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

내 아파트 주방에는 주거용 주방자동소화장치가 설치되어 있는가? 주거용 주방자동소화장치란 주거용 주방자동소화장치란 주거용 주방에 설치된 열발생 조리기구의 사용으로 인한 화재 발생시 열원(전기 또는 가스)을 자동으로 차단하며 소화약제를 방출하는 소화장치를 말한다. 주거용 주방자동소화장치는 주방 가스렌지에서의 화재 발생시 가스를 차단시키고 소화약제를 분출하여 화재를 자동으로 진압하는 기능을 한다. 많은 가정이 가스렌지를 사용하고 있어서 호스의 중간 부분에 가스를 차단하는 차단장치가 설치된다. 요즘에는 아파트의 주방에 인덕션이 많이 설치되고 있는데, 인덕션의 경우에도 전기를 차단하는 장치와 함께 주거용 주방자동소화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소방시설에 해당하는가? 소방시설이란 화재를 진압하고 피난을 도와주며 소화활동에 필요한 설비들을 말한다. 소방시설법에서는 소방시설의 종류로 .. 더보기
휴대용 가스로 부탄을 사용하는 이유 휴대용 가스로 부탄을 사용하는 이유 가. 발열량이 좋다. 음식을 조리하기 위해서는 불이 잘 붙어야 한다. 즉, 화력이 좋아야 음식을 조리하는데 좋다. 프로판의 발열량은 12,000Kcal/Kg임에 비해 부탄은 24,000Kcal/Kg으로 두 배에 해당한다. 발열량의 단위를 Kcal/kg이 아닌 kg/N㎥으로 본다면 부탄은 30,000Kg/N㎥, 프로판은 24,000kg/N㎥에 해당한다. 그래서 휴대용 가스로 발열량이 좋은 부탄을 사용한다. 나. 안정적이어야 한다. 불이 붙는 가연성 가스는 수소, 아세틸렌, 메탄, 프로판, 부탄 등이 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안정적이냐의 문제이다. 아세틸렌은 연소범위도 넓고 화력도 좋지만 자체적으로 분해하면서 폭발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실온에서 그리고 가정이나 .. 더보기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 설비의 Interlock System 스프링클러 설비 종류 중 준비작동식에 사용하는 밸브를 프리액션 밸브(Pre Action Valve)라고 부른다.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 설비 시스템을 살펴보면 프리액션 밸브의 1차측에는 소화수가 있고 2차측에는 대기압 상태의 공기가 있다. 우리나라는 Single Interlock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데, 프리액션 밸브가 개방되는 방식에 따라 Single Interlock, Double Interlock, Non Interlock System 세 가지가 있다. Single Interlock System 가. 구성방식과 동작원리 화재로 인해 감지기가 작동되면 프리액션 밸브가 먼저 열려서 소화수를 배관으로 보내고 열에 의해 헤드가 감지되면 헤드가 개방되면서 소화수가 쏟아지는 시스템이다.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 더보기
인테리어 하다가 스프링클러 헤드 위치 움직여도 되나? 실내 인테리어를 하다보면 뭔가를 설치해야 하는 위치에 하필 스프링클러 헤드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 헤드 한 두 개의 위치를 옆으로 조금 움직여서 설치해도 되는가 하는 의문점이 생긴다. 스프링클러 헤드 위치를 움직여서 설치해도 되나? 스프링클러 헤드의 위치 중요성 가. 살수반경이 포함되어야 한다.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는 천장, 반자, 천장과 반자사이, 덕트, 선반 등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스프링클러 헤드까지 지켜야 할 수평거리가 있다. 무대부 및 특수가연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에 있어서는 1.7m 이하, 랙크식 창고에 있어서는 2.5m 이하, 공동주택 세대 내의 거실에 있어서는 3.2m 이하, 내화구조의 건물에서는 2.3m 이하, 기타의 경우에는 2.1m 이하이다. 수평거리가 곧 살.. 더보기
