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

위험물 저장탱크의 안전은 어떻게 확보해야 하는가? 1 위험물을 제조소등에는 건물과 유류 탱크와 부속 설비들이 존재한다. 앞 글에서는 위험물 제조소등의 건축물의 안전에 대해 언급했었는데, 이번에는 위험물을 저장, 취급하는 유류 탱크와 부속 설비에서의 위험성을 예방하기 위해 어떤 조치들이 시행되고 있는지 알아보자. 위험물 탱크의 자체 안전을 위한 조치 가. 안전거리 유지 안전거리는 위험물을 저장하는 탱크가 일반 건축물과 얼마만큼의 수평거리를 유지해야 하는가에 대한 물리적 거리이다. 화재 또는 폭발이 발생하는 경우 병원, 학교, 공연장, 복지지설, 주거용 건축물 등에서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상 필요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다. 문화재처럼 보호 가치가 있는 것 그리고 고압이 흐르는 가공전선에 대하여도 안전거리를 유지하여야 한다. 지하탱크저장소는 탱크전용실을.. 더보기
위험물 제조소등 건축물의 안전을 위해 필요한 조치들 2 위험물을 제조소등에는 건물과 유류 탱크와 부속 설비들이 존재한다. 이전 글에서는 위험물을 저장, 취급하는 건축물에서의 위험성을 예방하기 위해 어떤 조치들이 시행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불꽃 방지를 위한 조치, 정보 제공을 위한 조치, 화재를 대비한 소방설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불꽃과 스파크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 가. 정전기 대책 위험물을 취급함에 있어 정전기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설비에는 정전기를 유효하게 제거할 수 있는 설비를 설치한다. 접지에 의한 방법, 공기 중의 상대습도를 70% 이상으로 하는 방법, 공기를 이온화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중 접지에 의한 방법이 가장 일반적이다. 나. 방폭구조의 전기장치 가연성 증기나 미분이 체류할 우려가 있는 곳에 설치하는 전기설비는 방폭구조로.. 더보기
위험물 제조소등 건축물의 안전을 위해 어떤 조치들이 있을까? 1 위험물을 제조소등에는 건물과 유류 탱크와 부속 설비들이 존재한다. 이중에서 위험물을 저장, 취급하는 건축물에서의 위험성을 예방하기 위해 어떤 조치들이 시행되고 있는지 알아보자. 위험물 제조소등 건축물의 자체 안전을 위해서 가. 안전거리 유지 위험물을 제조하거나 취급하는 건물이 일반 건축물과 얼마만큼의 수평거리를 유지해야 하는가에 대한 물리적 거리를 안전거리라 한다. 병원, 학교, 공연장, 복지지설, 주거용 건축물 등 인명피해 우려가 높은 곳에 대하여 안전상 필요한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문화재처럼 보호 가치가 있는 것 그리고 고압이 흐르는 가공전선에 대하여도 안전거리를 유지하여야 한다. 나. 보유공지 확보 보유공지는 위험물을 취급하는 건축물과 그 밖의 시설의 주위에 보유하여야 하는 공지이다. 취급하는 위.. 더보기
위험물 저장탱크의 Ring Fire(윤화) 현상 서적들을 살펴보면 Ring Fire에 대한 설명을 크게 두 가지로 하고 있다. 부상지붕탱크에서 발생하는 현상이라고 하는 책이 있고, 일반 유류탱크의 벽 부분에서 발생하는 것이라고 설명하는 책도 있다. 어떤 것이 맞다 틀리다고 말하지 않고, 두 가지 경우 모두를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구글에서 Ring Fire in Oil Tank 라고 검색하면 대부분 FRT에서 발생하는 부상 지붕과 탱크 측판 사이에서의 화재 현상을 설명하고 있었음을 참고한다. 부상지붕탱크(FRT)에서의 Ring Fire 현상 가. 부상지붕탱크(FRT) 부상지붕탱크는 탱크의 지붕부분이 유류 위에 떠있다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래서 FRT(Floating Roof Tank)라고 부른다. 탱크에 유류가 충전되기 시작하면 지붕이 유류 위로 부.. 더보기
