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스프링클러설비

폐쇄형 헤드가 설치되는 방호구역의 설치 기준 방호구역과 방수구역의 용어 차이 가. 폐쇄형 헤드가 설치된 곳은 방호구역이라 한다.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가 설치된 곳은 방호구역이라 부르고, 개방형 헤드가 설치된 곳은 방수구역이라 부른다. 폐쇄형 헤드는 특성상 전체가 동시에 개방되는 것이 아니라 화재가 발생한 지점의 헤드가 화열을 감지하여 개방되고 소화수가 방수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폐쇄형 헤드와 연결된 유수검지장치가 일정한 구역을 방호하도록 설치되어 있다는 의미에서 방호구역이라 한다. 나. 개방형 헤드가 설치된 곳은 방수구역이라 한다. 반대로 개방형 헤드의 경우에는 일제개방밸브가 개방되면 해당 일제개방밸브와 연결된 모든 헤드에서 일제히 소화수가 방수된다. 그래서 일제개방밸브가 개방되면 동시에 일제히 방수되는 구역이라고 해서 방수구역이라고 한다. 하.. 더보기
압력수조방식에서 Air Lock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하는 방법 옥상수조의 자연낙차 수두를 높인다. 가. 옥상수조의 자연낙차 수두를 높여야 한다.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이 옥상수조의 설치 높이를 높이는 것이다. 즉 옥상수조에서부터 최상층 방수구 또는 헤드까지의 수직 낙차가 길어지게 하는 것이 자연 낙차수두를 높여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압력으로 배관 내에 형성되는 공기의 압력 또는 Air Pocket을 이겨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나. 필요한 자연낙차 수두를 형성하기 위한 최소 높이 자연낙차를 형성하기 위한 최소 높이는 12m가 넘어야 한다. 그 이유는 스프링클러 헤드에서의 방수압력인 0.1Mpa과 배관에서의 마찰손실을 고려하여 0.02Mpa 이상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는 스프링클러설비에서의 경우이고, 옥내소화전설비의 경우라면 최소 방수압 0... 더보기
압력수조방식의 가압송수장치에서 발생하는 Air Lock 현상 Air Lock 현상 가. Air Lock에 대한 사전적 용어 설명 백과사전 Wikipedia에서 찾아본 Air Lock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액체로 채워진 파이프 시스템에서 높은 지점에 갖힌 증기로 인해 액체의 흐름이 제한을 받거나 흐름이 중단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굳이 해석하면 증기 잠금 또는 공기 잠금이라고 볼 수 있다. 나. 압력수조식 가압송수장치에서 발생하는 현상 중의 하나 ① 압력수조식 가압송수장치에서 압력수조에는 에어컴프레셔에 의해 공기가 계속 공급되어 소화수를 고층까지 밀어낼 수 있는 일정한 압력을 형성한다. 그런데 화재를 진압하는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 압력수조에서 소화수가 모두 토출되게 된다. ② 이때부터는 압력수조에서 배관 내부로 공기 압력이 채워지기 시작한다. 이러한 배관 .. 더보기
스프링클러설비의 가압수조가 가져야 할 압력 제1항 제10호에 따른 방수량 및 방수압 가. 이는 펌프를 이용하는 가압송수장치의 송수량 규정이다.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 제5조(가압송수장치) 제1항 제10호는 전동기 또는 내연기관에 따른 가압송수장치(펌프)의 송수량을 언급한 규정이다. 가압송수장치의 송수량은 0.1Mpa의 방수압력 기준으로 80ℓ/min 이상의 방수성능을 가진 기준개수의 모든 헤드로부터 방수량을 충족시킬 수 있는 양 이상인 것으로 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나. 가압수조식 가압송수장치의 송수량 가압송수장치의 송수량은 기준개수에 해당하는 모든 헤드에서 0.1Mpa의 방수압력과 80ℓ/min 이상의 방수량이 형성되도록 충분한 양이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이는 전동기 및 내연기관에 따른 가압송수장치인 경우 해당 가압송수장치가 가져야.. 더보기