유류탱크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현상들 Boil Over 가. Boil Over 현상이란 중질유를 저장하고 있는 위험물 탱크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탱크의 하부에 수분이 존재하는 경우 발생하는 현상이다. 탱크 표면에서 축적된 화재의 열기가 바닥의 수분에 전달되어 수분을 비등 팽창시킴으로써 유류가 탱크 밖으로 쏟아져 나오는 현상을 Boil Over 현상이라고 한다. 탱크에 저장된 유류의 상부에 화재로 열이 지속적으로 축적되어 열류층(Heat Layer)이 형성된다. 화재가 장시간 진행되면 열류층의 두께가 두터워지고 열류층이 아래로 점점 하강하게 되는데 결국 바닥에 있던 수분층과 만나게 된다. 물은 100℃에서 약 1,700배의 수증기로 팽창하는데 열류층의 온도가 200℃ ~ 300℃에 해당하므로 수분을 기화시키게 된다. 결국 Boil Over .. 더보기
Ceiling Jet Flow가 왜 중요한가? Ceiling Jet Flow가 무엇인가를 알아보고, 소방 입장에서 왜 중요한지 소방시설을 설치함에 있어서는 어디에 반영하는지 알아보자. Ceiling Jet Flow가 뭔가요? 가. 천장을 타고 흐르는 열기류 Ceiling Jet Flow를 한국말로 한다면 천장류 흐름이라고 표현한다. 화재가 발생하면 Fire Plume에 의해 연소된 고온의 연소생성물들이 수직으로 상승하여 천장에 부딪히게 된다. 천장에 부딛친 후 화재의 열기는 천장에서 굴절되어 천장을 타고 퍼지게 되는데 이 흐름을 Ceiling Jet Flow라고 한다. 고온의 열기류가 수직 상승하는 속도는 2 ~ 3m/s로 빠르지만 천장에 부딛힌 후 천장면을 타고 흐르는 속도는 0.3 ~ 1m/s로 줄어든다. 천장류는 화재 초기에 형성되며, 두께는 .. 더보기
아파트는 방염 대상인가? 아파트는 방염 대상일까? 가. 방염 대상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9조에 따라 방염성능기준 이상의 실내장식물 등을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범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근린생활시설 중 의원, 체력단련장, 공연장 및 종교집회장 ② 건축물의 옥내에 있는 시설로서 다음 각 시설 - 문화 및 집회시설, 종교시설, 운동시설(수영장은 제외) ③ 의료시설 ④ 교육연구시설 중 합숙소 ⑤ 노유자시설 ⑥ 숙박이 가능한 수련시설 ⑦ 숙박시설 ⑧ 방송통신시설 중 방송국 및 촬영소 ⑨ 다중이용업소 ⑩ 위에 열거하지 않는 것으로서 11층 이상인 것(아파트는 제외) 나. 아파트는 방염 대상인가? 결론적으로 아파트는 방염을 해야 하는 대상이 아니다. 위 ⑩번 항목에 따라 아파트는.. 더보기
피난설계에서 RSET은 줄이고, ASET은 늘려보자. RSET과 ASET에 대해 가. RSET (총 피난시간) RSET(Required Sefety Escape Time)은 총 피난시간 또는 최소 피난시간으로 정의된다. 재실자가 있던 장소에서 화재를 인지하고 대피를 시작하여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는데 까지 소요되는 물리적 시간이다. 화재가 발생한 시각으로부터 화재감지 + 경보 + 지연 + 대피를 통해 대피가 완료되는 순간까지의 시간이다. 나. ASET (허용 피난시간) ASET(Available Safety Escape Time)은 허용 피난시간으로 표현한다. 총 피난시간인 RSET에 여유 시간을 확보했을 때 이를 ASET이라 한다. 사람이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는 각종 위협요소(열, 연기, 유독가스)들이 인명안전 기준 이하로 되는 시간 즉, 전.. 더보기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