하는가
주차장이 존재하면 캐비닛형 간이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할 수 없다.
캐비닛형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문제점
캐비닛형 간이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할 수 없는 이유
캐비닛형 간이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할 수 있는 곳
캐비닛형 간이스프링클러설비란
주용도 기준개수에 따른 수원의 양 변화
수원의 양은 주차장을 기준으로 적용
저장해야 하는 수원의 양 변화
주차장에는 표준반응형 헤드 사용
펌프의 분당 토출량 변화
기준개수가 5개인 경우
기준개수가 2개인 경우
간이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는 주차장에 기준개수의 적용
주차장에 간이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할 때 주의할 점
하나의 건물에 기준개수가 다른 대상이 존재하는 경우
주차장에 적용해야 하는 기준개수
건물내 주차장으로 사용되는 면적이 200㎡ 미만인 경우
차고 또는 주차장이 200㎡ 이상
주차장에는 어떤 경우에 간이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는가?
주차장은 부속용도
주차장에 간이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기준개수
급수배관은 32mm 이상의 배관 사용
상수도 배관이 32mm 미만인 경우
급수배관의 특이성
상수도 직결형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제어반
제어반의 특이성
체크밸브 이후의 압력을 측정
상수도 직결형의 특이성
압력계 설치위치의 특이성
수원 및 방수압력의 특이성
상수도 직결형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구성 특이점
2개의 시험밸브
압력계를 체크밸브 이후에 설치하는 이유
급수차단장치
상수도 직결형 배관에 밸브 등 설치 순서
규모는 작으나 위험한 용도
기존의 건물에 소급적용
상수도직결형 간이스프링클러설비가 탄생한 배경
상수도 직결형 간이스프링클러설비란
플러그홀링 현상 발생
제연경계가 0.6m인 이유
제연경계와 수직거리
수직거리는 낮아져도 되는가
Wall Jet 흐름 유도
공식에서 0.1의 의미
압력수조가 갖추어야 할 압력
압력을 구하기 위한 공식
압력수조를 설치한 간이스프링클러설비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압력수조
간이스프링클러설비 고가수조
최소방수압력 0.1MPa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자연낙차 수두
고가수조방식 필요한 낙차
충압펌프를 설치하지 않는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캐비닛형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충압펌프
주펌프는 전동기에 따른 펌프를 설치하도록 하는 이유
전동기 또는 내연기관에 따른 펌프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충압펌프
스프링클러설비의 충압펌프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주펌프
스프링클러설비의 주펌프
가압송수장치의 정격토출압과 같게
기동용수압개폐장치의 압력스위치
자연낙차압을 측정하는 기준점
자연낙차압보다 0.2MPa이 더 커야 하는 이유
최고위 살수장치의 자연압보다 0.2MPa 이상
간이스프링클러설비 Jockey Pump 토출압력
간이스프링클러 충압펌프의 토출압력
캐비닛형 간이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되는 곳의 특징
캐비닛형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충압펌프 면제
충압펌프를 설치해야 하는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충압펌프의 역할
충압펌프란
Jockey pump 간이스프링클러섥비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충압펌프
1pa은 얼마의 압력
출입문에 가해지는 힘 110N
뉴턴 N 이라는 단위의 이해
40pa은 얼마의 압력인가
110N은 얼마의 힘인가?
간이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되는 특정소방대상물에 부설된 주차장
방수압력은 0.1MPa 이상 방수량은 80ℓ/min 이상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설치 대상의 주차장
표준반응형 헤드의 방수압력과 방수량
주차장에 설치하여야 하는 표준반응형 스프링클러헤드
표준반응형헤드의 방수압력 및 방수량
간이헤드 방수량은 50ℓ/min 이상
간이헤드 방수압력은 0.1MPa 이상
간이헤드의 방수압력 및 방수량
표준반응형헤드를 설치해야 하는 주차장
간이스프링클러설비에 설치되는 헤드의 종류
간이스프링클러설비에 설치되는 헤드의 방수압력 방수량
주차장은 강화된 기준을 적용하는 이유
주차장에 설치하는 표준반응형 스프링클러헤드
가장 먼 가지배관의 간이헤드 선단
방수압력의 측정장소
방수량은 50ℓ/min 이상
간이헤드 선단에서 0.1MPa 이상
간이헤드 선단에서의 방수압력
간이스프링클러 방수압력의 기준
간이스프링클러설비 가압송수장치의 방수압력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소화수조의 특성
소화수의 빠른 재충전 필요
소방대 도착 전 소화용수 고갈 우려
수조의 크기와 저장장이 작다.
소화수조의 수량이 빨리 소진되는 특성
동결의 우려가 있다.
수조가 사후에 설치되는 특성
간이스프링클러 수조는 별도로 설치되는 특성
간이스프링클러설비용 소화수조 유의사항
소화수조 접속배관에 대한 표지
배수관 및 배수밸브의 설치
소화수조 내부의 이물질 제거 조치
소화수조에 조명설비 설치
수위계 및 고정사다리 설치
점검에 편리하고 동결의 우려가 없는 곳
소화수조의 설치 장소
간이스프링클러설비용 수조의 설치기준
간이스프링클러설비와 일반 급수설비의 수조와 겸용
간이스프링클러설비는 자동소화설비이다.