가압수조는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가압수조에 대해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를 요구하는 이유 가. 가압수조란 가압수조식 가압송수장치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제2조(용어의 정의)를 살펴보자. 가압수조식 가압송수장치는 수조에 있는 소화수를 고압의 공기 또는 불연성기체(이하 가압가스라고 표현)로 가압하여 송수하는 장치를 말한다. 수계소화설비에서 가압송수장치는 소화수에 압력을 가하여 수조로부터 배관을 통해 헤드까지 송수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그런데 가압수조식 가압송수장치는 소화수에 압력을 발생시키는 방법이 별도의 가압가스를 활요한 가압용기를 사용한다는 특징이 있다. 나. 가압수조의 사용 목적의 특수성 펌프나 에어컴프레셔는 시중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장치이고 여러 분야에 사용되는 것들이라서 굳이 소방에서 규제하거나 형식을 정할 필요.. 더보기
가압수조방식의 상용전원, 비상전원, 예비전원에 관하여 가압수조방식의 상용전원 설치방식 가. 상용전원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가? 규정을 잘못 이해하면 이렇게 해석될 수도 있다. 가압수조방식인 경우 모든 기능이 20분 이상 지속될 수 있도록 설치하면 상용전원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구나. 그런데 상용전원이라고 표현하는 주전원은 당연히 설치되어야 한다. 제어반, 송수펌프 등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상용전원이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다만, 저압, 고압, 특별고압수전에 따라 분기하는 방법 또는 설치하는 배선의 적용을 받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나. 상용전원 설치 방식에 대한 제약이 없다. 즉, 스프링클러설비의 가압송수장치에는 화재안전기준의 규정에 의한 상용전원회로의 배선을 설치해야 한다. 다만, 가압수조방식의 가압송수장치인 경우에는 화재안전기준의 저압수전 또는 특별고압수.. 더보기
가압수조는 방화구획된 장소에 설치하는 이유 화재안전기술기준의 규정 가. 가압수조 및 가압원은 방화구획된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103)의 2.2.4.2 내용을 살펴보자. 스프링클러설비에서 가압송수장치로 가압수조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가압수조 및 가압원(질소 가압용기)은 건축법 시행령 제46조에 따른 방화구획된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나. 가압수조식 가압송수장치는 규정을 강화하고 있다. 수계소화설비를 구성하는 요소 중 가압수조식 가압송수장치는 작동할 때 별도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작동 가능한 설비이다. 화재로 인한 주전원의 단선 및 정전 등에서 자유로움에도 불구하고 가압수조 및 가압원 모두를 방화구획된 장소에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 화재 및 재해로 인한 피해 우려가.. 더보기
스프링클러설비에 설치하는 가압수조에 대해 알아보자. 스프링클러설비의 가압송수장치로 사용하는 가압수조 가. 가압원이 가압송수장치의 역할을 한다. 가압수조는 말 그대로 수조를 가압하는 별도의 가압원이 존재하는 수조이다. 가압수조 내부에는 수원에 해당하는 수량의 소화수가 존재하고, 직근에 이 소화수에 압력을 형성시켜줄 가압원(가압용기)이 별도로 존재한다. 이 가압원이 바로 가압송수장치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나. 가압원의 종류 및 역할 가압원으로 부르는 압력탱크 내부에는 압축공기나 질소와 같은 불연성 기체가 사용된다. 압력탱크에 저장한 상태에서 압력탱크가 개방되면 그 압력이 가압수조로 들어가 가압수조를 가압하는 것이다. 이 압력으로 소화수가 배관을 통해 스프링클러설비의 헤드로 전달되는 것이다. 다. 가압원 및 가압수조 수원의 용량 압력탱크에 저장된 가압원 및 .. 더보기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