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

건물 화재시 피난 경로별로 나의 안전은 어떻게 확보 되는가? 건물 내에서 우리는 어떻게 피난하는가? 백화점, 영화관, 식당가 등으로 이루어진 15층짜리 복합건축물을 예로 들어보자. 그 중 7층의 영화상영관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한다. 이런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면 사람들은 어떤 경로를 통해 피난하게 되는지 피난 경로를 먼저 살펴본다. 화재로 인한 열기와 연기에 의해 연기감지기가 먼저 작동을 한다. 그러면 데스크 또는 방재실에 있는 수신반의 주경종이 작동하고, 각 층 복도에 있는 지구경종이 화재를 알리면서 시끄럽게 울어댄다. 그러면 7층 영화상영관에서 영화를 보고 있던 사람들은 놀라서 밖으로 뛰어나온다. 제일 먼저 피난하게 되는 1차 장소가 영화관의 복도이다. 그리고 사람들은 계단을 찾아 간다. 계단 입구에는 부속실이 있으며 해당 부속실에는 공기가 공급되는 제연.. 더보기
아파트 지하 주차장은 방화구획이 면제된다는데 실화냐? 내가 살고 있는 아파트의 지하 주차장은 어떤가? 아파트 사시는 분들이 느끼는 것 중의 하나이다. 최근 아파트는 지상에 차량이 출입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있고 대부분의 차량이 지하로 들어가는 방식으로서 지하 주차장이 활성화 되어 있다는 것이다. 지상에 차량이 다니지 않으니 아이들 교통사고 확률이 확 줄어서 좋다. 쾌적하고 녹지공간과 놀이터가 많아서 좋다. 비가 쏟아지더라도 차에 내릴 때 그리고 차량을 탑승할 때 비를 맞지 않으니 좋다. 눈이 오더라도 눈을 치우고 쓸 필요가 없다. 뜨거운 태양을 피해 있으므로 시원하게 탑승할 수 있다. 이렇게 좋은 혜택이 있는 지하 주차장인데 과연 좋은 점만 있을까? 아파트 지하 주자장에는 어떤 소화설비가 설치될까? 가. 옥내소화전설비 연면적 3천㎡ 이상이거나 지하층, 무창층.. 더보기
시각경보장치, 이런 곳에도 설치해야 한다. 시각경보장치가 뭔지, 그리고 어떻게 설치하는지, 마지막으로 어떤 곳에도 필요한 지 알아보자. 시각경보장치(Strobe)란? Strobe라고 부르는 시각경보장치는 자동화재 탐지설비 분야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경종과 더불어 시각적인 효과로서 화재가 발생했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설비이다. 청각장애인의 경우에는 경종의 소리를 들을 수 없으므로 시각적인 점멸효과를 통해 화재 사실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청각장애인이 아닌 일반인의 경우에도 청각적인 소리만을 가지고는 반응이 늦어진다는 것에 착안하여 시각적으로도 효과를 줌으로서 빨리 대피해야 한다는 경각심이 들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대부분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경종 윗부분 또는 옥내소화전설비 함의 윗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법령상 시각경보장치를 설치해야 하.. 더보기
가스계 소화설비 작동시험시 체크해야 할 사항을 알아보자 설계도면과 현장 시공 상태 비교 가. 개구부 및 창문 상태 가스계 소화설비 현장에는 설계도면을 필수적으로 지참해야 한다. 설계도면에서의 조건과 현장 시공 조건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해야 하기 때문이다. 소화약제량 및 Soaking Time을 계산할 때 적용했던 조건들이 변하면 소화효과를 장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설계에는 없던 개구부나 통기구가 있는지, 배관이 통과하는 부분에 내화구조의 충전물이 제대로 채워지지 않았는지, 벽체가 완전 접합되지 않고 틈이 있는 곳은 없는지, 창문이 소화약제의 압력에 깨지기 쉬운 것은 아닌지 살펴보아야 한다. 도어팬 테스트 이후에 변화된 사항이 있는지도 확인해야 한다. 나. 토너먼트 배관 및 헤드 설치의 적정성 가스계 소화설비의 배관은 토너먼트 배관으로 설계되는데 설계 대비 실.. 더보기