캐비닛형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수원
소화설비의 전용수조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지 않는 소규모 대상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수원 설치 방법
20분이 아닌 10분을 규정하고 있는 이유
5개 이상의 간이헤드에서 20분을 규정하는 이유
2개 이상의 간이헤드에서 10분인 이유
수원에 자동급수장치
수조를 설치하는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상수도 직결형
간이스프링클러설비에서 확보해야 하는 수원
무창층에 적용하는 스프링클러설비의 기준
밀폐구조 영업장 여부 판단
무창층 여부 판단
개구부 면적 합계와 바닥면적의 합계 비교
다중이용업소법의 밀폐구조의 영업장
소방시설법에서 무창층이란
소방시설법과 다중이용업소법 차이
개구부 면적에 따른 무창층과 밀폐구조의 영업장 비교
자연낙차압의 측정점
최고위 호스ㅜ접결구의 자연압을 기준으로 한 이유
충압펌프의 토출압력이 자연낙차압보다 0.2Mpa 더 커야 하는 이유
충압펌프 기동점은 자연낙차압보다 높아야
최고위 호스접결구의 자연압보다 0.2Mpa 더 크게
개구부의 면적과 바닥면적과의 상관관계
소방시설법에서 말하는 무창층
밀폐구조의 영업장에 대한 기준
밀폐구조의 영업장이란
밀폐구조의 영업장의 예
간이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밀폐구조의 영업장
간이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다중이용업소
다중이용업소법에서 간이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대상
지상 1층 또는 지상과 맞닿아 있는 층
영업장의 출입구가 지면과 직접 연결된 경우
산후조리업과 고시원업 영업장 특례
숙박 제공 또는 밀폐구조의 영업장
다중이용업소법에서 정하는 간인스프링클설비 설치 대상
간이스플이클러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다중이용업소
스프링클러설비를 전 층에 설치하게 하는 이유
대피곤란성 반영
정신의료기관 또는 의료재활시설
창살이 설치된 의료기관
의료시설 바닥면적의 합계 600 제곱미터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설치 대상 의료시설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의료시설
의료시설에서 스프링클러설비와 간이스프링클러설비 대상을 구분하는 기준
체절운전이 발생하면 수온 상승
소화펌프의 체절운전이란
수온 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순환배관 설치
릴리프밸브는 체절압력 이하에서 작동
펌프 정격토출량의 175% 이상이라고 규정한 이유
순환배관에 설치하는 릴리프밸브의 작동 압력
성능시험배관에 설치하는 유량측정장치의 성능
릴리프밸브의 작동압력 설정
플러그홀링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
플러그 홀링 예방방안
플러그 홀링 현상이 미치는 영향
플러그 홀링 현상이란
조산원 및 산후조리원으로서 연면적 600 미만
의원 치과의원 한의원 으로서 입원실이 있는 곳
장애인 의료재활시설
병원과 정신의료기관
근린생활시설 중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설치 대상
의료시설 중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설치 대상
간이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의료시설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의료시설
간이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간이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는 곳의 특징
간이스플이클러설비의 종류
간이스프링클러란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종류 및 설치대상
소화설비의 송수구를 겸용한다는 의미
송수구 설치개수에 대한 제한
송수압력범위 표시한 표지 설치
쌍구형의 송수구
연결배관에 개폐밸브 설치
스프링클러 송수구 설치기준을 따르는 이유
스프링클러설비 송수구 설치기준에 따른다.
소화설비 송수구 겸용 설치
소화펌프 토출측 배관의 연결배관에 개폐표시형 밸브 설치
급수용 펌프 토출측 배관의 연결배관에 개폐표시형 밸브 설치
개폐표시형 밸브의 설치
토출측 배관의 겸용시 조치할 사항
펌프가 병렬일때 방수압력과 방수량의 변화
토출측 배관을 겸용하는 경우 변화
토출측 배관의 상호 겸용
소화설비의 토출측 배관과 일반 급수설비의 토출측 배관 겸용
발화층 및 직상층 우선경보방식을 적용하는 이유
고층건축물의 우선경보방식
층수에 따른 우선경보방식 적용여부
발화층에 따라 경보하는 층을 달리하여 경보
층수 11층 이상 대상 여부
전양정이 가장 큰 설비를 기준으로 산정
펌프 토출압력은 합산하여 설치하지 않는 이유
펌프 겸용시 펌프의 토출압력
고정식 소화설비의 판단
다수의 소화설비가 설치된 경우 토출량 산정
펌프 토출량 산정 방법
소화섫비 펌프 겸용
고정식 소화설비 여부
소화설비를 겸용하는 경우 수원량 산정
스프링클러설비에 필요한 수원량
다수의 소화설비가 설치된 경우 수원량 산정 방법
옥내소화전설비 옥외소화전설비
고정식 소화설비가 아닌 것은 합산하여 저장하는 이유
고정식 소화설비 중 용량이 가장 큰 것
수원의 저장 방법
소화설비의 수원 겸용
고정식 소화설비 중 최대의 것 이상
옥내소화전은 고정식 소화설비인가
방화벽 방화문으로 구분
고정식 소화설비가 2개 이상 설치
수원 겸용 특례를 적용받기 위한 조건
수원겸용 특례 적용
스프링클러설비의 수원 겸용 설치
겸용으로 설치할 경우 수원의 양
스프링클러설비의 수원과 겸용이 가능한 수원
겸용으로 설치한다는 의미
다른 소화설비의 수원과 겸용 설치
소화설비의 수원은 전용으로 설치
스프링클러설비 수원의 겸용
일반 급수설비와 수원의 겸용
소화설비용 수원의 산정 방법
스프링클러설비의 개방형 헤드
연소할 우려가 있는 개구부에 헤드 설치 기준
드렌처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장단점
