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거실 제연설비의 제연경계를 0.6m 이상으로 유지하는 이유 앞 글에서는 수직거리가 왜 2m 이하여야 하는지에 대해 다루었다. 이번에는 거실 제연설비의 제연경계를 0.6m 이상으로 유지하려는 이유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1. 제연경계란 무엇인가? 연기는 부력에 의해 위로 올라간다. 실내에서 위라고 하면 천장을 의미하는데 천장으로 올라간 연기는 천장과 부딪힌 후 천장 면을 따라 옆으로 퍼지게 된다. 아무런 제한이 없다면 계속 상승하는 후속 연기들이 있어서 밀리고 밀려서 실내 전체 천장에 퍼지게 될 것이다. 백화점이나 지하철 역사에서 연기가 천장을 따라 계속 퍼진다면 사람들의 피난에 막대한 영향을 주게 된다. 그러므로 연기가 더 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일정 공간 내에 연기를 가두어야 할 필요가 있어서 제연경계라는 벽을 설치하는 것이다. 2. 제연경계의 재질 보, .. 더보기 거실 제연설비에서 수직거리를 2m 이하로 유지하고자 하는 이유 백화점이나 지하상가 등에서 통로를 걷다보면 거실 제연설비의 제연경계를 만나볼 수 있다. 그동안 제연경계를 무심하게 지나쳤겠지만 이번 포스팅에서 제연경계의 수직거리를 2m 이하로 유지하고자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수직거리는 어떻게 적용하는가 가. 수직거리의 개념 수직거리란 제연경계의 바닥으로부터 그 수직하단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사람이 통행 및 피난하는 공간이며 기류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말한다. 제연구역을 벽으로 구획하면 가장 이상적이다. 화염과 연기가 다른 구역으로 전파되지 못하기 때문에 해당 구역만 자동소화설비 및 제연설비를 통해 제어하면 된다. 그러나 넓은 실내가 필요한 공간에는 시야의 확보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백화점이나 대형 창고형 매장에서 시야가 확보되지 않으면 답답함을 .. 더보기 플러그 홀링(Plug Holing) 현상이 미치는 영향 1. 플러그 홀링(Plug Holing) 현상이란? 플러그 홀링이란 거실 제연설비의 배출구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다. 화재가 발생하면 제연설비가 작동을 위해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팬과 실내 연기를 빨아들여 외부로 내보내는 배기팬이 기동을 한다. 이때 배기팬이 화재실에서 발생한 연기를 빨아내어 화재실의 제연 역할을 하는데 배기팬의 용량이 커서 흡입력이 좋은 경우 실내의 연기층(Smoke Layer)과 함께 청결층(Clear layer)의 공기까지 빨아내는 현상을 플러그 홀링이라 한다. 2. 플러그 홀링 현상은 왜 발생하는가? 가. 연기층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았을 때 발생한다. 가연물이 많아 화재가 급격하게 연소 중인 경우에는 연기의 발생량이 많아 연기층이 천장 부근에 두텁게 형성된다, 그러나 화재 초기인 경우에.. 더보기 숙박시설이 보다 안전해지기 위해서는 앞 포스팅에서 숙박시설의 위험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면 숙박시설이 보다 더 안전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조치가 필요할까? 숙박시설 자체 시스템 개선 가. 마스터키 비치와 활용 최근 숙박시설은 대부분 카드키를 사용한다. 카드키를 사용하는 출입문의 특징은 닫으면 자동으로 잠긴다는 것이다. 그래서 청소를 담당하는 직원들을 위해 마스터키가 존재한다. 이 마스터키의 활용에 대한 사항이다. 화재 출동으로 현장에 올라가는 구조대원들은 일단 잠겨있는 객실의 문을 열고 화재진압 또는 인명구조 작업을 시작해야 한다. 진압대원 및 구조대원들이 하나의 층만 담당하는 것이 아니고 발화층과 상층부 객실을 모두 열어서 검색해야 하므로 층별 또는 구역별 임무를 지정받아 활동하게 된다. 안내 데스크에서 마스터키를 하나가 아닌 여러 .. 