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방사압력

호스릴포소화설비와 포소화전설비의 방수구 수평거리가 다른 이유 수평거리가 다르게 규정되어 있다. 가. 화재안전기준에서 수평거리 적용 포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5) 제12조(포헤드 및 고정포방출구) 제3항에 차고 또는 주차장에 설치하는 호스릴포소화설비 또는 포소화전설비의 설치기준이 명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방호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각각의 방수구까지의 수평거리가 나오는데 서로 적용하는 거리가 다르다. 나. 두 가지 모두 이동식 포소화설비이다. 호스릴포소화설비 또는 포소화전설비 모두 고정식이 아닌 이동식 포소화설비의 한 종류이다. 즉 소화전 함과 방수구는 고정되어 있지만, 방수구로부터 연결된 호스릴이나 호스를 관계자가 직접 화재가 발생한 부분까지 이동시켜서 소화를 시도하는 소화설비이다. 다. 그런데 수평거리가 다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호스릴포소화설비는.. 더보기
포소화설비의 포헤드 및 호스릴 포소화설비의 수평거리 적용 포소화설비의 포헤드 간격을 구하는 r값 가. 포헤드 상호간 거리를 구할 때 필요한 유효반경(r값) 포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5) 제12조(포헤드 및 고정포방출구) 제2항에서 포헤드 설치기준을 규정하고 있는데 그중 제5호를 살펴보자. 나. 유효반경(r값)이 방호구역 각 부분과의 수평거리이다. 방호구역에 포헤드를 정방형 또는 장방형으로 배치하는 경우 r값인 유효반경을 적용하는데 이때 모두 2.1m를 적용한다. 즉 포헤드가 방사되었을 때 유효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유효반경이 2.1m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방호구역 전체에 포가 유효하게 뿌려져야 하므로 포헤드를 중심으로 반지름 2.1m 원 안에 모든 방호구역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는 스프링클러 헤드에서 수평거리 적용하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다.. 더보기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 헤드에 적용되는 RDD와 ADD 소방시설의 수원을 구한다는 것은 스프링클러에서 방사되어야 할 소화수가 얼마나 필요한지를 구하는 것이다. 그런데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 설비에서 더 중요한 것은 실제 가연물에 표면에 도달하는 소화수의 양은 어느 정도인지 아는 것도 필요하다. 계산상 도출된 소화수의 양과 실제 소화에 사용된 소화수의 양이 다르기 때문인데, 이를 RDD와 ADD로 표현한다. 필요살수밀도(RDD) 가. 개념 필요살수밀도인 RDD는 필요진화밀도 또는 분포밀도라고도 부른다. 그런데 대부분 RDD라고 부르는 경우가 더 많다. RDD(Required Delivered Density)는 필요살수밀도이므로 일정 크기의 화재를 진압하는데 필요한 수량을 나타내는 척도이다. 즉, 단위 면적당 어느 정도의 소화수를 방사해야 화재가 진압되는지를 .. 더보기
가스계 소화약제 저장용기실을 꼭 별도로 설치해야 할까? 지난 포스팅에서는 가스계 소화약제 저장용기실을 왜 별도로 설치하는지 그 이유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번에는 가스계 소화약제 저장용기실을 꼭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지, 혹시 문제점은 없는지 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소화약제 저장용기실을 별도 구성하면 어떤 단점이 있을까 가. 별도의 저장 공간이 필요하다. 건축주 입장에서는 가스계 소화약제 저장용기 실을 별도로 구성해야 하므로 활용할 수 있는 공간 하나가 없어지는 셈이다. 방호구역 내에 소화약제 저장용기를 비치한다면 별도의 공간이 필요 없다. 그런데 화재안전기준에서 방호구역 외의 장소에 방화문으로 구획하라고 하였으니 원칙대로 별도의 소화약제 저장용기 실을 만들고 있는 것이다. 나. 배관의 길이가 길어진다. 방호구역이 한 곳에 모두 모여 있는 경우가 많지 않다..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