드렌처설비를 설치하는 이유
드렌처 개방형 헤드
드렌처헤드 설치할 때 주의사항
드렌처헤드에서의 방수압력과 방수량
드렌처설비 수원의 수량
제어밸브의 높이
드렌처헤드의 설치 방법
드렌처설비 설치 기준
수막형성 효과
개방형 스프링클러 헤드 설치
드렌처설비를 설치할 수 있는 장소
드렌처 설비란
드렌처설비 설치
규약배관 방식 급수배관 구경
가지배관 한쪽에 설치되는 헤드 수
가지배관 별도 구성
헤드 설치 방법
천장과 반자 몯주가 불연재료 외의 것인 경우
천장과 반자 한쪽이 불연재료
천장과 반자 양쪽이 모두 불연재료
천장과 반자 사이에 헤드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
천장과 반자 사이에 헤드 설치 방법
불연재료의 벽 존재 이유
불연재료의 벽으로 구획을 해야 하는 이유
천장과 반자 사이의 거리가 2m 이상
천장과 반자가 모두 불연재료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는 경우
천장과 반자사이에 설치되는 불연재료의 벽
천장과 반자 사이의 벽
천장과 반자 사이의 걱리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
천장 및 반자 모두가 불연재료 외의 것으로 된 경우
천장과 반자 중 한쪽이 불연재료로 된 경우
천장과 반자 양쪽이 불연재료로 된 경우
천장과 반자 사이의 공간
천장과 반자 사이 헤드 설치하지 않을 수 있는 경우
대피공간에 헤드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는 이유
대피공간에 설치하는 방화문
아파트 대피공간의 구조
스프링클러 헤드 설치 면제 이유
갑종방화문은 거실쪽에서만 열리는 구조
비상용 승강기의 승강장
화재위험이 적은 장소
스프링클러설비 헤드 설치 제외
파이트 덕트 및 덕트피트
계단실 경사로 승강기의 승강로
스프링클러설비 헤드 제외
공동주택중 아파트의 대피공간
영하의 냉장창고의 냉장실 또는 냉동실
헤드를 설치해도 효율성이 적은 장소
불연재료로서 가연물이 없는 천장과 반자 사이 공간
헤드 설치를 면제해 주어야 하는 장소
헤드의 설치를 면제해 주는 이유
헤드 제외 규정의 필요성
스프링클러설비 헤드 설치 제외 장소
충전비와 Liquid Full 상관관계
소화약제 저장용기실 온도가 40도를 넘으면 나타나는 현상
가스계 소화약제 저장용기실
Liquid Full 현상
보수율 여유율
용량환산 계수
연축전지 용량계산 공식
예상부하특선곡선 작성
소비전류 여유율
감시제어반 동작시간
감시시간 및 작동시간 검토
가스계 소화설비 감시제어반 축전지 용량
감시제어반 축전지 용량 산정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감시제어반
개폐밸브의 폐쇄상태 확인회로
일제개방밸브를 사용하는 화재감지기 회로
도통시험 및 작동시험의 차이점
도통시험 및 작동시험의 공통점
옥내소화전설비와 스프링클러설비 감시제어반 차이
도통시험과 작동시험
소방전원보전형 발전기의 운전특성
제어장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야 하는 사항
제어장치에 표기해야 하는 사항
소방전원보존형 발전기 제어장치
비영리 공인기관에서 제어장치 시험 실시
자가발전설비 제어반의 제어장치
스프링클러설비의 비상전원
화재 및 침수로 인한 피래 우려가 없는 곳
동력제어반의 외함 두께 1.5mm 이상의 강판
외함의 내열성능 강화
스프링클러설비용이라고 표시한 표지
앞면을 적색으로
동력제어반이 쉽게 구별될 수 있도록 조치
스프링클러설비 동력제어반 설치 기준
산소농도를 15% 이하로 유지
표면화재진압에 필요한 최소설계농도
가연성 액체 또는 가스의 소화에 필요한 최소 설계농도
이산화탄소 소화약제의 최소설계농도 34% 인 이유
설게농도에 여유율을 두는 이유
최소 설계농도 34%인 이유
펌프를 사용하지 않는 가압송수장치
비상전원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건축물
동력제어반 설치장소
화재로부터 동력제어반의 보호
스프링클러설비 동력제어반
감시제어반 설치 장소
감시제어반과 동력제어반을 하나로 통합하여 설치
구분하여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는 말의 의미
감시제어반과 동력제어반을 구분하여 설치하는 이유
각각의 제어반을 하나의 실에 설치 가능한가
감시제어반의 Fail Safe 기능
동력제어반은 최후의 보루
구분하여 설치하는 이유
구분하여 설치하는 말의 의미
스프링클러설비의 감시제어반과 동력제어반
소방전원 보존형 발전기 설치방식
소방부하 전용
자가발전설비 종류별 설치 방식
스프링클러설비 비상전원 자가발전설비
비상전원 자가발전설비 특징
수용율 범위 중 최대값 이상
비상부하에 있어 수용율의 적용
소방부하 겸용 발전기
정격출력용량의 산정
스프링클러설비 비상전원 자가발전설비 종류
기동방식에 따른 계수 C값
단시간 과전류에 견디는 내력
입력용량이 가장 큰 부하기 최종 기동할 때에도 견딜 수 있는 용량
허용 최저입력전압 이상의 출력 유지
최대 부하가 기동될 때에도 출력전압 유지
발전기 용량 PG1
모든 부하의 합계 입력용량 기준
비상전원 용량 계산방식
스프링클러설비 비상전원 출력용량 산정 방법
두개소 이상의 변전소에서 상용전원 공급
가압수조방식의 가압송수장치
비상전원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상용전원을 대신할 비상전원
비상전원의 필요성
스크링클러설비 비상전원수전설비
스프링클러설비 비상전원 설치하지 않을 수 있는 경우
급배기 설비 설치
비상전원실의 구조 및 설비
상용전원 중단시 자동으로 전환 기능
소방부하의 합산 용량
비상전원의 용량
화재 및 침수 등 재해로 인한 피해우려가 없는 곳
점검에 편리한 장소
스프링클러설비 비상전원 설치방법
비상전원와 예비전원 차이
스프링클러설비 비상전원 예비전원
스프링클러설비의 비상전원 종류
차고 또는 주차장에 설치하는 스프링클러설비
비상전원수전설비를 설치할 수 있는 대상
비상전원수전설비란
가압송수장치의 정격입력전압이 수전전압과 같은 경우
주차단기 1차측에서 분기
특별고압수전 또는 고압수전방식의 경우
저압수전 방식 상용전원 배선 방법
비상콘센트 설비 전원
수전방식에 따른 저압 고압 특고압 구분
스프링클러설비 상용전원 배선 방법
제연구역에서 누설틈새 고찰
혼합경로인 경우 누설틈새 면적 계산
직렬경로와 병렬경로가 혼합된 경우 누설틈새 면적
누설량 산정 공식
스프링클러설비 예비전원
Standby Power
Emergency Power
상용전원회로 방식
가압수조방식은 그렇지 않다.
