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클러설비 썸네일형 리스트형 스프링클러설비에서 옥상수조의 설치 1. 옥상 수원을 설치해야 하는 필요성 가. 펌프가 정상기동하지 못하는 경우를 대비해야 한다. 스프링클러설비에 필요한 수원의 양은 기준개수 또는 헤드 설치개수에 1.6㎥를 곱한 양 이상으로 산정하면 된다. 그런데 주된 수원이 정전으로 인해 또는 펌프의 고장이나 압력챔버의 문제로 인해 펌프가 정상 기동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펌프가 정상 기동하지 못하면 방수구에서 방수압력이나 방수량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홰 초기 화재진압에 실패하기 마련이다. 나. Fail Safe 용도의 수원이다. 이러한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옥상수원을 설치하는 것이다. 이는 고가수조의 개념이 아닌 옥상에 설치하는 예비수원이라고 생각해야 한다. 즉 펌프가 정상적으로 기동되지 못하는 경우를 대비해 설치하는 Fail Safe 용도.. 더보기 개방형 헤드를 사용하는 스프링클러설비의 수원의 양 산정 개방형 헤드를 사용하는 스프링클러설비의 특징 가.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설비 화재안전기준에서 대부분의 스프링클러설비는 폐쇄형헤드를 사용한다. 개방형헤드를 사용하는 스프링클러설비는 일제살수식스프링클러설비 하나이다. 개방형헤드이므로 일제개방밸브(델류지밸브)를 기준으로 2차측 배관은 대기압으로 운영되다가 일제개방밸브가 개방되면 방수구역에 설치된 모든 헤드에서 소화수가 방수되어 일시에 화재를 진압하는 특징이 있다. 나. 개방형 헤드 설치장소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10조(헤드) 제4항에 따라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무대부 또는 연소할 우려가 있는 개구부에는 개방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 외에도 연결살수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장소에도 개방형헤드를 사용한 스프링클러설비를 .. 더보기 스프링클러설비 수원 설치에 따른 기준개수 적용시 고려할 사항 스프링클러설비 설치장소에 따른 기준개수 적용이 중요한 이유 가. 특정 장소에 따라 기준개수가 다르다. 특정소방대상물에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면서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는 장소별로 스프링클러헤드의 기준개수를 적용한다. 여기서 기준개수가 중요한 이유는 스프링클러설비의 수원을 산정할 때 기준개수가 사용되기 때문이다. 나. 화재가 전체로 확산되는 것을 가정하지 않는다. 스프링클러설비의 수원을 산정할 때 화재가 계속 확산되어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된 전체 헤드가 개방될 것이라고는 가정하지 않는다. 고층 건축물이나 대형 창고시설의 경우라도 각 층 전체로 화재가 확산된다고 가정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다. 기준개수는 수원의 양을 정하는 기준이 된다. 다만 스프링클러설비가 설.. 더보기 폐쇄형헤드를 사용하는 스프링클러설비의 수원 설치하는 헤드의 종류에 따른 수원의 양 변화 스프링클러설비의 수원은 다양한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가장 먼저 설치하는 헤드가 폐쇄형헤드인가 아니면 개방형헤드인가에 따라 수원의 양을 산정하는 방법이 달라진다. 이 글에서는 폐쇄형헤드를 설치하는 스프링클러설비에서 확보하여야 하는 수원의 양에 대한 변화를 설명하고자 한다. 제4조(수원) ① 스프링클러설비의 수원은 그 저수량이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도록 하여야 한다. 1.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 표의 스프링클러설비 설치장소별 스프링클러헤드의 기준개수[스프링클러헤드의 설치개수가 가장 많은 층(아파트의 경우에는 설치개수가 가장 많은 세대)에 설치된 스프링클러헤드의 개수가 기준개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그 설치개수를 말한다. 이하 같다]에 1.. 