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소방시설에서 Fail Safe 적용 사례 Fail Safe와 Fool Proof의 출발 가. 들어가며 지난 글에서 Fail Safe와 Fool Proof의 개념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소방시설 중 Fool Proof를 적용하여 설치하는 것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Fool Proof는 사람의 과오에 의한 실수를 줄이고자 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화재와 같은 급박한 상황에 인지능력이 현저히 떨어진 상태에서도 쉽게 피난하고, 빨리 발견하며, 기구를 조작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 Fool Proof의 목적이라고 했다. 나. Fail Safe가 달성하고자 하는 것 Fail Safe는 기계가 가질 수 있는 실패 또는 오작동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데 초점이 있다. 기계는 언제든지 고장날 수 있기 때문에 주요 기계 및 부품들을 제2의 방법으로 대체할 수 있도.. 더보기
소방시설에서 Fail Safe와 Fool Proof의 적용 Fail Safe와 Fool Proof는 안전공학 분야에서 자주 등장하는 용어이다. 그런데 이를 소방시설에도 적용하고 있으니 어떤 방법으로 적용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용어의 개념을 알아보고, 이번 글에서는 Fool Proof가 소방시설에서 어떤 방식으로 적용되고 있는지 알아보자. Fail Safe는 다음 글에서 다루도록 한다. 먼저 Fail Safe와 Fool Proof가 뭔지 알아보자. 가. Fail Safe Fail Safe는 시스템이나 기계장치의 이상이 있는 경우 이를 대체할 다른 수단을 강구하는 것이다. 달리 말하면, 이중 안전장치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20층에 사는 사람이 엘리베이터를 타기 위해서는 전원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런데 어떠한 이유로 정전되면 해당 엘리베이터 시스.. 더보기
반응속도지수 RTI와 RDD, ADD와의 상관관계 RTI와 RDD, ADD의 상관관계를 알기 위해서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지특성과 방사특성을 먼저 이해해야 한다. 스프링클러 헤드가 가지고 있는 화재 제어 특성과 화재 진압 특성을 이해하고 RTI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RDD와 ADD는 조기진압형 스프링클러 설비인 ESFR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지특성과 방사특성 가. 헤드의 감지특성 헤드의 감지특성은 화재가 발생한 시점부터 실제 헤드가 개방되어 방사가 이루어지는 시간과 관련된다. 감열체의 열기에 대한 반응이 빠르면 그만큼 빨리 감열체가 개방될 것이고 감열 능력이 떨어지면 개방 시간도 늦어진다. 스프링클러 헤드의 이러한 특성에는 반응시간지수라고 하는 RTI(Response Time Index)와 열손실계수(Heat Loss Coeffi.. 더보기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 헤드에 적용되는 RDD와 ADD 소방시설의 수원을 구한다는 것은 스프링클러에서 방사되어야 할 소화수가 얼마나 필요한지를 구하는 것이다. 그런데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 설비에서 더 중요한 것은 실제 가연물에 표면에 도달하는 소화수의 양은 어느 정도인지 아는 것도 필요하다. 계산상 도출된 소화수의 양과 실제 소화에 사용된 소화수의 양이 다르기 때문인데, 이를 RDD와 ADD로 표현한다. 필요살수밀도(RDD) 가. 개념 필요살수밀도인 RDD는 필요진화밀도 또는 분포밀도라고도 부른다. 그런데 대부분 RDD라고 부르는 경우가 더 많다. RDD(Required Delivered Density)는 필요살수밀도이므로 일정 크기의 화재를 진압하는데 필요한 수량을 나타내는 척도이다. 즉, 단위 면적당 어느 정도의 소화수를 방사해야 화재가 진압되는지를 .. 더보기
가스계 소화설비의 수동식 기동장치 설치방법을 알아보자. 이전 포스팅에서 가스계 소화설비 방호구역 입구에 설치하는 수동식 기동장치의 설치 이유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수동식 기동장치 인근에 설치해야 하는 비상스위치의 전반적 사항에 대해서도 검토했다. 이번 글에서는 수동식 기동장치를 어떻게 설치해야 하는 것인지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6)을 바탕으로 살펴보도록 하자. 수동식 기동장치의 설치 기준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6)에 따라 수동식 기동장치는 아래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이 경우 수동식 기동장치의 부근에는 소화약제의 방출을 지연시킬 수 있는 비상스위치(자동복귀형 스위치로서 수동식 기동장치의 타이머를 순간정지 시키는 기능의 스위치를 말한다)를 설치하여야 한다. ① 전역방출방식은 방호구역마다, 국소방.. 더보기
가스계 소화설비의 수동식 기동장치, 그리고 비상스위치 가스계 소화설비는 방호구역 입구에 수동식 기동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가스계 소화설비의 종류는 각각 다르다. 그러나, 대부분 유사한 규정을 가지고 있어서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6)을 기준으로 수동식 기동장치의 설치 이유와 비상스위치에 대해 알아보자. 수동식 기동장치는 왜 필요한가? 가.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교차회로 배선에 문제가 생겼을 때 필요하다. 방호구역에 화재가 발생하면 방호구역 내에 설치된 교차회로 방식의 감지기 시스템에 의해 인식되어 화재신호를 발신하게 되고 이를 바탕으로 가스계 소화설비가 자동으로 작동한다. 그런데 교차회로 배선은 보이지 않는 문제점이 야기되어 있다. 인접하는 두 개의 감지기가 작동되어야 하므로 일단 시간이 소요된다. 만약, 두 회로의 감지기 중 하나라도 .. 더보기
산소한계지수 LOI에 대해 알아보자. 한계산소지수(LOI)란 무엇인가? 가. 한계산소지수(LOI)에 대한 용어 정의 한계산소지수(Limited Oxygen Index)란 시료가 발화되어 열원을 제거 하였을 때 3분간 꺼지지 않고 연소하는데 필요한 공기 중의 최소 산소부피(%) 함량을 말한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재료가 연소를 지속하는데 필요한 최저한의 산소 체적분율(%)을 말한다. 경우에 따라 산소한계지수 또는 최소산소지수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지만, 정확한 용어는 한계산소지수(LOI)가 맞다. 나. 한계산소지수 측정 방법 한계산소지수는 어떻게 측정하는지 이전의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을 통해 한계산소지수 측정 방법을 알아보자. 측정하고자 하는 시료를 두께 3mm, 가로 6mm, 세로 150mm의 크기로 제작한다. 온도가 50℃ ± 2℃인 .. 더보기
연소범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연소범위의 필요성 연소범위는 항상 일정할까? 가. 연소범위와 연소한계 이전 글에서 연소범위와 연소한계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연소범위란 연소하한계와 연소상한계의 사이를 말하는 것인데, 이 하한계와 상한계의 사이의 범위가 연소범위이다. 그리고, 연소한계를 설명하면서 연소하한계와 연소상한계를 공식으로 풀어내는 방법까지 설명하였다. 특히 가연성 기체 하나의 연소한계를 구하는 방법인 Jone’s 식과 혼합기체에서의 연소한계를 구하는 공식인 르샤틀리에(Le Chatelier) 공식도 살펴보았다. 나. 연소범위는 상황에 따라 변한다. 연소범위를 측정할 때 상온 상압하의 조건에서 연소범위를 측정한다. 우리가 아는 연소하한계와 연소상한계는 정해진 조건에서의 측정되는 연소범위에 해당한다. 그런데 현실에서의 조건은 상황마다 달라질 수밖에 없..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