감시제어반의 예비전원
스프링클러설비의 전원
유수검지장치 작동 실패 대안
송수구 Fail Safe 기능
송수구를 유수검지장치 2차측에 연결해야 하는 이유
급수배관의 물은 유수검지장치를 통해 공급
폐쇄형 스프링클러설비의 경우
소화수는 유수검지장치를 거쳐야 함
유수검지장치 2차측 배관에 연결
송수구를 겸용할 경우
송수구의 설치개수 제한
송수압력범위를 표시한 표지
송수구의 형태
개폐밸브를 설치해야 하는 이유
개폐밸브의 설치여부
옥내소화전설비와 스프링클러설비 송수구의 차이점
옥내소화전설비 송수구
개폐밸브마다 위치 표지 게시
개폐밸브 설치 필요성
하나의 송수구로 다수의 방수구역 담당
송수구 연결배관 설치방법
하나의 방수구역에 하나의 전용 송수구 설치
개방형 헤드 방수구역 특성
개방형 헤드 경우 송수구 설치 개수
바닥면적 3000㎡ 마다 1개
소방대원의 혼란
송수구 쌍구형
송수구 숫자를 5개까지로 제한한 이유
옥내소화전설비 규정과의 차이
스프링클러설비의 송수구 최대 5개
옥상수조의 수원 설치량
가압송수장치 고장 대비 Fail Safe 역할
옥내소화전설비에서 옥상수조의 역할
옥상수조를 설치하는 이유
옥내소화전설비 설치 대상
옥내소화전한 방수구
옥내소화전 방수압력 0.17Mpa
규정의 개선 필요
송수구 면적 산정에 포함
스프링클러 헤드 설치 면제 장소
헤드가 면제되는 부분의 포함 여부
송수구는 바닥면적을 기준으로 설치
스프링클러설비 송수구 설치기준
수직배관마다 송수구 설치
송수구 설치개수
하나의 송수구가 담당할 수 있는 최대면적
하나의 최대 방호구역 면적
하나의 유수검지장치가 담당할 수 있는 최대면적
하나의 급수배관이 담당할 수 있는 최대면적
폐쇄형 헤드를 사용하는 스프링클러설비 송수구 설치 개수
최상층 헤드의 방수압력 충족
압력범위표지에 기재해야 하는 압력
소방차량의 방수압력
표시해야 할 방수압력의 크기 설정
스프링클러 헤드의 방수압력
스프링클러설비 송수구 압력범위 설정 방법
송수구 개폐밸브
자동배수밸브와 체크밸브
송수구 설치 위치
소방대원이 활용하는 송수구
송수구 설치 필요성
스프링클러설비 송수구 설치 기준
최소 헤드 수 비교
장방형 설치경우 헤드수
정방형 설치 경우 헤드수
헤드 수를 구하기 위한 헤드간 간격 산정
장방형으로 헤드 설치 경우
정방형으로 헤드를 설치하는 경우
가로열 헤드 수
설치각도를 55°로 적용
설치각도 35° 적용
설치각도에 따른 최소 헤드수
하나의 방수구역에 설치할 수 있는 헤드 수
반올림하지 않는 이유
최대 방수구역 개수
하나의 방수구역 헤드수 25개 이상
방수구역의 세분화
가로열 헤드간 거리
r개방형 헤드 방수구역 헤드 수
폐쇄형 헤드의 경우 방호구역의 수
하나의 방수구역에 최소 25개 이상의 개방형 헤드를 설치하는 이유
하나의 방수구역에 최대 50개의 개방형 헤드만 설치하는 이유
방수구역을 설정하는 기준
개방형 스프링클러설비 방수구역 개수 산정
가로열 간격 산정
장방형 헤드 배치 경우 헤드간 거리 산정 방법
방호구역에 헤드 배치 방법
장방형 헤드 배치시 헤드수 산정
근린생활시설 장방형 헤드 배치
방유제 설치시 주의해야 할 사항
방유제 내 기울기
피난가능시간 적용 차이
하나의 층에서의 바닥면적이 3000㎡
방호구역 산정 기준
스프링클러설비 방호구역 개수
비상콘센트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
소방시설 상용전원 회로 배선
스프링클러설비 수원 저수량
스프링클러설비 펌프 토출량
옥상수조의 저수량 계산
수원 저수량 구하는 방법
펌프 토출량 구하는 방법
근린생활시설 스프링클러설비
벽과 헤드 사이 10cm 이상의 공간이 필요한 이유
소방청 업무지침
헤드 상호간 거리의 2분의 1 이하
보의 길이가 55cm 초과하는 경우 헤드 설치
수평거리 수직거리
보의 수평거리에 따른 헤드의 수직거리
보와의 거리에 따른 헤드의 수직거리
살수장애 발생
천자에 설치된 보의 영향
지붕 천장의 보 인근에 헤드 설치 방법
채수통에 균일한 양이 채수
한쪽 벽면에만 설치 가능한 경우
측벽형 헤드의 살수패턴
측벽형 헤드의 살수반경
측벽형 헤드의 살수분포 시험장치
복도 폭 4.5m 기준으로 다르게 적용하는 이유
측벽형 헤드 설치기준
폭이 4.5m 이상 9m 이하
측벽형 헤드 설치 방법
측벽형 헤드 살수분포곡선
측벽형 헤드 살수분포시험장치
측벽형 헤드의 살수분포시험
측벽형 헤드의 방수량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란
하향식 헤드를 설치해도 되는 경우
2차측 배관의 소화수
건식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의 특징
개방형 헤드를 사용하는 경우
드라이팬던트 헤드를 사용하는 경우
상향식 헤드를 설치해야 하는 설비
개구부의 폭이 9m 이하
통행에 지장이 있는 개구부에서 헤드 설치 방법
2.5m 간격으로 헤드를 설치하는 이유
2.5m 간격으로 헤드 설치
개구부에 해드를 설치하는 방법
방화구획의 연소확대 방지를 위한 조치
연소할 우려가 있는 개구부란
연소할 우려가 있는 개구부 헤드 설치
부속실 과압 발생 이유
플랩댐퍼가 가져야 할 방화성능
부속실 제연설비의 플랩댐퍼 설치 위치
천장 최상부 기점으로 거리 규정
Skipping 현상 예방
최상부 헤드간 거리 규정
최상부 가지관 상호간 거리
경사지붕 헤드 설치
가지관을 서로 마주보게 설치하는 경우
경사지붕 최상부 가지배관
천장 최상부를 기준으로 가지배관을 서로 마주보게 설치
가지관 최상부에 설치하는 헤드의 수직거리
가지배관을 서로 마주보게 설치하는 경우
최상부 헤드의 반사판은 수평으로 한다
천장 최상부에 헤드를 설치하는 경우
가지배관은 천장 마루와 평행하게 설치
천장의 기울기가 10분의 1을 초과하는 경우
