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연소범위는 어떻게 구하는 것일까? 잘 알려진 가연성 가스의 연소범위는 인터넷에서 검색하면 얻을 수 있다. 이들은 시험을 통해 연소범위가 구해져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잘 알려지지 않은 것들의 연소범위는 찾을 수 없다. 그럴때는 공식을 통해 연소하한계와 연소상한계를 구해야 한다. 시험을 통해 연소범위를 구하는 방법과 공식을 통해 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시험을 통한 연소범위(Flammability Range) 측정 방법 가. 시험기기 구성 연소범위는 실험에 의해 측정한다. 그중 전문기술 서적에서 언급하고 있는 미국 광산국에서의 측정방법을 소개한다. 먼저 내경이 5cm이고 길이가 1.5m인 긴 원통형 수직관을 설치한다. 해당 수직관은 아래는 개방되어 있고 상단부는 막혀져 있는 상태이다. 내경이 5cm인 관을 사용하는 이유는 그 이하로 .. 더보기
가연성 증기의 연소범위와 연소한계에 대하여 가연성 증기는 연소범위가 존재한다. 공기 중에 가연성 증기가 체적 백분율로 몇 % 정도 포함되어 있을 때 연소가 이루어지는가를 알 수 있는 범위이다. 그리고 연소범위의 하한과 상한이 존재하는데 이를 연소하한계 및 연소상한계라고 부른다. 연소범위와 연소한계를 구분하고 내용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자. 연소범위(Flammability Range)란 무엇인가? 메탄의 연소범위는 5.0% ~ 15%이다. 이것이 무슨 뜻일까? 공기 중에 메탄이 5% 이상 형성되면 연소가 가능하다는 뜻이다. 그러나 메탄의 농도가 15% 이상이 되면 점화원을 만나도 연소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연소범위는 가연성 증기가 공기와 혼합하여 연소를 일으킬 수 있는 범위를 말한다. 여기서의 농도 5% 또는 10%는 공기 중 .. 더보기
화재성장속도(T자승 Fire)는 왜 1MW를 기준으로 할까? 이전 포스팅에서 화재성장속도라는 것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화재가 얼마나 빨리 성장하는가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열방출률(HRR)이 1MW에 도달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Ultrafast, Fast, Medium, Slow 이렇게 4단계로 구분한다고 하였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화재성장속도를 T자승 Fire라고 부르는 이유, 공식이 갖고 있는 내용, 그리고 1MW를 기준으로 화재성장속도를 평가하는 이유를 알아보기로 한다. 화재성장속도 공식 가. 화재의 열방출률을 알기 위한 공식 Q = aT^2이라는 공식에서 알고자 하는 것은 HRR이라고 부르는 열방출률 Q(w)이다. a는 화재성장속도 상수이다. T는 진행된 시간, 즉 화재가 성장한 시간이며, 단위는 sec를 사용한다. 화재에서 발생한 열량의 크기 Q.. 더보기
화재성장속도라고 부르는 T자승 Fire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화재성장속도란 무엇을 말하는가? 가. 화재성장속도란 T^2 Fire(T자승 Fire)라고 부르는 화재성장속도는 화재의 열방출률이 1MW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소요시간을 말한다. 즉, 발화하여 화재로 성장한 후 어느 시점에 열방출률인 HRR이 1MW가 되는가를 기준으로 측정하는 것이다. NFPA에서는 이 시간을 초 단위로 구별하여 총 4단계로 설명하고 있다. 화재의 HRR이 1MW(1,055kw)에 가장 빨리 도달하는 순서를 기준으로 Ultrafast, Fast, Medium, Slow 이렇게 4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나. 화재성장속도와 화재진압의 상관관계 화재성장속도가 빠르다는 의미는 순식간에 열방출률(HRR)이 1MW에 도달한다는 의미이다. 즉, T^2 Fire라고 부르는 이유는 화재성장속도에 따라 초기.. 더보기