더보기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 파손 또는 누수 발생시 조치 사항 습식스프링클러설비 폐쇄형 헤드 파손 가. 충격에 의한 파손 가만히 있는 헤드가 파손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부분 외부의 충격에 의해 헤드가 파손된다. 가구나 짐을 운반하다가 헤드와 부딛혀 헤드가 손상되는 경우가 제일 많다. 실내에서 골프 스윙 연습을 하다가 헤드를 건드리는 경우도 있다. 기존의 원형헤드가 설치된 곳에서는 헤드에 옷걸이를 걸어서 빨래를 널어놓는 과정에서 무리한 힘을 주다가 손상되는 경우도 있다. 나. 온도에 의한 헤드의 개방 아파트의 입주를 앞두고 또는 상가의 마무리 공사를 앞두고 내부 벽지나 마감재의 건조를 위해 열풍기를 가동시키는 경우가 있다. 설마 이런 상황이라고 해서 헤드가 개방되겠는가 하고 생각할 수 있으나 창문과 출입구의 문을 닫아놓은 상태에서는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다. 스프.. 더보기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 프리액션밸브의 작동 방법 프리액션밸브(Preaction Valve) 자동 개방 가. 교차회로 방식의 감지기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와 일제개방식 스프링클러는 교차회로 방식으로 설치된 감지기에 의해 화재를 인식한다. 교차회로 방식이라는 것은 인접하여 설치된 2개의 감지기가 동시에 작동하는 경우 화재신호로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물이나 소화약제가 방사되었을 경우 수손피해가 야기되거나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소화설비에서 신중한 화재 감지를 위해 교차회로 방식의 감지기를 사용한다. 나. 솔레노이드밸브 또는 전동볼밸브의 개방 감지기를 교차회로 방식으로 구성한 후 인접한 2개 이상의 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한 경우 감시제어반 또는 수신반에서 이를 화재로 인식하고 감지기가 설치된 해당 방호구역의 프리액션밸브에 신호를 보내준다. 프리액션밸브에 설.. 더보기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에 교차회로 방식의 감지기를 적용하는 이유 프리액션밸브에서 사용하는 교차회로 방식의 감지기 가. 교차회로 방식이란? ① 자동화재탐지설비에서 교차회로 방식이라는 것은 인접하는 두 개의 감지기가 모두 작동하였을 때 경보가 울리는 방식을 말한다. 즉 하나의 방호구역에 두 회로를 엑스자(×) 형태로 겹쳐서 구성한 후, 각 회로의 감지기가 모두 작동하였을 때 화재로서 인정하는 방식이다. ②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에서 교차회로 방식의 감지기 회로를 사용하면 하나의 감지기만 작동하더라도 경보는 발령된다. 그리고 인접한 두 개의 감지기가 모두 작동하였을 때 프리액션밸브가 개방된다. 나. 어떤 경우에 교차회로 방식을 사용하는가? 감지기의 특성상 오작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오작동이 있어서는 안되는 소화설비에서 주로 사용된다. 또한, 감지기의 작동이 소화설비에 .. 더보기 프리액션밸브의 P.O.R.V 작동원리 및 역할 P.O.R.V(Pressure Operated Relief Valve)란 가. 자동복구방지기능 밸브이다. P.O.R.V는 Pressure Operated Relief Valve의 약자이며 프리액션밸브가 자동으로 복구되는 것을 막아주는 안전 밸브를 말한다. P.O.R.V의 주요 기능은 한번 개방된 프리액션밸브가 다시 닫히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개방된 프리액션밸브가 자동으로 복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중간챔버에 연결되는 가압수 통로를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자동복구방지 밸브라고 한다. 나. P.O.R.V의 구조 P.O.R.V의 구조는 Tee처럼 생긴 또는 Tee 역할을 하는 관 부속품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래서 T자형 배관의 총 세갈래 통로 중 1차측에서 오는 통로, 2차측에서 오는 통로,.. 더보기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