배출풍도의 재질
배출풍도 설치 기준
풍속 제한을 두는 이유
캔버스는 내열성이 있는 재료
배출풍도 및 유입풍도에서의 유속 제한
배출기 설치 기준
연소우려가 있는 개구부에 헤드 설치
30cm 이상 떨어지면 안되는 이유
상향식 헤드 설치방법
하향식 헤드 설치 방법
헤드와 부착면 거리 30cm 이하
폐쇄형 헤드의 개방 특징
ceiling zet flow의 형성
효과적인 열 감지를 위한 헤드 설치 방법
헤드 추가 설치
헤드 근처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살수밀도에 영향
살수장애 현상
방호면적의 개념
반경 60cm 이상의 공간
살수방해가 없도록 공간 확보
스프링클러헤드 설치할 때 공간 확보
K Factor 의미
주거용 스프링클러헤드의 K값이 50 이유
주거용 스프링클러헤드의 사양
주거용 스프링클러헤드의 특징
조기반응형 헤드를 설치하는 목적
조기반응형 헤드 설치 대상
조기반응형 헤드를 설치해야 하는 장소
조기반응형 헤드의 RTI값
조기반응형 스프링클러헤드란
개구부를 통해 확산되는 것 방지
폐쇄형 헤드를 설치해서는 안되는 이유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시설물이 있는 곳
방화구획을 하는 이유
개방형 헤드를 설치해야 하는 장소
지하층 무창층 4층 이상 무대부
무대부에 설치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개방형 헤드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무대부
개방형 헤드를 설치해야 하는 무대부
3.2m 수평거리로 형식승인 받은 헤드
공동주택 세대내 거실에 설치하는 헤드의 수평거리
용도별 위험성 평가
장소별 수평거리의 적용
용도별 수평거리의 적용
해드의 유효한 살수범위
수평거리란
랙크식 창고에 설치하는 헤드의 특수성
특수가연물을 저장 취급하는 경우 헤드 설치
심부화재 특성
랙크식 창고의 화재 특성
랙크식 창고란
랙크식 창고에 스프링클러설비 설치
랙크식 창고 헤드 설치 위치
폭이 9m 이하인 실내에서 헤드 설치
폭이 1.2m를 초과하는 것
덕트 선반 기타 이와 유사한 부분에 설치
천장과 반자 사이에 설치
천장 반자에 설치
스프링클러 헤드 설치 위치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감지기
발신기 위치 표시등
발신기의 설치 기준
화재감지기 회로에 설치하는 발신기
교차회로 방식으로 구성하지 않아도 되는 감지기
감지기 1개가 담당하는 바닥면적
스프링클러설비용 화재감지장치
방호구역 화재감지기 설치 기준
스프링클러설비 방호구역 화재감지기
신뢰성 높은 감지기란
오동작 방지 기능이 있는 감지기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감지기
부압식 스프링클러설비를 별도로 규정한 이유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의 특징
배관 또는 헤드에 누설경보용 물 또는 압축공기
화재감지회로는 교차회로 방식
수동기동방식을 적용하는 이유
수동기동 방식으로 개방
교차회로 방식이 아닌 하나의 회로만 설치해도 되는 경우
유수검지장치의 개방 조건
스프링클러설비 펌프의 기동 조건
A B 감지기 모두 작동
교차회로 방식의 화재감지기 동작
스프링클러설비 펌프 작동
유수검지장치의 발신에 의해 펌프 작동
두가지의 혼용에 따라 펌프 작동
감지기에 의해 펌프 작동
기동용수압개폐장치에 의해 펌프 작동
준비작동식 일제개방밸브 펌프 작동 원리
습식 건식 펌프작동 원리
스프링클러설비 펌프 작동 원리
빨강 색상 유리벌브형 헤드
유리벌프형 헤드 표시온도
유리벌브형 헤드 액체 색깔
스프링클러헤드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판매시설 유리벌브 헤드 색상
최고 주위온도를 적용하는 방법
스프링클러헤드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 기술기준
판매시설 평상시 최고 주위온도
판매시설 스프링클러설비 설치
헤드에서 80ℓ/min의 방수량으로 20분 이상 방수
최 말단 헤드에서 0.1Mpa
최말단 헤드에서의 방수압력
수원의 법규계산 방법
보유해야 할 수원의 양
화세제어 가능성
유량계 눈금
순환배관 릴리프밸브
릴리프밸브의 압력
펌프와 부속설비
랙크식 창고 스프링클러설비 펌프
배관 및 배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
펌프의 축동력
스프링클러설비 펌프 설계
특수가연물을 저장하는 랙크식 창고
랙크식 창고 스프링클러설치
방호구역 각 부분과 헤드간 수평거리
헤드 수평거리
헤드의 방호면적
헤드 정방향 설치
살수밀도를 높이려면
지하층 무창층 바닥면적 1000㎡ 이상
특수가연물 1000배 이상 저장 취급
스프링클러 헤드 수량
감지기 회로를 교차회로 방식으로 설치하는 이유
감지기의 오작동에 의한 프리액션 밸브의 빈번한 개방
어떤 경우에 교차회로 밤식을 사용하는가
프리액션밸브에 교차회로 방식의 감지기를 설치하는 이유
공장 창고의 화재 특성
높이가 4m 이상인 공장 및 창고
표시온도 121℃ 이상을 사용하는 이유
공장 및 창고에 설치하는 헤드의 표시온도
표시온도 121도 이상
공장 및 창고로서 높이가 4m 이상
냉방장치에 의한 온도변화
주위온도와 표시온도의 차이 설정
폐쇄형 헤드의 표시온도
평상시 최고 주위온도란
헤드의 표시온도 적용
설치장소의 최고 주위온도
유수검지장치와 기준개수의 상관관계
방호구역의 바닥면적 산정 방법
헤드열이 다수 설치되는 랙크식 창고의 방호구역 면적 산정
방호구역을 선정하는 기준
