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

저압식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에서 스케줄 40 이상인 배관을 사용하는 이유가 뭘까 스케줄 번호가 뭐지? 가. 스케줄에 대한 의미 배관 스케줄 번호(Schedule Nnumber)이란 배관의 두께를 나타내는 것이다. 기호로는 줄여서 SCH No, 또는 SCH, 또는 #로 표현한다. 배관의 스케줄이 높으면 두께가 두껍다는 것이고 스케줄이 낮으면 두께가 얇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배관의 두께를 나타내는 스케줄은 숫자를 사용해서 구분한다. 5, 5s, 10, 10s, 30, 40, 40s, 60, 80, 100, 120, 140, 160 이렇게 표시한다. 숫자 뒤에 s가 붙은 것은 스테인리스 스틸 배관이라는 의미로 해석하면 된다. 나. 배관 스케줄의 역사 산업혁명 초기에는 배관의 내경을 중심으로 배관의 치수를 결정했다. 그 당시에는 Iron 배관의 두께가 그리 중요하지 않았다. 배관의 크기는.. 더보기
저압식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에서 발생하는 Vapor Delay Time Vapor Delay Time이란? 가. 개념 소화약제가 방출될 때 액체가 기화되면서 마찰손실로 인해 배관에서의 액체 이송이 지연되는 시간을 말한다. 저압식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에서는 저온으로 저장되고 있는 이산화탄소 소화약제가 배관으로 방출될 때 배관으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액체가 기화한다. 기화된 이산화탄소는 부피가 팽창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액체가 배관을 통과하는데 방해를 함으로써 헤드에서 이산화탄소 액체 소화약제의 방출이 늦어지게 된다. 이렇게 지연되는 시간을 Vapor Delay Time이라고 한다. 종합하면, 소화약제 저장용기에서 소화약제가 방출되는 시점으로부터 방호구역의 헤드에서 액상 이산화탄소가 주를 이루며 방출되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나. 소화에 미치는 영향 교차회로 방식으로 설.. 더보기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에서 저압식 저장용기를 사용하면 파생되는 문제 이전 포스팅에서는 저압식 저장용기를 사용하면 어떤 장점이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번에는 이산화탄소 저장용기 중 저압식 저장용기를 사용했을 때 야기되는 문제점을 짚어본다. 저압식 저장용기의 특징 가. 낮은 온도로 이산화탄소를 쉽게 액화 가능하다. 저압식 저장용기는 용기 내부의 온도가 영하 18℃ 이하에서 2.1Mpa의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자동냉동장치를 설치한다. 이산화탄소의 특성에 따라 낮은 온도로 냉각해서 쉽게 액화시키는 것이다. 다만, 낮은 온도에도 불구하고 저장용기에서의 저장압력은 최소 2.1Mpa 이상으로 하여 출발압력을 기준삼아 놓았다. 나. 충전비에 따라 많은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를 저장 가능하다. 저압식 저장용기는 충전비가 1.1 이상 1.4 이하이므로 저장용기의 내용적에 거의 꽉 차.. 더보기
저압식 이산화탄소 저장용기를 -18℃ 이하로 냉각하는 이유 이산화탄소의 액화 저장과 관련된 물리적 특성 가. 임계점과 삼중점 이산화탄소의 물리적 특성을 알기 위해서는 임계점과 삼중점이라는 용어를 알아야 한다. 임계점은 31℃인데 이때의 압력은 75.2Kg/㎠이다. 임계점 이상에서는 압력을 가하여도 기체로만 존재하고, 임계점 이하에서는 압력에 따라 기체 또는 액체로 존재하는데 압력을 가하면 액체로 저장된다. 삼중점은 –56.6℃에 해당하고. 이때의 압력은 5.3Kg/㎠이다. 삼중점에서는 용기 내부의 상태는 압력에 따라 고체(드라이아이스), 액체, 또는 기체로 존재한다. 즉 세 가지 성상이 공존할 수 있는 지점이라 하여 삼중점이라 한다. 나. 저온을 선택하는 이유 다시 그래프를 보자. 임계점과 삼중점 사이의 온도를 살펴보면 압력에 따라 액체와 기체로 존재할 수 있다.. 더보기