성능위주설계 대상 확대가 필요하다. 성능위주설계란 무엇인가? 건물은 갈수록 고층화, 지하화, 대형화, 특수화 되고 있다. 그래서 소방관련 법령과 화재안전기준 만을 가지고 설계를 하는 경우 안전성능을 확보할 수 없는 특수한 대상물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사회의 변화와 건축물의 다양화를 법으로 일일이 규정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는 것을 인정한다. 그래서 법규 중심의 화재안전기준에 따른 설계에 유연성을 부여하고자 컴퓨터 시뮬레이션 등을 활용하여 화재 성상과 열, 연기의 유동성을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보다 더 합리적인 소방시스템과 피난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는 설계를 성능위주설계라고 한다. 법령에 의해 성능위주설계를 해야 하는 대상을 보자. ① 연면적 20만㎡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 다만, 공동주택 중 주택으로 쓰이는 층수가 5층 이상인 주택(아파트.. 더보기
초고층 건축물의 제연설비, 화재실 단독제연방식의 문제 단독제연방식이란? 단독제연방식이란 공기의 유입구와 연기의 배출구가 하나의 실에 설치되는 방식을 말한다. 제연구역이 소규모의 실인 경우에 많이 사용하는 방식이다. 제연구역이 백화점의 영업장처럼 공간이 넓고 제연경계로 구획되어 있는 경우에는 인접구역 상호제연방식을 사용하지만, 건물이 작은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는 곳은 단독제연방식을 사용한다. 초고층 건축물의 실내 특징 초고층 건축물은 높이 지어야 하는 특성상 위로 올라갈수록 면적이 조금씩 작아지는 특성을 가진다. 그래서 각 층별로 바닥 면적이 넓지 않다. 즉, 소규모의 실로 구획되는 특성을 가진다. 공동주택에 해당하는 초고층 건축물은 세대별로 구획되고, 일반 사무용 건물은 회사별 그리고 부서별로 구획된다. 초고층 건축물은 대형 건물이므로 자체 환기를 위한 공.. 더보기
가스라이터에 있는 액체가 뭐지? 가스라이터에 들어 있는 연료가 뭐지? 오늘의 포스팅 주제다. 도대체 라이터 안에 있는 그 액체가 뭘까 하는 의구심이 든다. 쉬운 액체는아닐 것 같은데 과연 그것이 무엇인지 파헤쳐 보기로 하자. 연료는 부탄이다. 가. 부탄의 성질 부탄의 화학식은 C4H10이다. 탄소가 4개로 구성되어 있고 그 주변은 수소 10개가 연결되어 있는 형상이다. 부탄의 끓는점은 –1℃ 이고, 어는점은 –140℃ 이다. 즉 –1℃가 넘어가면 기체로 존재하고 그 이하에서부터 –140℃ 까지는 액체로 존재한다. 압력을 가해주면 그 이상의 온도에서도 액체로 존재하는데 연료로 부탄을 사용하는 이유도 압력을 가하면 상온에서도 액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부탄의 연소범위는 1.8% ~ 8.4% 이다. 공기 중에서 부탄이 최소 1.8% 이상 누.. 더보기
수소차, 위험하지 않을까? 수소전기차라고 부르는 이유 우리가 수소차라고 부르는 수소전기차도 사실은 전기차의 한 종류이다. 현재 상용화된 전기차는 배터리를 이용한 차량인데, 수소전기차(FCEV, Fuel Cell Electric Vehicle)는 수소 연료탱크와 배터리가 함께 있는 전기차라고 생각하면 된다. 연료전지에서 전기를 발생시키고 이 전기를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킨다. 사실 두 차량 모두 엔진이 필요 없고, 공해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차량이다. 두 차량의 차이는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전기차는 전기를 외부에서 충전하여 전기를 저장하고, 수소전기차는 연료로 수소를 사용해서 연료전지에서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을 가지고 있다. 부품을 살펴보자 ① 수소탱크 수소 충전 스테이션에서 충전 받은 수소를 고압(700bar)으로 저장.. 더보기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