스프링클러설비의 방호구역 설정
헤드간 거리 산정 공식
랙크식 창고 수평거리 값
랙크식 창고의 특수성
랙크식 창고 헤드의 추가열 설치
가로열 및 세로열 헤드 수
정방형 배치 헤드 수 계산
랙크식 창고 헤드 수
기준수량 해당여부
특수가연물 해당여부
넝마 및 종이부스러기
특수가연물이란
특수가연물의 품목과 수량
제연구역의 방연풍속
발화층 직상층 우선경보방식 채택 이유
공동주택의 경우 16층 이상
층수 11층 이상 특정소방대상물
발화층 직상층 우선경보방식
전층 경보방식
스프링클러설비 음향장치 경보 방식
각 부분으로부터 음향장치와의 수평거리
지구 음향장치
음향장치 설치 방업
음향경보장치가 경보를 발하는 시점
스프링클러설비의 음향장치
압력스위치 접점 구성
오작동 방지를 위한 조치
준비작돟식 유수검지장치의 오작동'
교차회로 방식의 화재감지기
화재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하면 경보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 경보
일제개방밸브 작동방식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 작동방식
2차측 배관의 압력
시험장치의 기능
습식과 건식 유구검지장치의 특성
압력스위치의 접점 구성
유수검지장치의 개방으로 압력스위치 작동
습식 및 건식 유수검지장치 경보 방식
헤드의 개방
습식 및 건식 유수검지장치 개방
헤드를 향하여 500분의 1 이상 기울기
2차측 물을 배수 목적
수평주행배관의 기울기
헤드를 향하여 상향으로 기울기 이유
유숙덤지장치 2차측 배관
소화수가 남아있는 부분에는 배수밸브 설치
습식과 부압식은 배관 수평
스프링클러설비 배관의 기울기
내화배선 내열배선 공사방법
급수관에 설치된 개페밸브
탬퍼스위치에 사용되는 전기배선
탬퍼스위치 기증
내화전선 또는 내열전선
수신반 탬퍼스위치 표시창
수신기 탬퍼스위치 표시창
탬퍼스위치를 설치하는 이유
관계인에게 밸브의 폐쇄여부를 알려주는 역할
스프링클러설비의 정상 작동
탬퍼스위치란
급수배관에 설치한 개폐밸브
주배관의 구경은 100mm 이상
연결송수관설비와 겸용하는 경우 주배관의 구경
주배관 구경의 수리계산
토출량 적용
스프링클러설비 주배관 구경
배관 구경 공식 유도
하나의 층에 설치된 헤드 수
규약배관 기준 산정표
수리계산에 따른 주배관 구경
규약배관 기준에 따른 주배관 구경
스프링클러설비 주배관 구경 계산
시험에서 주배관의 구경
수리계산 또는 규약계산의 판단
배관의 유속 만족
헤드에서의 방수량 만족
헤드에서의 방수압력 만족
수리계산으로 구경을 구하는 방법
규약배관 방식으로 구경을 구하는 기준
규약배관 구경 기준표
스프링클러설비 주배관 구경 계산 방법
실내장식물 내부마감재 구분
합판 또는 목재로 실내장식물 설치
내부 구획을 위한 출입문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
다중이용업소 내부구획
펌프의 정격 토출압력
사용압력 1.21Mpa 이상
압력 1.2Mpa 미만
사용 가능한 배관 종류
펌프 명판의 정격토출압력
체절압력 적용 이유
펌프의 전양정
유량계 성능
노유자시설 스프링클러설비
펌프의 동력
펌프 분당 토출량 계산
펌프의 전양정 공식
습식스프링클러설비 펌프 계산
스프링클러설비의 방호구역
폐쇄형 헤드의 방호구역 설정
기준개수는 하나의 층을 기준으로 산정
기준개수 산정 방법
하나의 방호구역이 3개층에 걸쳐 형성
펌프의 분단 토출량
개방형 헤드의 방수특성
개방형 헤드가 수가 30개 이하 경우
개수에 80ℓ를 곱한 양 이상
헤드종류에 따른 펌프의 분당 송수량
개방형 헤드 설치 경우
가압송수장치의 분당 송수량
펌프의 분당 송수량
수원의 양과 포수용액의 양
화재안전기준과 위험물안전관리 세부기준의 포헤드 설치기준 차이
포헤드 수량 산출 방법
포수용액을 구하는 방식 차이
스프링클러설비 수원량 구하는 공식
옥상수조의 수원량
지하수조의 수원량
최소 방수시간
수원량 계산시 적용되는 기준개수
노유자시설 습식스프링클러설치
습식스프링클러설비 수원량
노유자시설 스프링클러 설치
방호구역의 설정 방법
3개의 층을 하나의 방호구역으로 설정
하나의 층에 하나의 유수검지장치 설치
방호구역은 2개층에 미치지 않도록
습식스프링클러설비 방호구역 설계
슈퍼비조리판넬 설치
아파트 주차장 스프링클러설비
동결의 우려가 없는 장소
습식의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경우
습식외의 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이유
주차장은 습식외의 방식
주차장에 설치하는 스프링클러설비
공동예상제연구역이 제연경계로 구획된 경우
거실과 통로는 상호 제연구획하여야 한다
공동예상제연구역 배출량 산정
공동예상제연구역이 통로인 경우
수직배수배관은 50mm 이상
수직배수배관의 최소구경
연결송수관설비와 배관 겸용
패들형 유수검지장치
수직배관 구경이 50mm 미만인 경우
입상관 Riser
입상관인 수직배관
스프링클러설비 수직배관
배관의 하중 지지
행거를 설치하는 이유
행거와 흔들림방지 버팀대와의 차이
내진설계를 적용해야 하는 소방시설
흔들림방지 버팀대
소방시설의 내진설계
상향식 헤드인 경우 헤드와 행거 사이 간격
헤드와 행거 사이에 8cm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는 이유
시험장치 배수조치
물받이 통의 크기 용량
화장실 목욕실 또는 배수구 근처
배수처리가 쉬운 장소
개폐밸브 설치 높이
개폐밸브의 설치 목적
개방된 오리피스
시험장치 배관 구경이 25mm 이상이어야 하는 이유
시험장치 사용되는 배관 구경
건식 스프링클러설비의 시험장치