더보기 호텔 등 숙박시설을 안전측면에서 들여다보면 건축물 특성 가. 화재하중이 높다 화재하중이란 화재실에서 단위 면적당 예상 가연물의 양을 말한다. 계산식으로 하면 등가가연물의 양을 목재의 발열량으로 환산한 값이다. 호텔 등 숙박시설은 복도부터 양탄자를 설치하여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낸다. 객실에는 침대와 소파가 있고 창문에는 커튼이 설치되어 있다. 일반 상업용 건물보다 가연물의 양이 많다. 그래서 화재하중이 높아 더 오랫동안 더 높은 온도로 연소하게 된다. 나. 연돌효과가 발생한다. 호텔은 대부분 고층으로 지어진다. 객실에서의 전망을 중요하게 생각할수록 건물은 높아진다. 그래서 계단, 엘리베이터 등의 수직 공간에서 연돌효과가 발생한다. 연돌효과는 상부로 연기가 몰리게 하고 하층부에서는 공기가 들어와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더 연소가 확대되게 하는 결과를 초.. 더보기 고층건축물을 보다 안전하게 하는 조치들 3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120미터 이상인 고층건축물은 건축 구조상, 피난 동선상, 소방대 접근성 등에 대해 불리하다. 그래서 건축 관련법령과 소방 관련법령에서는 고층건축물을 보다 안전하게 하기 위하여 조치를 취하고 있다. 연돌효과 예방을 위한 조치 가. 수직 공간의 구획화 연돌효과(Stack Effect)가 일어나는 이유는 건축물의 따뜻한 내부 온도와 차가운 외부 온도가 차이가 난다는 것이고, 따뜻해진 공기는 부력이 생겨 위로 상승하려는 원리가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공기나 연기가 상승할 수 있는 수직공간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어쩔 수 없이 존재하는 수직공간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다. 최상층에서 1층까지 이어지는 특별피난계단(직통계단)과 엘리베이터가 대표적인 예이다. 연돌효과가 발생할 수 .. 더보기 고층건축물이 가지는 안전상 문제점 고층건축물이라 하면 층수가 3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120m 이상인 건축물을 말한다. 상업용 건물은 물론이요 아파트 그리고 주상복합 건축물도 포함된다. 층수와 높이를 가지고 구분하는 것이니 종류는 불문이다. 고층건축물은 공간의 활용성 측면에서 유리하고, 기업체 이름의 브랜드화 및 랜드마크 기능 등 상징성이 있어서 선호하는 추세다. 그런데 고층건축물이 현대화되고 각종 편의시설이 있어서 좋은 점만 있을까. 안전의 측면에서 봤을 때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알아보자. 건축 구조와 관련된 문제 가. 연돌효과(Stack Effect) 연돌효과는 건축물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에 의해 발생한다. 차가운 외부의 온도에 비하여 건축물 내부의 온도가 따뜻한 경우 공기의 밀도가 낮아져 부력 효과로 인해 위로 상승하려는 성질.. 더보기 건물 리모델링을 계획하고 계십니까? 주의해야 할 사항 리모델링 효과 가. 사용자 의도에 맞는 용도의 변화 건물을 리모델링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새로 건물을 짓는 것 보다 기존 노후 건물을 값싸게 매입하여 내부 수리를 통해 필요한 용도로 바꾸는 경우이다. 영업 실적이 좋지 않은 숙박업소를 노인 요양시설로 탈바꿈하는 내부 용도의 변화를 예로 들 수 있다.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를 변화해야 하므로 기존 객실의 일부를 변화시켜 사무실로 만들고 진찰실과 재활치료실 그리고 입원실로 구성하는 방식들을 택한다. 나. 내부 인테리어 변화로 새로운 느낌 용도를 굳이 바꾸지 않더라도 내부 인테리어를 바꾸는 경우도 많다. 준공된지 오래된 건물의 경우 내부의 인테리어가 낡고 배관과 전등이 노후화 되어 있을 것이다. 건물의 뼈대만 남기고 전체를 수리하는 경우도 있고 필요한 부분.. 더보기 이전 1 ··· 88 89 90 91 92 93 94 ··· 1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