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옥내소화전 설비의 수원을 다른 소화설비의 수원과 겸용하고자 할 때 옥내소화전설비의 수원을 다른 수계 소화설비의 수원과 겸용하고자 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에 대해 알아보자. 수계 소화설비이므로 무조건 겸용이 가능한지, 아니면 일정한 조건이 따르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건축물의 공간 활용 하나의 건축물에는 면적이 넓고 층수가 높을수록 다양한 소방시설이 설치된다. 그 중 가장 많이 접할 수 있는 경우가 옥내소화전, 스프링클러설비, 옥외소화전설비가 동시에 설치되는 경우이다. 이런 상황이라면 각각의 소화설비마다 수원을 보유하기 위한 소화수조를 별개로 설치하는 것 보다는 한 장소에 모두 모아서 설치하는 것이 훨씬 건물의 공간 활용도에 있어 유용하다. 따라서 하나의 소화수조에 소방시설에 필요한 수원을 집합하여 설치하는데 이를 수원의 겸용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옥내소화전설비의 .. 더보기 고층건축물에서 옥내소화전 설비의 감압 방법 감압을 해야 하는 이유 가. 옥내소화전 사용자의 안전 확보 화재안전기준에서 옥내소화전 노즐에서의 최대 방수압력은 0.7Mpa로 제한하고 있다. 그 이상이 되면 소화수가 방사될 때 반동력이 심해져서 훈련받지 않은 일반인은 제대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옥내소화전 설비를 사용하여 화재를 진압하고 있는 개인에게 전달되는 반동력이 20kg이 넘지 않도록 하여 제2의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나. 옥내소화전 설비의 안전 확보 노즐에서 방수압력이 0.7Mpa이 넘는다는 것은 옥내소화전 설비 배관 내부의 압력은 그 이상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소화펌프가 기동할 때 갑작스런 수압의 상승으로 인해 배관 전체에서 Water Hammering에 의해 배관 및 부속 등이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내부 압력이.. 더보기 옥내소화전의 최대 방수압력을 0.7Mpa로 제한하는 이유 옥내소화전설비의 방수노즐 선단에서의 압력은 최소 0.17Mpa 이상, 최대 0.7Mpa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그래서 0.17Mpa을 최소 방수압력이라고 하고, 0.7Mpa을 최대 방수압력이라고 한다. 앞글에서 최소 방수압력을 0.17Mpa 이상으로 유지하는 이유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최대 방수압력을 0.7Mpa로 제한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옥내소화전의 최대 방수압력은 0.7Mpa 이다. 가. 0.7Mpa 압력에서의 방수거리 사실 0.7Mpa이라는 압력이 어느 정도의 압력인지 실감나지 않는다. 배관에 70m 높이로 물을 채웠을 때 바닥에서 느껴지는 압력이다. 그렇다면 최대 방수압력인 0.7Mpa에 해당할 경우 방수거리는 어느 정도일까? 소방차량에서의 방수압력이 0.7Mpa.. 더보기 옥내소화전의 최소 방수압력이 0.17Mpa 이상인 이유 화재안전기준에서의 규정 가. 펌프의 성능을 이야기하면서 노즐선단의 방수압력을 규정하고 있다.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제5조(가압송수장치) 제1항에서 옥내소화전 설비 가압송수장치의 성능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특정대상물의 어느 층에 있어서도 해당 층의 옥내소화전(2개 이상 설치된 경우에는 2개의 옥내소화전)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 각 소화전의 노즐선단에서의 방수압력이 0.17Mpa(호스릴 옥내소화전설비를 포함한다) 이상이고, 방수량이 130ℓ/min(호스릴 옥내소화전설비를 포함한다) 이상이 되는 성능의 것으로 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나. 호스릴 옥내소화전설비도 최소 방수압력은 동일하다. 옥내소화전 방수구와 연결되는 가지배관의 구경은 40㎜(호스릴 옥내소화전설비의 경우에는 25㎜.. 