Trip Time과 Transit Time
1분 이내 방수
시험장치를 설치하는 목적
건식 유수검지장치의 2차측 배관
유수검지장치에서 가장 먼 가지배관 말단에 설치
포소화전설비의 수원 겸용
포소화설비의 수원 겸용
수직배수배관에 연결
배수배관 설치 필요성
스프링클러의 작동여부 확인
프리액션밸브 2차측 배관
부압식 스프링클러설비의 특징
시험장치를 설치하는 이유
습식 및 부압식 스프링클러설비의 시험장치
관련 규정의 변화
시험장치를 설치하는 위치
부압식 스프링클러설비 별도 구분 이유
시험장치 설치 목적
시험장치의 역할
부압식 스프링클러 시험장치
시험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설비
특수가연물 저장장소에 추가하는 소화기
특수가연물 500배 이상
소방기본법 시행령 별표 2에서 정하는 수량
대형소화기 분말소화약제 20kg
동결이 되지 않도록
유수검지장치 작동시험
일제개방밸브 작동시험
스프링클러 유수검지장치 2차측 수직배수배관
일제개방밸브 2차측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 2차측
방화구획된 장소에 소화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수원의 양
옥내소화전설비와 고정식 소화설비의 수원양
고정식 소화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수원 겸용
고정식 소화설비가 둘 이상 설치되는 경우 소화수조의 설치
방화구획이 없는 곳에서 수원의 양 계산
미분무소화설비의 수원 설치
개폐표시형 밸브 설치
2차측 배관 동결 우려
배관 부식 방지
2차측 배관 대기압
개방형 해드 설치장소
일제개방밸브 2차츣 개폐밸브
관계자가 육안으로 확인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 2차측 개폐밸브
2차측에 설치하는 밸브를 개폐표시형으로 하는 이유
배관에 이물질 침착
헤드는 가지배관의 상부에서 분기
상향식 헤드를 설치하여야 하는 설비
드라이펜던트형 헤드
하향식 헤드를 설치할 수 있는 설비
고층건축물 소화설비의 감압방법
고가수조 분리
감압밸브의 원리
옥내소화전 감압방법
0.7Mpa 이하
패들형 유수검지장치의 특징
배관 내 유수 흐름 인식
패들형 유수검지장치는 교차배관의 구경과 동일
교차배관에 패들형 유수검지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패들형 유수검지장치의 구경
교차배관의 구경
배관 슬러지 이물질 청소
10m/s 유속
교차배관의 관경을 40mm 이상으로 하는 이유
교차배관의 관경
교차배관을 가지배관 보다 낮게 설치하는 이유
교차배관 설치 방법
교차배관 40mm 이상
가지배관에 급수하는 배관
가재배관과 교차배관을 구분하는 이유
급수배관 유속 제한
시험장치 설치
행거 설치 간격
교차배관 설치 높이
구획 1개 헤드 증설
반자 아래와 위에 헤드를 병설하는 경우
격자형 배관
헤드 수를 8개 이하로 제한하는 이유
8개 이상의 헤드 설치
한쪽 가지배관 헤드수
각 헤드에 이르는 마찰손실이 동일
스프링클러설비에서 토너먼트 배관 방식을 사용해서는 안되는 이유
스프링클러 가지배관으로 트리형 방식의 배관을 사용하는 이유
적정 방수압력과 방수량
마찰손실 최소화
스프링클러설비의 배관
토너먼트형 배관 방식
격자형 배관 방식
할론과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의 차이
오존층 파괴지수
1층에서 발화한 때
헤드 방수압력
표 2.5.3.3
그 밖의 배관 유속 10m/s
가지배관 유속 6m/s
수리계산으로 급수배관의 구경 산정
배관 및 관이름쇠
스프링클러헤드 수별 급수배관의 구경
펌프의 성능
스프링클러헤드 기준개수
급수배관 구경 산정
개방형 스프링클러헤드
특수가연물 저장 취급하는 공장 창고
기준개수 30개
개방형 헤드 사용 스프링클러설비 수원
방수압력 편차에 따른 방수량 변화
배관 및 관이음쇠 마찰손실
수리계산을 틍한 급수배관 관경 산정
개방형 헤드 수 30개 초과
규약방식에 의해 급수배관 구경 산정
헤드와 방호구역과의 수평거리
무대부 및 특수가연물 저장 장소
페쇄형 스프링클러헤드
수리계산으로 급수배관 구경 산정
방수구역 세분화
하나의 방수구역에 설치되는 헤드 수가 25개 이상
천장과 반자 양쪽이 불연재료
천장과 반자사이의 거리
하나의 가지배관에 8개 헤드 설치
하나의 가지배관 설치 헤드 수
동일 급수관 가지배관상에 병설
반자 아래의 헤드와 반자 속의 헤드
수리계산을 통한 급수관 구경 산정
헤드 수별 급수배관의 구경
가지배관에 설치된 헤드 수
그 밖의 급수배관인 경우 10m/s 초과하지 않도록
가지배관 유속 6m/s 초과하지 않도록
100개 이상의 헤드를 담당하는 급수배관의 구경을 100mm로 할 경우
Hazen Williams 공식
0.1Mpa의 방수압력 80ℓ/min 이상의 방수량
급수배관 유속 제한 이유
그 밖의 급수배관 유속 10m/s 이하
가지배관의 유속 6m/s 이하
수리계산을 통한 급수배관 관경 산정 이유
급수배관의 관경 산정
규약배관 방식과 수리배관 방식
헤드 수별 급수배관 구경
헤드 정격방수압력과 방수량
배관 마찰손실수두
규약배관방식 장단점
수리계산 방식 장단점
호칭경 배관 사용
수리계산방식으로 급수배관 관경 산정
RSET은 줄이고 ASET은 늘려야 한다
바람직한 피난설계
RSET에 영향을 주는 인자
ASET에 영향을 주는 인자
급수배관 개폐밸브
탬퍼스위치 연동
개폐밸브는 개폐표시형
흡입측 배관에 버터플라이밸브를 설치해서는 안되는 이유
관 내부 디스크
흡입측 배관에 버터플라이밸브
스프링클러설비의 성능에 지장이 없어야 한다.