주차된 차량에서도 화재가 발생한다는데, 사실이예요? 달리던 차량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를 언론과 TV를 통해 종종 접하게 된다. 장거리를 달리다 보면 엔진에서 과열이 발생할 수도 있고, 진동이나 충격 또는 사고에 의해서도 합선 등에 의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는 합리적인 생각이 든다. 그런데 멀쩡하게 잘 주차해 놓은 차량에서 화재가 발생한다면 왠지 이상한 생각이 먼저 앞선다. 어제 저녁에 주차해 놓았는데 오늘 새벽에 불이 났다고? 자동차의 주요 구성을 살펴보자. 가. 차체와 새시 자동차는 크게 차체와 새시로 구분된다. 차체는 Body라고 하여 자동차의 겉면, 의자, 벼대 등을 말하며, 차량이 작동하는 기계부가 아닌 뼈대를 의미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자동차의 외관을 좌우한다. 새시(Chassis)는 자동차의 차체를 뺀 나머지 부분인데, 실제 작동을 맡은 .. 더보기
외벽 마감재인 알루미늄 패널의 화재 위험성 과거의 건물과 아파트는 대부분이 내단열 시공이 이루어졌다. 그런데 최근 건축되는 건물이나 아파트는 외단열이 내단열보다 열차단 효과가 좋기 때문에 외단열 시공을 많이 하는 추세이다 내단열 시공시 건물의 열손실 건물과 주택의 열손실은 대부분이 벽체를 통해 이루어진다. 전체 열손실의 35%가 벽을 통한 열손실이라고 봐도 될 정도다. 내단열이 시공도 용이하고 경제적이다. 그러나 내단열 시공의 경우 단열재가 연결되는 곳에는 2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가. 열교현상 (Heat Bridge) 열교현상은 단열재의 연결이 끊기는 부위에 생기는 것으로서, 단열이 연속되지 않은 부분으로 열이 집중적으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특히 바닥처럼 층간 구획이 되는 부분처럼 콘크리트 구조체가 T자형으로 만나는 곳에는 내단열재를 설치할 수.. 더보기
화재시 엘리베이터를 타면 안되는 이유 건물에서 불이 나면 엘리베이터는 절대로 타지 말아야 한다. 굴뚝효과로 인해 엘리베이터 개구부는 연돌처럼 연기가 가득 차있고, 정전으로 인해 내려오는 도중 멈출 수 있기 때문이다. 비상용 엘레베이터는 비상전원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화재시에도 동작을 하나 이는 화재를 진압하는 소방관용이므로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아니면 탑승하지 말아야 한다. 연돌효과에 의한 질식 연돌효과(Stack Effect)란 화재로 인해 온도가 높아지면서 가벼워진 공기 또는 연기가 부력으로 인해 수직의 공간을 타고 위로 상승하려는 효과를 말한다. 건물은 대부분 방화구획으로 인해 층별 구획이 되어 있지만, 구획되지 않는 수직의 공간으로 계단과 수직배관이나 전선의 덕트 그리고 엘리베이터 승강로가 있다. 화재로 인해 뜨거워진 연기는 해당 .. 더보기
필로티 주차장 천장 마감. 이대로 좋은가? 필로티 주차장에 들어가며 우리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다세대 주택 또는 다가구 주택을 보면 1층의 공간 활용을 위해 필로티를 활용하여 주차장을 설치한다. 아파트의 지하 주차장 또는 일반 상업용 건물의 지하 주차장은 굳이 천장 마감을 하지 않고 그대로 배관과 덕트 등을 노출 시키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원룸 건물의 필로티 주차장은 외부에서 바로 천장이 보이므로 건물의 가치 상승을 위해 깔끔하게 천장 마무리를 한다. 주차장의 천장 마감재로는 석고보드, 텍스, SMC, DMC 등이 대표적으로 사용되는데, 내가 거주하고 있는 필로티 주차장의 천장 마감재로 무엇이 사용되었는지 알아보는 것도 중요하다. 이중에 SMC와 DMC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자. SMC (Sheet Molding Compound) 가. 열.. 더보기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