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거실제연설비

거실 제연설비의 공기유입구 설치(바닥면적 400㎡ 미만인 거실) 거실 제연설비에서 공기 유입구의 설치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눈다. 먼저 바닥면적 400㎡ 미만의 거실인 경우, 두 번째 바닥면적 400㎡ 이상의 거실인 경우, 마지막으로 제연경계로 구획된 거실과 예상제연구역이 통로인 경우이다. 먼저 바닥면적 400㎡ 미만의 거실인 예상제연구역에 공기유입구를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바닥면적 400㎡ 미만인 거실 가. 바닥면적 400㎡ 미만인 거실 해당 여부 ① 제8조 제2항 제1호는 바닥면적이 400㎡ 미만인 거실의 예상제연구역이 벽으로 구획된 경우에 적용하는 조항이다. ② 예상제연구역이 400㎡ 미만인 소규모 거실이라도 거실 상호간에 제연경계로 구획된 경우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제연경계로 구획된 거실들은 결국 대규모 거실로 보아 제8조 제2항 제3호의 규정을 적용한.. 더보기
거실 A, B, C를 공동예상제연구역으로 하는 경우의 배출량 전체 천장의 높이는 3.2m이고, 제연경계의 폭은 0.6m 이다. 각 거실들은 제연경계로 구획되어 있으며 통로와 연결되는 출입문이 있다. 공동예상제연구역인 거실 A,B,C의 총 바닥면적 : 680㎡, 직경 : 39.45m 공동예상제연구역에서의 배출량 가. 공동예상제연구역이 벽 또는 제연경계로 구획된 경우의 배출량 산정 거실 제연설비를 적용함에 있어 거실 A, B, C를 공동예상제연구역으로 하고자 할 때 ①공동예상제연구역 안에 설치된 예상제연구역이 각각 벽으로 구획된 경우(출입구만을 제연경계로 구획한 경우 포함)에는 각 예상제연구역의 배출량을 합한 것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② 그리고 공동예상제연구역 안에 설치된 예상제연구역이 제연경계로 구획된 경우 배출량은 각 예상제연구역의 배출량 중 최대의 것으로 하여.. 더보기
거실 제연설비에서 예상제연구역별 배출량 산정 방법 전체 천장의 높이는 3.2m이고, 제연경계의 폭은 0.6m 이다. 각 거실들은 제연경계로 구획되어 있으며 통로와 연결되는 출입문이 있다.. 통로 D와 통로 E는 제연경계로 구획되어 있다. 거실 제연설비의 적용은 동일실 급배기 방식을 사용한다고 가정하여 각 거실별 배출량을 구하라. 예상제연구역 거실 A에 대한 배출량 ① 먼저 바닥면적을 살펴보자. 가로 40m × 세로 20m = 800㎡로서 예상제연구역의 바닥면적이 400㎡ 이상인 조건에 해당한다. 제6조(배출량 및 배출방식) 제2항을 적용해야 한다. ② 예상제연구역이 직경 40m 원의 범위 내인지 초과인지를 살펴보자. 예상제연구역의 대각선의 길이로서 원의 직경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피타고라스의 공식을 통해 대각선의 길이를 구한다. 대각선의 길이 a = 4.. 더보기
거실 제연설비의 배출풍도 폭 계산 방법 거실의 바닥면적 800㎡인 예상제연구역이 벽으로 구획되어 있는 경우이다. ①해당 예상제연구역의 배출량을 구하고, 해당 배출량을 배출하기 위해 설치하는 배출풍도의 높이를 600mm로 할 때 ②배출기의 흡입측 풍도의 최소폭(mm)을 구하시오. 먼저 예상제연구역의 배출량을 구한다. 가. 바닥면적 400㎡ 이상인 거실 문제에서 제시하고 있는 예상제연구역은 가로 40m, 세로 20m로서 바닥면적 800㎡인 거실이다. 그래서 예상제연구역의 바닥면적이 400㎡ 이상인 거실에 해당하고 벽으로 구획되어 있는 경우이다. 그러므로 거실 제연설비에서의 배출량은 제6조 제2항을 적용하여야 한다. 나. 400㎡ 이상인 경우 40m 원의 범위에 포함여부를 살펴봐야 한다. 제6조 제2항을 살펴보면 제1호 직경 40m 원 범위 안에 .. 더보기