다른 설비로의 송수 차단
급수배관을 전용으로 설치해야 하는 이유
급수배관에 해당하는 배관
급수배관에 해당하지 않는 배관
급수배관을 다른 설비과 겸용
급수배관은 전용으로 설치
PVC에 Cl 첨가
탄소강관의 문제점
내열성 및 부식성 향상
CPVC 분자구조
CPVC 분자식
소방용 합성수지배관 설치 장소
습식 배관에 사용 가능한 이유
구리 및 구리합금관
KS D 3507
덕타일 주철관
스프링클러설비 주펌프
주펌프 자동정지
체절압력은 정격토출압력의 140% 미만
압력 배관용 탄소 강관
펌프 명판의 전양정
분말소화약제의 소화 효과
분말 소화약제가 화재 진압하는 원리
분말 소화약제 종류
공연장 무대부 관람석
하나의 공간에 개방형 헤드와 폐쇄형 헤드 설치
방수구역 방호구역
0.1Mpa 이상의 방수압력으로 80ℓ/min 이상의 방수량
하나의 유수검지장치 전용실
일제개방밸브 개방형 헤드
무대부 방수구역
관람석 페쇄형 헤드
일제개방밸브 설치 위치
출입문 근처에 설치
보호용 철망 등으로 구획
바닥으로부터 0.8m 이상 1.5m 이하
일제개방밸브를 설치하는 높이
관계자 출입 가능
가로 0.5m 이상 세로 1m 이상 개구부
일제개방밸브실 표지
무대부의 크기가 300㎡ 이상
하나의 방수구역 헤드 수 50개 초과
하나의 방수구역은 최소 25개 이상 헤드
방수구역 분리
헤드간 거리 2.4m
무대부 수평거리 1.7m
일제개방밸브와 개방형 헤드
하나의 방수구역에 설치되는 헤드 수 50개 이하
설치되는 개방형 헤드 수 50개
휴대용 가스 권장 사용기한
부탄의 발열량
프로판의 발열량
사용한 부탄 캔 처리방법
휴대용 가스로 부탄을 사용하는 이유
기체가 기화되기 위한 기화열
부탄 캔에 이슬이 맺히는 이유
하나의 방수구역은 두개 층에 미치지 않아야 한다.
일제개방밸브의 개방
개방형 스프링클러설비
하나의 방수구역에는 하나의 일제개방밸브 설치
가스계 소화설비 TAB
하나의 방수구역이 2개 층에 미치지 않아야 한다
조기반응형 헤드에 사용하는 유수검지장치
조기반응형 헤드 설치장소
RTI값
고가수조와 유수검지장치의 자연낙차
고가수조 필요 낙차
작동압력 1.4Kg/㎠
고가수조 유수검지장치
자연낙차 압력
알람스위치 작동압력
유수검지장치 알람밸브
수원은 20분 이상 방수량
송수구 배관
송수구 연결
헤드로 공급되는 소화수
소화수를 2차측으로 보내는 역할
소화수 흐름 차단
유수검지장치 역할
알람밸브실
A/V실
보호용 철망으로 구획
유수검지장치 전용실
유수검지장치 설치높이
유수검지장치실 표지
유수검지장치실 출입문 설치 이유
바닥면적의 합이 3000㎡
페홰형 헤드 수가 10개 이하
하나의 방호구역을 3개층 이내로
아파트 방호구역 설정
2개 층에 미치지 아니하여야 한다
페쇄형 스프링클러설비
방호구역에 하나 이상 유수검지장치 설치
하나의 방호구역의 면적 3000㎡
균등한 방수압력과 방수압 형성
최대 8개 헤드 설치
루프 배관 방식
그리드 방식
격자형 배관방식
하나의 방호구역 면적
개방형 헤드 일제개방밸브
방호구역 바닥면적 3000㎡
방화구획의 면적
유수검지장치의 방호구역
하나의 유수검지장치가 방호할 수 있는 면적 3000㎡
압력수조 Air Lock
Air Lock 발생하지 않게 하는 방법
옥상수조 자연낙차 수두
압력수조 수직배관
Air Pocket 형성
Henry 법칙
Air Lock 현상
Air Lock 발생 원인
압력수조 Air Lock 현상
압력수조 공기압력
압력수조식 가압송수장치
Air lock
헨리 법칙
Henry의 법칙
방수압력이 0.1Mpa
방수량 80ℓ/min 이상
말단헤드 방수압력
가압송수장치 송수압력
가압수조 송수량
방수량 방수압
가압수조의 압력
기체제어식 개폐밸브
가압수조 증압제어밸브
가압수조 성능시험배관
가압수조 제어반
예비전원 축전지설비
상용전원 설치방식
가압수조 상용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