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스프링클러설비

프리액션밸브의 다이어프램이 작동히는 원리 다이어프램의 형태가 갖는 과학적 원리 가. 다이어프램에 적용되는 파스칼의 원리(Pascal’s Principle) 파스칼의 원리에서도 알 수 있듯이 압력(P)은 면적(A)에 작용하는 힘(F)으로서 정의된다. 여기서 유체와 접촉하는 것은 원형의 피스톤이므로, 면적 A = (πd^2)/4 으로 풀어서 설명할 수 있다. 결국 동일한 압력이더라도 면적의 크기에 따라 전체의 힘 크기가 달라진다는 알 수 있다. 다시말하면, 면적이 넓어질수록 힘은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 다이어프램(Diaphragm)의 형태 100mm 프리액션 밸브의 경우를 예로 들어보자. 100mm 이므로 1차측에서 2차측으로 연결되는 부분의 직경은 100mm(10cm)일 것이고, 중간챔버와 연결되는 다이어프램 입구 부분은 제조사별로 차이는.. 더보기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에서 싸이렌(음향장치)이 자꾸 작동하는 이유 압력스위치 작동에 따른 싸이렌 경보 가. 정상적인 상황에서의 싸이렌 경보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에서 프리액션밸브의 압력스위치가 작동하는 이유, 즉 싸이렌이 작동되는 이유를 살펴보자. 정상적인 작동상태라면 교차회로 방식에서 감지기 A의 화재감지에 따라 해당 방호구역에 경종이 울린다. 그리고, 프리액션밸브의 클래퍼가 개방되면 압력스위치(Pressure Switch)가 작동되면서 싸이렌 경보음이 울리게 된다. 통상적으로 그렇다는 이야기다. 나. 비정상적인 상황에서의 싸이렌 경보 그런데, 의도하지 않은 비정상 상태에서도 경종 또는 싸이렌이 자꾸 작동하는 경우가 있다. 기계적인 결함에 의해 1차측의 소화수가 2차측으로 넘어가기 때문에 압력스위치가 작동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인적요인으로 설비를 오조작하거나 임.. 더보기
프리액션밸브 개방에 필요한 솔레노이드밸브와 전동볼밸브 프리액션밸브(Preaction Valve)를 개방하는 방식 가. 감압식과 가압식 ① 감압식 : 평상시에는 1차측의 소화수의 압력으로 클래퍼를 가압함으로서 1차측의 가압수를 다이어프램 또는 클래퍼로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화재로 신호를 받은 전동볼밸브가 개방되면서 압력이 떨어지면 클래퍼의 걸쇠를 밀어주던 압력이 저하되어 1차측의 소화수 힘에 의해 클래퍼가 열리도록 하는 방식을 감압식이라 한다. 다이어프램 방식도 이와 유사하며. 프리액션밸브는 대부분 감압식으로 운영된다. ② 가압식 : 평상시에는 중간에 설치된 스프링의 힘과 1차측 소화수의 힘이 평형을 이루고 있는 상태이다. 화재가 발생하면 1차측 소화수의 힘과 함께 추가로 클래퍼에 압력을 가하여 줌으로서 힘의 균형이 깨져 클래퍼가 개방되도록 하는 방식을 가.. 더보기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의 주요 구성 요소 프리액션밸브(Preaction Valve) 가.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의 유수검지장치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에 사용되는 유수검지장치는 프리액션밸브(Preaction Valve)라고 부른다. 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하면 유수검지장치가 작동되어 1차측의 소화수가 2차측으로 넘어간 상태에서 대기하다가, 헤드가 감열되어 개방되면 소화수가 방수된다는 의미여서 프리액션밸브라고 한다. 나. 다이어프램 방식과 클래퍼 방식 프리액션밸브에서 사용되는 방식은 다이어프램 방식(Diaphragm Type)과 클래퍼 방식(Clapper Type)이 있다. 1차측의 소화수가 2차측으로 넘어오지 못하도록 시트부분을 막고 있는 것이 다이어프램인지 아니면 클래퍼인지에 따라 구분된다. 슈퍼비죠리판넬(SVP) 가. 슈퍼비조리판넬의 역할 교.. 더보기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Preaction Sprinkler System)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란 가. 