수직거리가 2m 이하인 경우 배출량을 40,000㎥/hr로 적용하는 이유 바닥면적이 400㎡ 이상인 예상제연구역의 배출량 가. 거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 예상제연구역이 거실이고 해당 예상제연구역의 바닥면적이 400㎡ 이상이며 직경 40m 원 범위 내에 접하는 경우에는 배출량을 40,000㎥/hr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바닥면적이 400㎡ 이상인 거실에 대해 가장 기초가 되는 배출량이다. 나. 벽으로 구획된 예상제연구역에 대한 배출량이다. 이는 거실인 예상제연구역이 벽으로 구획되어 있는 경우에 적용한다. 벽으로 구획되어 있다는 것은 사방이 밀폐되어 연기가 인접 예상제연구역으로 확산되지 아니하고, 천장에 축적되면서 서서히 아래로 하강하는 양상을 가진다. 그래서 여기서는 벽으로 구획된 곳이라고 구분하여야 하고 수직거리라는 표현은 적용하지 않는 것이 맞는데, 굳이 수직거리라는 표현.. 더보기
Hinkley 공식으로 풀어보는 연기 하강시간(도달시간) 계산 거실인 예상제연구역에서 다음과 같이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① 힝클리(Hinkley) 공식을 사용하여 바닥에서 높이 2m까지 연기층이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s)과 ② 이론적으로 생성되는 연기의 생성량(kg/min)을 구하시오. - 벽으로 구획된 예상제연구역의 면적 : 20㎡ × 10㎡ = 200㎡ - 거실 반자까지의 높이 : 3m - 화재의 크기 : 가로 1m × 세로 1m - 연기의 밀도 : 0.45kg/㎥ 높이 2m 까지 연기층이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 가. 높이 2m의 의미 시험문제에서 연기층이 도달하는 높이를 제시하는 방법은 다양할 것이다. 제연경계 아래의 수직거리를 말할 수도 있고, 숙박시설의 객실에 대한 문제를 출제하는 경우에는 침대까지의 높이를 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천장으로부터 1m 하.. 더보기
거실 제연설비의 기초가 되는 힝클리(Hinkley) 공식 Hinkley 공식에 대해 알아보자. 가. 힝클리(Hinkley) 공식이란 화재로 인한 연기는 부력으로 상승하여 천장 또는 반자에 부딪힌 후 계속 축적되면서 연기층을 이루며 계속 하강하게 된다. 힝클리 공식은 연기가 천장에서부터 일정한 높이까지 하강하는데 걸리는 시간(t)을 측정하는 공식이다. 거실 제연설비에서는 청결층을 유지할 수 있는 시간 계산과, 제연경계의 수직거리와 관련한 연기 배출량에 적용되고 있다. 나. Hinkley 공식의 전제 Hinkley 공식을 유도하기 위해 적용하는 대기의 온도는 17℃(290K), 화염의 온도는 827℃(1,100K), 연기층의 온도는 300℃(573K)라고 가정하고 있고, 화재의 크기와 관련되는 화원의 둘레 길이는 12m일 때 열방출율 5MW로 전제하고 있다. 힝클.. 더보기
거실 제연설비의 배출구 설치와 관련한 수평거리 예상제연구역의 각 부분으로부터 가.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와 동일한 의미이다.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제7조(함 및 방수구등) 제2항에 있는 내용을 살펴보자. 화재안전기준에서는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옥내소화전 방수구까지의 수평거리가 25m 이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각 옥내소화전 방수구는 수평거리 25m 이내의 범위에 특정소방대상물 전체가 포함되도록 배치하여야 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나. 예상제연구역의 각 부분으로부터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에서도 동일하게 해석이 가능하다. 예상제연구역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배출구까지의 수평거리는 10m 이내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 의미는 각 배출구는 수평거리인 반지름 ..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