가스계 소화약제 저장용기실의 온도가 40℃ 일 때 나타나는 현상 법령에서는 뭐라고 규정하고 있을까?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6) 제4조(소화약제의 저장용기 등)에서 저장용기의 설치장소를 규정할 때 저장용기실의 온도가 40℃ 이하인 곳이어야 하고, 온도변화가 적은 곳에 저장용기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온도를 40℃로 규정한 그 이유가 있을 터인데, 만약 저장용기실의 온도가 40℃가 되었을 때 어떤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지 살펴보자. 온도 증가에 따른 내부 압력 증가 가. Liquid Full 현상 발생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를 비롯한 가스계 소화약제는 압력을 가하여 저장용기에 액상으로 충전한다. 그러면 저장용기에는 상온에서 액상의 공간과 기상의 공간이 존재한다. 주위의 온도가 올라가면 액상의 소화약제가 기화되기 시작하여 기상의 공간을 꽉 채우게 된.. 더보기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온도 변화에 따른 압력 변화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는 다른 소화약제 보다 온도에 따라 압력의 변화가 심하고, 압력의 변화에 따라 이산화탄소 소화약제의 성상이 변한다. 이번에는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온도 변화에 따른 압력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충전비와 저장량에 대한 이야기 가. 충전비라는 것이 무엇인가? 이산화탄소 소화약제의 저장방식은 고압식과 저압식 두 가지로 구분된다. 주위에서 볼 수 있는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는 대부분 고압식이다.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를 저장용기 속에 압축하여 액상으로 저장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68ℓ의 저장용기들이 설치되어 있다면 고압식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고압식인 경우 충전비는 1.5이상 1.9이하로 하게 되어 있으며, 저압식의 충전비는 1.1이상 1.4이하로 유지하게 하고 있다. 충전비라는 것은.. 더보기
감지기 교차회로 방식이 갖는 의외의 문제점 교차회로 방식이란 가. 송배전식 방식 자동화재탐지설비에서 감지기 회로를 설치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송배전식 구성 방법이고 또 하나는 교차회로 방식이다. 송배전식 방법은 하나의 경계구역에 하나의 회로를 설치하고 그 회로에 모든 감지기를 설치하는 방식이다. 즉 해당 경계구역에 설치된 감지기중 아무거나 하나의 감지기가 화재를 인지하면 작동하는 방식이다. 나. 교차회로 방식 교차회로 방식은 하나의 경계구역에 두 개의 감지기 회로를 설치하는 방식이다. 두 개의 회로를 엇갈리게 교차 설치하여 각각의 회로에 설치된 인접한 두 개의 감지기들이 모두 작동했을 때 이를 화재로 인식하는 방식이다. 하나의 회로에 있는 감지기가 작동하면 예비 동작신호로 인식하고 다른 하나의 회로에 설치된 감지기까지 작동하면 그때.. 더보기
가스계 소화설비의 오동작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들 가스계 소화약제가 가지고 있는 특성 가스계 소화설비는 존재 목적이 화재를 진압하고 재발화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산화탄소의 경우에는 냉각과 질식을 목적으로 하여 화재를 진압한다. 할론과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는 부촉매 원리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한다. 불활성기체 소화약제는 내부의 산소 활성도를 낮춰 화재를 진압한다. 분말 소화약제는 Knock Down효과와 부촉매 효과를 이용해 화재를 진압한다. 각각의 소화약제들이 인체에 좋은 가스가 분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왜냐하면 화재를 진압한다는 것이 화염과 산소가 반응하지 못하게 하고 실내의 산소 농도를 떨어뜨리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당연히 실내에 거주자가 있는 경우 치명적일 수 있다. 오작동이 미치는 영향 가. 독성에 따른 인명 사고 화재가 아닌.. 더보기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