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

포헤드 설치 개수 계산시 주의할 점 주의 깊게 이해해야 할 사항 가. 수원 보유량과 관련된 조항 포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5) 제5조(수원) 제1항에서 의미있는 내용이 발견된다. 나. 괄호안의 의미는 포헤드의 설치 수량을 말하고자 하는 것이다. ‘바닥면적이 200㎡를 초과한 층은 바닥면적 200㎡ 이내에 설치된 포헤드를 말한다’라는 규정에서 많이 혼동스럽다. 이 의미는 다음과 같다. 포헤드를 설치해야 하는 곳이 200㎡를 넘는 경우에는 그 전체 면적과 상관없이, 포헤드 설비에 필요한 수원을 계산할 때에는 200㎡ 내에 설치된 포헤드 개수에서 10분간 방사할 수 있는 양으로 계산하면 된다는 의미이다. 이 규정은 포헤드 설비에 필요한 수원의 양이 얼마만큼 필요한가에 해당하는 것이지, 포헤드의 설치 한계 수량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더보기
차고(주차장)에 포헤드 설치 개수 산정 포소화설비중에서 포헤드에 관한 사항이 종종 문제로 떠오르곤 한다. 이번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주차장(차고)에 포헤드를 설치하는 경우 포헤드 설치 개수를 산정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포헤드 설치 개수를 산정해 보자. 가. 포헤드 설치 조건 차고나 주차장에 포헤드를 설치하는 경우, 포헤드를 몇 개 설치해야 하는지 알아보자. 포헤드를 설치해야 하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 나. 포헤드를 무엇으로 봐야 하는가? 포헤드에는 다음의 두 가지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①포워터스프링클러 헤드와 ②포헤드를 통칭해서 포헤드라고 표현한다. 그런데 조건에 포헤드를 설치한다고 했으면 둘 중에 어떤 것을 적용해야 할까? 비록 포헤드가 두 가지를 모두 포함하고 있더라도 조건에 다른 말이 없으므로 ②에 해당하는 포헤드를 적용하면 된다. .. 더보기
포소화설비에서 포헤드 개수 산출 방법 포헤드는 ①포워터스프링클러헤드와 ②포헤드 두가지 모두를 포함한 개념이다. 포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5) 제5조(수원) 제1항을 살펴보면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포워터스프링클러헤드는 왜 헤드 배치기준이 없을까? 라고 의아해 하지 않아도 된다. 바닥면적을 기준으로 한 설치개수 산정 포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5) 제12조(포헤드 및 고정포방출구) 제2항을 살펴보면 포헤드는 바닥면적을 기준으로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① 포워터 스프링클러헤드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천장 또는 반자에 설치하되, 바닥면적 8㎡마다 1개 이상으로 하여 해당 방호대상물의 화재를 유효하게 소화할 수 있도록 할 것 ② 포헤드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천장 또는 반자에 설치하되, 바닥면적 9㎡마다 1개 이상으로 하여 해당 방호대.. 더보기
NFPA13에서 스프링클러 헤드의 살수밀도를 알아보는 방법 NFPA13에서 스프링클러 헤드의 살수밀도를 정리하다 보면 익숙한 용어들이 나오는데 이 용어들이 비슷하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명확하게 그 의미를 구별할 수 있어야 혼동하지 않고 살수밀도와 방호면적 그리고 방수구역의 면적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위 표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가. 방수구역 면적이라는 용어를 먼저 알아야 한다. 여기서 방수구역 면적(Area of sprinkler operation)은 폐쇄형 헤드의 개방이 허용되는 개수(기준 개수)가 담당하는 면적이다. 더 쉽게 설명하자면, 우리나라는 최소 기준개수가 10개이고, 최대 기준개수가 30개이다. 그러므로 방수구역 면적 = 방호면적 × 헤드의 최대(또는 최소) 개수로 계산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나. 방수구역 면적과 방호면적의 관계를.. 더보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살수밀도 구하는 방법 살수밀도를 알기 위해서는 방호면적을 알아야 한다. 가. 방호면적(포용면적) 방호면적이란 스프링클러 헤드 하나가 방호하는 면적을 말한다. 그런데 여기서 방호면적이란 우리가 생각하는 원의 모양이 아닌 사각형 모양이다. 다시 말하면 헤드를 중심으로 수평거리로 둘러쌓인 면적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헤드와 헤드 그리고 가지배관과 가지배관으로 연결된 사이의 면적을 말한다. 헤드간의 거리와 가지배관과의 거리를 곱한 값을 방호면적(포용면적)이라 한다. 더 이해하기 쉽게 말하면 인접하는 헤드 4개를 직선으로 연결한 면적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나. 방호면적을 구해야 하는 이유 방호면적을 먼저 구하는 이유는 살수밀도를 구하기 위해서 이다. 스프링클러 헤드의 분당 방수량은 80ℓ인데, 이 만큼의 방수량이 어느 정도의 방호면적.. 더보기
헤드의 수평거리와 유효살수반경은 같은 의미일까? 스프링클러 헤드의 수평거리 가. 스프링클러 헤드까지의 수평거리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10조(헤드) 제3항에서 이 용어가 등장한다.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는 천장·반자·천장과 반자사이·덕트·선반 등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스프링클러 헤드까지의 수평거리를 규정하고 있다. 나. 간이헤드까지의 수평거리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제9조(간이헤드)에서 수평거리가 규정되어 있다. 간이헤드를 설치하는 천장·반자·천장과 반자사이·덕트·선반 등의 각 부분으로부터 간이헤드까지의 수평거리는 2.3m(「스프링클러헤드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유효반경의 것으로 한다)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성능이 별도로 인정된 간이헤드를 수리계산에 따라 설치하는 경.. 더보기
공동주택(아파트) 세대 내 거실에 설치하는 헤드의 수평거리 적용 화재안전기준과 형식승인 기준의 차이 가. 공동주택(아파트) 세대 내의 거실에 설치하는 헤드의 수평거리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10조(헤드)에서 공동주택(아파트) 세대 내의 거실에 있어서는 수평거리가 3.2m 이하이다. 그런데 해당 조항의 끝 괄호 안에 「스프링클러헤드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유효반경의 것으로 한다고 추가로 규정하고 있다. 그렇다면 스프링클러 헤드를 형식승인 받을 때의 유효반경을 살펴보자. 나. 현재 형식승인 기준에는 r 2.3과 2.6만 있다. 스프링클러헤드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제15조(살수분포시험)를 살펴보자. 헤드의 살수분포는 방수압력범위 0.1㎫에서 1㎫까지의 방수압력으로 방수하는 시험에서 유효살수반경 r값으로 2.3과 2.6을 사.. 더보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수평거리 적용 수평거리에 관한 기준 가. 스프링클러 헤드가 갖는 수평거리란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10조(헤드) 제3항에서 스프링클러 헤드와 헤드를 설치하는 소방대상물의 각 부분과의 수평거리에 관한 기준이 나온다. 어디서부터 어디까지의 거리인가를 살펴보면 천장·반자·천장과 반자 사이·덕트·선반 등의 각 부분 ~ 하나의 스프링클러 헤드까지의 수평거리를 말한다. 나. 소방대상물별 헤드까지의 수평거리 무대부는 헤드간 거리가 너무 가까운데? 가. 무대부는 수평거리를 왜 이렇게 짧게 설정했을까? 무대부 각 부분으로부터 헤드까지의 수평거리가 1.7m로 가장 짧다. 그 이유는 무대부는 수많은 전등과 무대 작동을 위한 기계들을 위해 전선이 많이 설치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커튼과 무대 장치들에 의해 연소확대가.. 더보기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