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

소화기에 들어있는 분말은 어떤 원리로 화재를 진압하는가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소화기는 ABC 분말 소화기라고 한다. 소화기 내에는 분말이라는 소화약제가 들어 있다. 화재가 발생했을 때 뿌려지는 분말이 어떤 역할을 하길래 화재를 진압하는 것인지 알아보도록 하자. 분말 소화약제의 종류 분말 소화약제는 1종 분말부터 4종 분말까지 총 4가지가 있다. 각 소화약제 종류별로 주성분도 다르고 색상도 다르며 화재의 적응력도 다르다. 아래 표에서 눈여겨봐야 할 것은 제3종 분말이다. 적응 화재를 보면 다른 분말 소화약제와 달리 A급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기 때문이다.. 구분 주성분 화학식 색상 적응화재 제1종 분말 중탄산나트륨 NaHCO3 백색 B, C급 제2종 분말 중탄산칼륨 KHCO3 자색 B, C급 제3종 분말 제1인산암모늄 NH4H2PO4 담홍색 A,.. 더보기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는 방출되면 부피가 몇 배로 팽창할까? 이상기체상태 방정식 이산화탄소 소화약제의 부피를 계산할 때에는 이상기체상태 방정식을 사용해보면 알 수 있다. PV = nRT 라는 대명제에서 시작한다. 이산화탄소 1Kg이 1기압, 그리고 실온인 21℃에서 얼마의 부피를 갖는지 알아보자. 우리나라의 실온 계산은 20℃ 또는 21℃를 계산한다. 나는 공학자가 아니라 어떤 것이 맞다고 할 수는 없으나 대부분 21℃를 기준으로 계산했던 기억이 있다. 그래서 T값에 21℃를 적용해보면 1Kg은 약 550리터로 변화하므로 약 550배의 체적으로 팽창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적용 온도에 따른 차이 서적마다 이산화탄소의 체적 팽창에 대한 이야기가 조금씩 다르다. 아마도 온도 적용에 있어 서로 차이가 있어서 그럴 것이라고 본다. 계산할 때 온도를 0℃로 한 경우에는 이.. 더보기
아파트 지하 주차장 화재가 무서운 이유와 위험성 도시형 생활주택이나 아파트의 주차장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대형 피해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남양주 주상복합아파트 화재,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의정부 아파트 화재가 모두 그러한 원리이다. 왜 그럴까? 주차장의 공간적 특성 가. 방화구획 면제에 따른 화재 및 연기의 확산 최근 아파트 지하에 설치되는 주차장은 수많은 아파트의 각 동이 모두 연결되어 있는 채로 설치된다. 주차할 차량의 동선, 아파트 각 동으로의 진입, 지상부의 쾌적함 등을 위해 지하 주차장은 크고 넓게 조성된다. 그 이유는 건축관련 법령에 따라 주차장은 방화구획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는 대상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하면 지하 주차장 전체에 열기와 연기가 확산되는 특징을 가진다. 나. 지하 특성상 축열 공간이다. ① 지하 주차장.. 더보기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설계농도가 의미하는 것 화재안전기준에 규정된 심부화재 소방대상물의 계산표 가. 심부화재 방호대상물의 소화약제량과 설계농도 전역방출방식에 있어 종이, 목재, 석탄, 섬유류, 합성수지류 등 심부화재 방호대상물의 경우에는 다음에 따른다. 방호구역의 체적 1㎥에 대하여 다음 표에 따른 양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방호대상물 방호구역의 체적 1㎥에 대한 소화약제의 양 설계농도(%) 유압기기를 제외한 전기설비, 케이블실 1.3Kg 50 체적 55㎥ 미만의 전기설비 1.6Kg 50 서고, 전자제품창고, 목재가공품창고, 박물관 2.0Kg 65 고무류, 면화류창고, 모피창고, 석탄창고, 집진설비 2.7Kg 75 체적 당 소화약제의 양을 적용하는 방호구역의 체적이란 불연재료나 내열성의 재료로 밀폐된 구조물이 있는 경우에는 그 체적을 감하여 계산한.. 