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실제연설비 썸네일형 리스트형 지하층 또는 무창층에 설치된 시설 중 거실 제연설비 설치 대상 1. 거실 제연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2. 설치 장소가. 지하층 또는 무창층설치된 장소가 지하층이나 무창층인 경우에 적용한다. 다음에 해당하는 용도의 시설들이 지상층에 설치된 것은 적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지상층에 설치되었다고 하더라도 무창층에 해당하면 적용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나. 지하층의 적용 여부건물의 지표차에 의해 적용되는 경우도 있다. 건축 도면에는 지하 2층이라고 되어 있어도 실제 현장에서는 지표에 면해 있어서 피난층에 해당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적용할 때에는 지하 2층으로 적용하기 때문에 제연설비의 설치 대상이 될 수 있다. 3. 특정소방대상물의 용도근린생활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숙박시설, 위락시설, 의료시설, 노유자 시설 또는 창고시설(물류터미널로 한정한다)인 경.. 더보기 운수시설의 경우 제연설비 설치대상 1. 운수시설이란? 운수시설이 무엇을 말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2] 특정소방대상물을 찾아봐야 한다. [별표 2] 제6호에서 운수시설에 대해 열거해 놓았다. 운수시설이란 여객자동차터미널, 철도 및 도시철도 시설[정비창(整備廠) 등 관련 시설을 포함한다], 공항시설(항공관제탑을 포함한다), 항만시설 및 종합여객시설을 말한다. 2. 운수시설 관련하여 해당 부분에 거실 제연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가. 관련 규정 나. 지하층이나 무창층에 설치된 경우운수시설로서 바닥면적의 합계가 1천㎡ 이상인 경우라 하더라도 무조건 제연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해당 운수시설이 지하층이나 무창층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적용한다. 즉, 운수시설이 .. 더보기 제연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대상 1. 제연설비를 설치 대상 기준가. 설치 대상을 알기 위해 찾아봐야 할 법령제연설비 설치 대상을 알기 위해서는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4]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ㆍ관리해야 하는 소방시설의 종류(제11조 관련) 제5호를 살펴보면 된다. 제5호가 소화활동설비에 대한 내용인데 그 중 가목에서 제연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을 열거해 놓았다. 나. 거실 제연설비 설치 대상가목의 1)에서부터 6)까지는 거실 제연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대상을 규정하고 있다. 특정소방대상물의 용도가 아래 기준에 열거되어 있으면 그리고 해당 용도의 바닥면적이나 수용인원이 일정 기준 이상이면 제연설비를 설치하라는 의미이다. 다. 부속실 제연설비 설치 대상그리고 7)은 부속실 제연설.. 더보기 소방법령에서 제연설비가 추구하는 연기 제어 방법 1. 거실 제연설비에서 연기의 제어 방법가. 거실 제연설비의 특징거실 제연설비는 화재실을 대상으로 한다는 특징이 있다. 화재실에 급기와 배기를 통해 연기를 배출하거나 희석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거실 제연설비는 건물 내부에서 대피자의 수평피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 청결층 유지 방식① 소방법령에서는 거실을 화재실로 본다. 거실 제연설비라는 것은 화재로 인해 발생한 연기를 기계적 힘으로 배출시키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해당 거실에 부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배출되는 연기량 만큼 신선한 공기를 넣어주는 것이다. ② 그러면 연기는 천장쪽으로 이동하고 신선한 공기가 아래쪽으로 들어와 사람이 활동하고 대피할 수 있는 청결층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면적이 400㎡ 이상인 대규모 거실이거나 .. 더보기 화재시 건물에 연기가 확산되는 원인 1. 부력에 의한 상승과 공기 팽창가. 부력(Buoyancy)과 공기 팽창화재로 인해 뜨거워진 공기는 밀도가 낮아져 위로 상승하게 된다. 화재로 인한 Fire Plume은 60℃ 이상의 온도를 형성하며 주변의 공기를 팽창시킨다. 이렇게 밀도는 낮아지면서 팽창된 공기가 상승하는 효과를 부력이라 한다. 이 부력으로 인해 연기가 위로 상승하며 확산되는 것이다. 나. 건물 내 연기가 확산되는 원인 부력과 연기팽창은 화재에서 직접 발생하며 화재실에서 연기가 확산되는 요인이 된다. 부력은 화재실의 상부로 연기가 확산되는 요인이 되며, 공기 팽창은 화재실에서 인접실로 연기가 확산되는 요인이 된다. 2. 연기의 하강가. 온도가 식어버린 연기화재 장소에서는 Fire Plume에 의해 뜨거워진 연기가 천장쪽으로 .. 더보기 제연설비는 연기를 제어하는 설비이다. 1. 연기를 제어해야 하는 이유가. 연기의 유해 요인화재시 발생하는 연기는 피난자에게 다양한 위협을 가한다. 먼저 연기층에 포함된 뜨거운 열기, 시야를 떨어뜨리는 가시거리의 저하, 연기에 포함된 독성물질에 의한 질식 등이다. 이중에 인명피해를 발생시키는 가장 위험한 요인이 되는 것은 무엇일까? 나. 연기로 인한 시야의 저하연기에 포함된 독성물질로 인한 질식일 것 같지만, 사실은 연기로 인한 시야의 저하이다. 연기가 자욱하여 사방이 가려져 보이지 않으면 어디로 대피해야 하는지를 판단할 수 없게 된다. 이는 대피자들을 패닉상태에 몰아넣게 되는 것이고, 결국 화장실 같은 구획된 곳이나 복도 끝에서 사망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다. 사망에 이르게 되는 원인물론 사람을 사망에 이르게 하는 직접적인 원인은 연.. 더보기 거실 제연설비의 역할과 목적 1. 제연설비의 정의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501) 1.7 용어의 정의에 보면 제연설비에 대해 정의한 사항을 볼 수 있다. "제연설비"란 화재가 발생한 거실의 연기를 배출함과 동시에 옥외의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여 거주자들이 안전하게 피난하고, 소방대가 원활한 소화활동을 할 수 있도록 연기를 제어하는 설비를 말한다고 정의하고 있다. 2. 제연설비 역할 가. 거실의 연기를 배출한다.제연설비는 화재가 발생한 거실의 연기를 배출하는 설비이다. 화재 발생장소를 거실로 예상하고 있다. 우리는 제연설비를 흔히 거실 제연설비라고 한다. 즉 화재가 발생하는 장소를 거실로 예상하고 제연설비를 설치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거실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연기가 생성될 것인데, 이렇게 생성된 연기를 배출하.. 더보기 부속실(전실) 제연설비에서의 방연풍속 방연풍속이란 가. 방연풍속의 정의 방연풍속은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에 설치하는 제연설비에서 등장하는 용어다.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A)을 간단히 부속실 제연설비 또는 전실 제연설비 기준이라고 부른다. 해당 화재안전기준 제3조(정의) 제2호에서 방연풍속이란 옥내로부터 제연구역 내로 연기의 유입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풍속을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방연풍속의 존재 목적은 옥내에서 제연구역으로의 연기 침입 방지다. 방연풍속과 같이 살펴보아야 할 용어 가. 차압과 의미가 다르다. 제6조(차압 등)에서 제연구역에 형성되어야 하는 차압을 규정하고 있는데, 여기서 말하는 제연구역의 차압은 출입문이 닫혀있을 때 형성되어야 하는 압력을 의미한다. 옥내(화재실.. 더보기 이전 1 2 3 4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