할론 소화약제와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의 차이 가스계 소화설비에 할론 소화약제와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가 존재한다. 사실 그녀석이 그녀석일 것 같은데 왜 구분을 두었는지 그 차이가 무엇인지 알아보기로 하자. 할론 소화약제 가. 할론 소화약제란 할론 소화약제는 탄화수소 중에 하나 이상의 수소원자가 할로겐 계열에 속하는 원자로 치환된 형태의 소화약제를 말한다. 할로겐 계열에 속하는 원자로는 불소(F), 염소(Cl), 브롬(Br), 요오드(I)가 있다. 나. 화재안전기준에서 정하고 있는 할론 소화약제 - 할론 1301 (CF3Br) - 할론 1211 (CF2ClBr) - 할론 2402 (C2F4Br2) 할론 소화약제는 4자리의 번호로 구성된다. 순서대로 말하면 탄소, 불소, 염소, 브롬 순이며, 숫자에 따라 원소의 개수가 달라진다. 따라서 할론 1301을 .. 더보기
할론 1301, 체적당 소화약제량이 정해지는 원리를 알아보자. 할론 1301의 체적당 소화약제량은 0.32kg/㎡ ~ 0.64kg/㎡이다. 최소설계농도 5%를 적용하였을 때는 0.32kg/㎥이고, 최대설계농도 10%를 적용할 때는 0.64kg/㎥인 것이다. 그러면 설계농도에 따른 소화약제량은 어떻게 정해지는 것일까? 할론 1301 소화약제의 비체적(선형상수) 할론 소화약제의 비체적을 구하는 것도 결국은 S = K1 + K2 × t로 구한다. NFPA 12A에서는 할론의 비체적 S를 구할 때 K1 : 0.14781, K2 : 0.000567을 적용한다. 그래서 할론 1301의 비체적 S = K1 + K2 × t에서 S = 0.141781 + 0.000567 × 25℃가 된다. 이를 계산하면 S = 0.162㎥/kg이 나온다. NFPA 12에서의 계산식을 보면서 한가지.. 더보기
할론 소화약제는 최소설계농도와 최대설계농도가 존재하는 이유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나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는 방호대상별로 하나의 설계농도가 존재한다. 그런데 할론은 특이하게 방호대상별로 설계농도가 최소설계농도 및 최대설계농도 두 가지로 존재한다. 그 이유와 왜 그런지 원리를 살펴보자. 할론 소화약제의 소화농도 할론 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7) 제5조(소화약제)를 살펴보자. 할론 소화약제의 저장량을 산정하기 위한 기준이 나와 있는데, 그중 제1호의 전역방출방식을 보면 먼저 다음 표에 의해 선출한 양 이상으로 하고, 두 번째는 개구부가 있는 경우 가산량을 적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중 기본이 되는 약제량 적용표를 살펴보자. 인체에 영향을 주는 농도 가. NOAEL(No Observable Adverse Effect Level) NOAEL을 해석하면 무관찰 부작.. 더보기
Soaking Time은 정확히 언제부터 언제까지인가? 설계농도 유지시간인 Soaking Time은 언제부터 언제까지일까? 대충 생각해보면 답이 나올 것 같은데 막상 정확하게 이야기 해보라고 하면 쉽게 답을 내지 못하는 숙제이다. 서적에서는, NFPA는, 화재안전기준 해설서에서는 어떻게 기준을 잡고 있는지 알아보자. Soaking Time이란 무엇인가? 가. 개념을 알아보면 Soaking Time 또는 설계농도 유지시간이라는 말은 가스계 소화설비에서 자주 등장하는 용어이다. 가스계 소화약제가 방호구역에 방사되어 소화농도 이상의 설계농도를 달성하여 화재를 진압한 후 다시 재발화되지 않도록, 충분한 시간동안 방호구역 내의 소화약제 농도를 설계농도로 유지하는 시간을 설계농도 유지시간이라고 한다. 나. 가스계 소화약제의 특징 가스계 소화약제는 특성상 자유롭게 공기 ..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