더보기 옥내소화전 설비 수조를 설치하는 것과 관련하여 알아두어야 할 사항 옥내소화전설비의 수조는 전용으로 설치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래서 보통의 경우 고가수조의 형태 보다는 건물의 지하 부분에 소화수조를 설치한다. 이런 통상적인 경우라도 알아두어야 할 사항이 있다. 옥상수조에 별도의 수원을 설치하여야 한다. 가. 옥상수조의 필요성 옥상수조는 Fail Safe의 기능을 위해서이다. 수계 소화설비는 물이 공급되지 않으면 해당 소화설비는 무용지물이 된다. 따라서 옥내소화전설비이던 스프링클러설비이던 방수구 노즐이나 헤드에서 물이 안정적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최종 목표다. 따라서, 옥상수조는 정전이 되어도 가압송수장치인 펌프가 고장이 난 경우라도 기동용수압개폐장치의 Range와 Diff가 잘못 설정된 경우라도, 소방대가 도착하기까지 최소한의 시간동안 필요한 수량을 방사할 수.. 더보기 옥내소화전 설비, 수원의 양을 구하는 공식이 탄생한 원리 옥내소화전설비 수원의 양 가. 옥내소화전이 가장 많이 설치된 층을 기준으로 건축물은 규모 및 면적이 서로 다르다. 그래서 하나의 층에 가장 많이 설치된 옥내소화전의 수를 기준으로 한다. 즉 층별로 설치 개수가 다르다면 그중 가장 많이 설치된 층의 것을 기준으로 한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해당 층에 옥내소화전이 많이 설치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최대 2개의 옥내소화전을 기준으로 한다. 기존에는 최대 5개의 옥내소화전 수량으로 계산했으나, 2021. 4. 1일 화재안전기준의 개정으로 최대 적용 개수를 2개로 개정하였다. 나. 왜 최대 수량을 2개 까지만 계산하는 것으로 바뀌었을까? 건물의 관계자들이 초기 소화를 시도할 때 3개 이상의 옥내소화전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가 없을 것이라고 판단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옥.. 더보기 방화셔터 근처에는 피난 가능한 비상구(출입문)가 있습니다. 방화구획 방법을 살펴보면 방화구획이란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화염과 연기가 더 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 면적 또는 층마다 구획을 하는 것을 말한다. 그래서 방화구획을 하는 방법은 해당 장소를 내화구조의 바닥, 벽을 설치하여 구획한다. 피난, 통행 등을 위해 출입구를 만들어야 할 곳에서는 해당 출입구에 언제나 닫힌 상태를 유지하거나 화재로 인한 연기 또는 불꽃을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닫히는 구조의 갑종방화문(자동방화셔터 포함)을 설치하여 화염이 확산되지 않도록 한다. 일체형 방화셔터는 사용할 수 없음(2020.1.30. 삭제됨) 가. 방화셔터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자. 방화셔터에 대해 용어의 정의를 살펴보자. 자동방화셔터, 방화문, 방화댐퍼의 기준(국토교통부 고시) 제2조(용어의 정의)를 살펴보자.. 더보기 저압식 건식밸브에서 엑츄에이터의 작동 원리 저압식 건식밸브의 클래퍼가 열리는 원리 가. 2차측 공기는 저압식 건식밸브의 클래퍼(Clapper)는 2차측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닫혀 있는 구조가 아니다. 저압식에서의 2차측 공기는 1kg/㎠ 정도의 압력으로 감지기 역할만을 할 뿐이다. 즉, 약간 가압되어 있다가 공기가 빠져나가면 감압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을 정도로만 충전된다. 저압식이므로 더 이상의 압력을 충전할 필요는 없다. 나. 클래퍼는 1차측 소화수 압력으로 닫힌다. 저압식 건식밸브의 클래퍼는 중간챔버에서의 1차측 수압에 의해 푸쉬핀을 통해 래치가 클래퍼를 잡아주는 구조로 설치된다. 즉 클래퍼 위에 래치가 있고 그 래치는 중간챔버의 푸쉬핀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형태로 설치된다. 푸쉬핀은 1차측의 소화수 수압에 의해 압력을 받고 있다. 그러므.. 더보기 이전 1 ··· 76 77 78 79 80 81 82 ··· 1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