더보기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량 계산표가 의미하는 것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소화약제량 계산을 위해 화재안전기준에 표가 규정되어 있다.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량을 계산할 때 무조건 방호체적에 따른 소화약제량을 곱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이것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가 무엇인지, 왜 그렇게 규정되어 있는지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표면화재 방호대상물의 소화약제량 계산 전역방출방식에 있어서 가연성 액체 또는 가연성 가스 등 표면화재 방호대상물의 경우에는 방호구역의 체적 1㎥에 대하여 다음 표에 따른 양으로 계산한다. 방호구역 체적 방호구역의 체적 1㎥에 대한 소화약제의 양 소화약제 저장량의 최저한도의 양 45㎥ 미만 1.00Kg 45Kg 45㎥ 이상 150㎥ 미만 0.90Kg 150㎥ 이상 1,450㎥ 미만 0.80Kg 135Kg 1,450㎥ 이상 0.75Kg 1.. 더보기
주방에서는 K급 소화기가 필요하다는데, 이유는? 식용유의 발화 특징 가. 비점과 발화점의 차이에 따른 특성 식용유의 종류별로 다르지만 식용유의 통상적인 발화점은 약 280℃ ~ 360℃ 전후로 상당히 높은 편이다. 그래서 식용유를 팬에 두르고 요리를 하여도 불이 붙지 않는다. 그런데 비점은 발화점 보다 60℃ ~ 80℃ 정도 더 높다. 그만큼 상호간에 온도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더 중요한 것은 발화점이 비점보다 낮아서, 식용유가 비점에서 증발만 하면 이미 발화점 이상의 온도라는 것이다. 곧바로 재발화가 일어난다. 일반 소화기나 다른 방법으로 불을 껐다 하더라도 그동안 화염으로 인해 팬이 달구어져 있었으므로 잔류 열기에 의해 식용유는 비점의 온도에서 열분해가 된다. 이때의 열분해된 유증기는 이미 발화점 이상에서 열분해된 것이므로 또 다시 재발화가.. 더보기
아파트에서 화재가 상층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려면 저층부에서 발생한 화재가 창문과 같은 개구부를 통해 상층부로 계속 번져가는 상황이라면 상층부에 사는 사람들은 꼼짝없이 화염과 연기에 갇히게 된다. 건물 구조 자체를 개선하여 화재가 상층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그 다음이 소방시설의 설치를 통해 화재 확산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물의 구조 개선 가. 캔틸레버 설치 캔틸레버(Cantilever)는 건물의 외벽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보를 말한다. 다시 말해서 한쪽은 건물의 층간 바닥에 고정되어 있고 한쪽은 지지되는 것 없이 외벽 바깥쪽으로 연장된 바닥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캔틸레버가 길게 돌출될수록 화염은 건물로부터 멀리 분출된다. 즉, 화염이 코안다 효과로 인해 다시 외벽 쪽으로 휘어지려 해도 외벽 쪽에 충분한 공간이 생겨서 부.. 더보기
어떤 원리로 화재가 상층으로 확대되는 것일까? 화재가 상층으로 확대되는 원리가 무엇일까? 사실 화염이 위로 가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그런데 창문 밖으로 분출되었던 화염이 다시 위 층으로 되돌아 들어가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사례를 살펴보자. 층수가 높은 건물에서 화재가 외벽을 타고 상층부로 확산되는 뉴스를 자주 접하게 된다. 대표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경기도 의정부 대봉그린 아파트 화재, 울산 삼환아르누보 아파트 화재, 부산 해운대 우신골든스위트 아파트 화재 등이 있고 영국 런던의 그렌펠 아파트 화재, 두바이 84층 아파트 화재도 비슷한 사례이다. 뉴스에서 보듯 건축물에서 화재는 하층부에서 상층부로 확산되는 것을 누구나 알고 있다. 화염이 위로 올라가기 때문이다. 그런데 화염이 위로 올라가는 그 원리가 무엇인지에 대해 분석해 보기로 하자. .. 더보기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