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

물류창고 화재 진압이 어려운 이유 쿠팡 물류센터를 비롯해 대부분의 물류센터는 스프링클러 설비가 설치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화재가 확대되어 대형 피해로 이어지고 있다. 이전 글에서 물류창고의 구조적, 지리적 문제점 그리고 물류센터가 가지는 화재특성에 대해 1편과 2편으로 포스팅 했었다. 이를 기초로 물류창고 화재 진압이 왜 어려운지 어떤 이유 때문에 화재가 확대되는지에 대해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건물 구조에 따른 문제 가. 방화구획이 없어 건물 전체로 화재 확산 물류창고는 방화구획을 해야 하는 건물이지만, 건축법 시행령 제46조(방화구획 등의 설치) 제2항 제2호에서 규정한 면제조건에 해당되어 방화구획을 면제받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렇다 보니 화재가 일부 구역에 한정되어 발생하지 않고 건물 전체로 확산되는 양상을 보인다. 옥내 소.. 더보기
물류창고 화재. 무엇이 문제인가? 제2편 최근 수도권 주변의 물류센터에서 화재가 잇따라 발생하는 것에 대한 문제점을 살펴보고 있다. 제1편에서는 물류창고의 구조적 특성과 지리적 특성에 대한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물류창고 화재 문제점 제2편에서는 물류창고에서의 화재 특성에 대해 알아보자. 저장물품에 따른 화재 특성 가. 저장물품은 대부분 가연성 물품이다. 싱싱한 야채나 습기나 수분을 가진 신선도가 있는 품목이 아니라면 저장하는 내용물들은 가연성인 경우가 많다. 어떤 품목이 저장되어 있는가를 굳이 살펴보지 않아도 물류창고에 저장하는 물품은 일단 비닐로 포장되어 있다. 일명 뽁뽁이라고 부르는 비닐 완충재가 대분이고, 기타의 경우에도 비닐로 물품을 포장한 상태로 보관된다. 그리고 나중에 출하되는 경우에는 택배 박스로 포장하여 최종 운반지로 이송된다. .. 더보기
물류창고 화재, 무엇이 문제인가? 제1편 쿠팡 물류센터 화재 뿐만아니라 최근 수도권 주변의 물류센터에서 화재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물류센터의 화재는 규모면에서 피해면에서 많은 사회적 주목을 받게 되는데 잇따라 대형 화재로 발생하는 이유가 무엇인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물류창고 화재 제1편에서는 물류창고의 구조적 특성과 지리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자. 물류창고 구조적 특성 가. 건축물의 규모가 대형이다. 물류창고는 판매할 물류를 저장하고 있는 대형 창고라고 보면 된다. 물건만 저장하고 있고 실제 판매는 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지는 스타일이다. 그래서 즉시 배송이 이루어지려면 많은 물류를 확보하고 있어야 부족현상을 막을 수 있어 인터넷 거래가 잘되는 곳 일수록 그 규모가 커지기 마련이다. 이번 쿠팡 덕평 물류센터의 경우에도 지상4층, 지하2층, 연면적.. 더보기
표시온도 및 최고 주위온도 적용과 관련하여 개선이 필요하다.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의 표시온도를 적용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최고 주위온도에 대해 살펴보면,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이하 ‘화재안전기준’이라 한다)과 스프링클러 헤드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 기술기준(이하 ‘기술기준’이라 한다)에서 작은 차이가 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계속 이렇게 차이가 나도록 놔둘 것이 아니라 서로 조화가 되도록 수정할 때가 되지 않았나 싶다. 최고 주위온도라는 개념을 이대로 사용해도 되나? 가. 최고 주위온도라는 개념 최고 주위온도라는 개념은 생각해보면 말 그대로 최고로 높아지는 온도를 말한다. 그래프로 따지면 Peak에 해당하는 온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어떤 상황에서도 최고 주위온도는 갱신될 수 있다. 한여름 이상 기온으로 인해 온도가 일시적으로 상승할.. 더보기
헤드의 표시온도가 75℃ 미만일 때 최고 주위온도를 39℃로 적용하는 이유 ℃스프링클러 헤드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제2조(용어의 정의)에서는 최고 주위온도를 설명하면서 헤드의 표시온도가 75℃ 미만인 경우의 최고 주위온도는 이 식에도 불구하고 39℃로 한다고 하는 단서 규정이 있다. 이 의미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최고주위온도에 대한 단서 조항 스프링클러 헤드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서는 제2조(용어의 정의)에서 최고 주위온도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최고 주위온도란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의 설치장소에 관한 기준이 되는 온도로서 다음 식에 의하여 구하여진 온도를 말한다. 다만, 헤드의 표시온도가 75℃ 미만인 경우의 최고 주위온도는 이 식에도 불구하고 39℃로 한다.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 기술기준에서의 최고 주위온도와의 여유온도 차이 가. 등식을 적용하여 계.. 더보기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의 표시온도와 최고 주위온도 적용 방법 이전 글에서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의 표시온도의 기준이 되는 최고 주위온도와의 관계에 대해 설명했었다. 이번에는 서로 어떻게 적용하는 것이 맞는지 그 방법을 알아보자. 폐쇄형 헤드의 표시온도 적용방법 가. 최고 주위온도에 따라 설치할 수 있는 헤드의 표시온도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10조(헤드) 제6항을 살펴보면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는 장소의 평상시 최고 주위온도와 그에 따른 표시온도에 관한 표가 있다. 설치장소의 최고 주위온도 표시온도 39℃ 미만 79℃ 39℃ 이상 64℃ 미만 79℃ 이상 121℃ 미만 64℃ 이상 106℃ 미만 121℃ 이상 162℃ 미만 106℃ 이상 162℃ 이상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헤드를 설치하여야 할 장소의 최.. 더보기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의 표시온도를 적용하는 기준인 최고 주위온도 최고 주위온도란 헤드를 설치하는 실에서 연중 가장 높이 올라갈 수 있는 온도를 말한다.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의 표시온도를 적용할 때 그 기준이 되는 최고 주위온도에 대하여 해석과 적용이 혼동되고 있다. 그 이유는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 말하는 최고 주위온도 적용과 스프링클러헤드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말하는 최고 주위온도 적용이 혼동되기 때문이다. 특히나 최고 주위온도를 계산하는 Ta = 0.9Tm – 27.3 등식 때문에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혼선을 빚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최고 주위온도를 적용함에 있어 어떤 공통점과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최고 주위온도에 대하여 가. 최고 주위온도의 개념 스프링클러헤드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서는 제2조 용어의 정의에.. 더보기
스프링클러 헤드에 색깔이 있네? 요즘 천장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헤드는 감열체만 보이고 나머지는 천장 안쪽에 가려져 있는 스타일이 많다. 이런 경우는 대부분 플러쉬형 헤드로서 색상이 별도로 보이지 않지만, 천장에서 튀어 나와서 색깔이 보이는 스프링클러 헤드가 있는 경우가 있다. 대부분 적색을 많이 보게 되는데 원래 저렇게 생긴 헤드는 다 적색일까? 결론부터 말하면 아니다. 색상에 따라 온도가 다르다. 스프링클러 헤드에 표시해야 할 사항 스프링클러 헤드에는 종별, 형식, 형식승인번호, 제조번호 또는 로트번호, 제조년도, 제조업체명 또는 상호, 표시온도(폐쇄형 헤드에 한함), 표시온도에 따른 색표시(폐쇄형 헤드에 한함), 최고주위온도(폐쇄형 헤드에 한함), 취급상 주의사항, 품질보증에 관한 사항(보증기간, 보증내용, A/S 방법, 자체검사필.. 더보기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