용어의 정의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3조(정의)를 살펴보자. "준비작동식스프링클러설비"란 가압송수장치에서 준비작동식유수검지장치 1차측까지 배관 내에 항상 물이 가압되어 있고 2차측에서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까지 대기압 또는 저압으로 있다가 화재발생시 감지기의 작동으로 준비작동식유수검지장치가 작동하여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까지 소화용수가 송수되어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가 열에 따라 개방되는 방식의 스프링클러설비를 말한다. 나.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의 주요 구성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에는 폐쇄형 헤드를 사용한다.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로는 프리액션밸브(Preaction Valve)를 사용하고, 이는 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함에 따라 솔레노이드에 의해 클래퍼가 .. 더보기
건식 스프링클러설비(Dry Pipe Sprinkler System) 건식 스프링클러설비란 가. 용어의 정의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3조(정의)를 살펴보자. "건식 스프링클러설비"란 건식 유수검지장치 2차측에 압축공기 또는 질소 등의 기체로 충전된 배관에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가 부착된 스프링클러설비로서,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가 개방되어 배관 내의 압축공기 등이 방출되면 건식유수검지장치 1차측의 수압에 의하여 건식유수검지장치가 작동하게 되는 스프링클러설비를 말한다. 나. 건식 스프링클러설비의 주요 구성 건식 스프링클러설비에는 건식 유수검지장치(Dry Valve)가 사용된다. 2차측 배관에는 압축공기 등을 충전해야 하므로 공기 충전장치인 에어컴프레셔가 필요하다. 건식스프링클러설비에 사용되는 헤드는 폐쇄형 헤드를 사용한다. 헤드가 개방되면 소화수의 이송.. 더보기
알람밸브의 압력스위치 오동작시 문제점 파악 방법과 해결 방법 압력스위치 오동작이 없도록 하기 위한 방법 가. 경보정지밸브는 항상 개방상태로 유지 압력스위치로 가는 배관에 경보정지밸브가 있다. 이는 말 그래도 경보를 정지시키고자 할 때 사용하는 밸브다. 그런데 경보정지밸브를 폐쇄시켜 놓으면 압력스위치가 작동하지 않는다. 이는 오보라기 보다는 압력스위치의 기능을 없애버리는 상황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평상시 경보정지밸브는 항상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나. 동관이 찌그러지거나 누수 없도록 조치 클래퍼 밑에 연결된 압력스위치 배관은 T자 배관으로 분기된다. 분기되면서 압력스위치를 가는 배관은 강관이지만 배수배관으로 연결된 배관은 보통 동관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동관이다 보니 작은 충격에도 찌그러지거나 함몰된다. 동관의 구멍이 작아지거나 꺾이면 들어온 물이.. 더보기
습식 스링클러설비 알람밸브의 알람스위치 오동작 방지를 위한 구성 압력스위치 배관의 구성 가. 압력스위치 배관 구성 습식 스프링클러설비를 구성하고 있는 압력스위치(Pressure Switch)는 알람밸브의 뒤쪽에 위치하고 있다. 정면에서는 1차측 압력계와 2차측 압력계가 먼저 눈에 띄지만, 알람밸브 뒤쪽으로 돌아가보면 T자 배관이 보인다. T자 배관의 좌측은 압력스위치로 연결되어 있고, 오른쪽으로는 배수배관(Drain Pipe)으로 연결되어 있다. 나. 클래퍼 하부에 압력스위치 배관 연결 알람밸브(Alarm Valve)의 클래퍼는 평상시 닫혀 있게 된다. 그래서 클래퍼가 평상시에는 압력스위치로 연결되는 배관의 입구를 닫고 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 그러다가 헤드가 개방되면서 2차측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면 1차측의 힘으로 클래퍼가 열리게 되는데, 이때 소화수가 압력스위치에.. 더보기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