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부속실제연설비

특별피난계단에서 배연설비를 설치하는 부속실 1. 특별피난계단에서 배연설비는 어디에 설치하는가?가. 특별피난계단의 구성건축법 제49조(건축물의 피난시설 및 용도제한 등) 제1항에 의거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에는 특별피난계단을 설치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특별피난계단은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9조(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제2항 제3호에 따라 계단실과 부속실로 구성된다.  나. 배연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장소계단실과 부속실 중 실제 배연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곳은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9조(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제2항 제3호 가목에 따라 부속실에 해당한다. 즉 특별피난계단에서는 계단실이 아닌 부속실에 배연설비를 설치하라는 의미이다.  2. 특별피난계단의 부속.. 더보기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에 배연설비 대신 제연설비가 설치되는 이유 1.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에 배연설비 설치 기준 가.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에는 배연설비를 설치해야 한다.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에서도 별도로 배연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장소를 규정하고 있다. 제10조(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 및 승강로의 구조) 제2호에서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은 노대 또는 외부를 향하여 열 수 있는 창문이나 배연설비를 설치하라고 규정하고 있는 것이다. 나. 피난용승강기의 승강장에서는 별도의 규정이 있다.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30조(피난용승강기의 설치기준)에서는 별도의 대체 규정이 존재한다. 피난용승강기의 승강장의 경우에는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법률 시행령」 별표 5 제5호가목에 따른 제연설비를 설치한 경우에는 배연설비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 더보기
개별 법령에 따라 배연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장소 1.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계단실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제16조(계단) 제3항에서는 계단실형 공동주택의 계단실에 배연설비를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계단실 최상부에는 배연 등에 유효한 개구부를 설치하라고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유효한 개구부를 어떻게 설치하여야 한다는 세부 내용이 없어서,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14조(배연설비)를 적용하고 있다. 2.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에서도 별도로 배연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장소를 규정하고 있다. 제10조(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 및 승강로의 구조) 제2호에서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은 노대 또는 외부를 향하여 열 수 있는 창문이나 배연설비를 설치하라고 규정하고 있는 것이다. 3. 피난용승강기의 승강장과 승강로 가... 더보기
건축법령에 의한 배연설비 설치 대상 1. 건축법령에서 배연설비 설치대상 규정 가. 건축법에서 배연설비에 대해 규정 건축법 제49조(건축물의 피난시설 및 용도제한 등) 제2항에서 일정한 규모 및 용도의 건축물인 경우 배연설비를 설치하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건축법 시행령 제51조(거실의 채광 등) 제2항에서 배연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건축물을 세부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나. 건축법 시행령에서 배연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대상에 대해 세부적으로 규정 ① 건축법 시행령 제51조(거실의 채광 등) 제2항에서는 배연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대상에 대해 세부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② 먼저 제1호에서는 6층 이상에 해당하는 건축물이면서 그 용도가 가목에서 거목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건축물의 거실에 배연설비를 설치해야 한다. ③ 제2호에서는 일정 용도.. 더보기
제연구역의 과압방지조치는 어떻게 하는 것인가? 2024.4.1.일부터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501A)이 개정되었다. 주요 내용은 제연구역에서는 당연히 과압이 발생하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과압방지장치를 설치하는 등 과압방지조치를 하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제연구역에 과압방지가 되는 것일까? 1. 복합댐퍼(M.P.D)를 사용하는 방식 가. 복합댐퍼 방식이란? 복합댐퍼(Multi Plex Damper) 방식은 급기휀의 토출측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복합댐퍼를 설치하여 댐퍼의 개구율에 따라 풍량을 조절하는 방식을 말한다. 어느 한 층에 센서를 설치하고, 해당 센서에서 압력 변화의 신호를 받아 댐퍼의 개구율을 변화시킨다. 나. 일반 댐퍼방식과의 차이 및 장단점 ① 일반 댐퍼는 개구율이 일정하여 송풍.. 더보기
부속실 제연설비의 과압을 방지할 수 있는 조치를 하도록 기준 변화 1. 기존 화재안전기술기준에서의 과압방지조치 가. 과압이 발생하면 안되는 이유 차압 및 방연풍속을 유지해야 하는 공기량이 공급되는데 갑작스럽게 출입문이 폐쇄되는 우 제연구역에는 과압이 발생하게 된다. 과압이 발생하면 옥내에서 제연구역으로 열려야 하는 출입문이 110N 이상의 힘에서 열려야 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피난에 장애를 주게 된다. 나. 제연구역에 과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조치 이렇게 제연구역에 과압이 발생하는 것을 대비하기 위해 과압방지를 위한 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기존의 화재안전기술기준에서는 그 대표적인 것으로 자동차압급기댐퍼(구. 자동차압·과압조절형댐퍼)와 플랩댐퍼(Flap Damper)를 언급하였다. 2. 변경된 화재안전기술기준에서의 과압방지조치(‘24.4.1) 가. 과압방지조치를 하여야.. 더보기
부속실(전실) 제연설비의 급기풍도 설치 기준 급기풍도는 수직풍도로서 배출풍도와 동일한 구조이다. 제연구역 급기를 위한 수직풍도는 내화구조로 설치하여 건물의 화재에도 견디고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급기를 위한 수직풍도의 내부면은 공기의 저항이 없도록 두께 0.5mm 이상인 아연도금강판 또는 동등 이상의 내식성 및 내열성이 있는 것으로 설치한다. 또한, 아연도금강판 등으로 마감되는 접합부에 대하여는 통기성이 없도록 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급기풍도 중 수평풍도에 해당하는 부분 가. 수평풍도가 없도록 설치해야 한다. 급기풍도는 수직선상에 있는 제연구역에 공기를 불어 넣어주기 위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연구역과 최대한 밀접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수직풍도와 제연구역과의 거리가 있어서 부득이 수직풍도를 설치해야 한다면.. 더보기
부속실(전실) 제연설비에서 제어반의 기능 감시 및 원격조작 기능 가. 급기용 댐퍼의 개폐 급기용 댐퍼는 화재 발생시 수직 급기풍도 선상에 있는 모든 제연구역의 급기용 댐퍼가 동시에 개방되어야 한다. 그래야 전층에 누설량의 공기량을 불어넣어 각 제연구역마다 옥내와 40pa(스프링클러 설치시 12.5pa) 이상의 차압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자동으로 열려야 하는 급기용 댐퍼가 작동하지 않은 경우 제어반에서 이를 감시하여 관계자가 수동으로 개방해 주는 역할을 한다. 나. 배출댐퍼 또는 개폐기의 작동여부 배출댐퍼 또는 개폐기는 전층의 것이 개방되어서는 안된다. 화재가 발생한 해당 층의 배출댐퍼 또는 개폐기가 작동되어야 한다. 급기용 댐퍼는 모든 제연구역의 차압을 유지하기 위해 개방되는 것이지만, 배출댐퍼는 출입문이 열렸을 때 옥내로 불어오는 유입..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