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하나의 방호구역의 바닥면적

공동주택에서 스프링클러설비의 방호구역 적용 방법 1. 스프링클러설비의 방호구역 설정 방법가.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103)에서의 설정 방법  하나의 방호구역의 바닥면적은 3,000㎡를 초과하지 않으면서 하나의 방호구역은 2개 층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하나의 방호구역에는 1개 이상의 유수검지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나. 공동주택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608)에서의 설정 방법  하나의 방호구역은 2개 층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 규정이 전부다. 그 이유는 공동주택의 경우 하나의 층이 3,000㎡에 이르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당연히 하나의 방호구역에는 하나 이상의 유수검지장치를 설치하면 된다. 다. 지붕층 설비 등공동주택에는 지붕층 그리고 옥탑층이라고 불리우는 곳이 있다. 지붕층에는 고가.. 더보기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방호구역 1. 방호구역이란 가.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방호구역이란?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방호구역이란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소화범위에 포함된 영역을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103A) 2.3.1에서 찾아볼 수 있다. 즉, 유수검지장치 및 간이헤드에 의해 소화가 가능한 일정한 영역을 방호구역이라고 말한다. 더 세밀하게 말하면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유수검지장치 하나가 담당하는 구역이라고 말할 수 있다. 나. 방호구역과 방수구역의 차이 ① 방호구역은 유수검지장치가 담당하고 있는 구역을 말한다. 유수검지장치가 개방되었다고 해서 해당 구역 전체에 소화수가 방수되지는 않는다. 열을 감지한 헤드만 개방되고, 개방된 헤드에서만 소화수가 방수된다. 나머지 헤드에서는 소화수가 방수되지 않고 여.. 더보기
근린생활시설에 설치하는 스프링클러설비의 방호구역 개수 지하 3층, 지상 15층, 내화구조로 설치된 근린생활시설에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고자 한다.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기 위한 최소 방호구역의 수를 산정하시오. 지하 1층 ~ 지하 3층 : 주차장 지상 1층 ~ 15층 : 근린생활시설 층별 면적 - 지하 1층 ~ 지하 3층 : 5,000㎡ - 지상 1층 ~ 지상 5층 : 4,000㎡ - 지상 6층 ~ 지상 15층 : 2,500㎡ 방호구역 산정 기준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한다고 하였으므로 폐쇄형 헤드를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방호구역의 바닥면적은 3,000㎡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하면 된다. 방호구역은 2개의 층에 미치지 아니하여야 하므로, 하나의 층에서의 바닥면적이 3,000㎡가 초과되지 않도록 설정한다. 방호구역의 수 가. 지하 .. 더보기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