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

건식밸브 2차측 배관에 공기 압력이 없다면, 어떤 이유지? 건식 스프링클러 설비를 살펴보자 가. 건식밸브가 개방되는 원리는 건식 스프링클러 설비는 건식밸브를 기점으로 1차측 배관에는 소화수가 그리고 2차측 배관에는 압축공기 또는 질소가 충전되어 운영되는 설비이다. 화재로 헤드가 개방되면 충전되어 있던 공기가 빠져 나가면서 압력이 떨어지고, 2차측 배관의 압력 저하에 의해 건식밸브의 클래퍼가 개방되는 구조이다. 아래 그림에서 압축공기가 들어있는 곳이라는 화살표가 건식밸브의 2차측이고 클래퍼 아래쪽 화살표가 1차측이다. 나. 건식밸브가 개방되어야 맞는데? 그런데 건식밸브 2차측의 압력계를 봤더니 압력이 0으로 되어 있다면 어떤 이유일까? 2차측 배관에 압축공기가 충압되어 있지 않다는 이야기이다. 사실 이런 경우라면 건식밸브가 당연히 개방되어서 2차측으로 소화수가 넘.. 더보기
건식 스프링클러설비, 다른 스프링클러설비와 차이점이 뭐지? 건식 스프링클러 설비(Dry Pipe System) 가. 화재안전기준의 정의 건식 스프링클러 설비란 건식 유수검지장치 2차측에 압축공기 또는 질소 등의 기체로 충전된 배관에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가 부착된 스프링클러 설비로서,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가 개방되어 배관 내의 압축공기 등이 방출되면 건식 유수검지장치 1차측의 수압에 의하여 건식 유수검지장치가 작동하게 되는 스프링클러 설비를 말한다. 나. 1차측과 2차측이 다르다? 건식 유수검지장치를 기점으로 1차측에는 펌프에서 가압된 가압수가 들어차 있고, 2차측에는 압축공기 또는 질소 등의 기체로 충전되어 있다. 소화수는 건식 유수검지장치까지의 1차측 배관에만 충전되어 있다는 이야기이다. 나머지는 Dry 방식의 배관이 설치된다. 다. 2차측 배관에 소화수를.. 더보기
Fire Ball 현상이 발생하는 원리 전쟁영화를 보면 폭탄이 떨어진 다음 폭발하는 모양을 유심히 지켜보면 알게 되는 것이 있다. 불꽃놀이처럼 옆으로 화염과 파편이 퍼져 나가는 형태와, 큰 폭탄이 터졌을 때 화염이 버섯구름처럼 붉게 타오르며 올라가는 형태가 있다. 두 번째 형태를 Fire Ball이라고 하는데 이번 글에서는 Fire Ball이 발생하는 원리에 대해 알아보자. Fire Ball에 대해 알아보자. 가. Fire Ball이란 가연성 증기가 공기와 혼합하여 폭발범위에 있을 때 점화원에 의해 급격하게 연소할 때 발생하는 대형 화염을 말한다. 가연성 증기는 연소하면서 밀도가 가벼워진다. 그래서 부력에 따라 상승하면서 주변의 공기를 빨아들이게 된다. 따라서 화염이 동그란 공 모양을 이루면서 계속 상승하는 현상을 보여준다. 이 현상은 가연성.. 더보기
BLEVE(비등액체팽창 증기폭발) 현상에 대해 알아보자. BLEVE 현상이란 가. 어떤 현상인지 알아보자. BLEVE는 Boiling Liquid Expanding Vapor Explosion의 약자이다. 영문을 그대로 해석하면 비등액체팽창 증기폭발이라고 해석된다. 저장탱크 내에 저장되어 있던 가연성 액화 가스가 외부의 화재로 인해 온도가 상승하기 시작하면 탱크 내부에서 기화하기 시작한다. 이로 인해 저장탱크 내부 압력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 압력을 더 이상 이겨내지 못하고 저장탱크의 일부가 터져 나가는 현상을 말한다. 즉, BLEVE란 저장탱크 내의 가연성 액체가 끓으면서 기화한 증기가 팽창한 압력에 의해 폭발하는 현상이라고 말할 수 있다. 나. 읽을 때는 어떻게 읽나요? 영문 약자로 된 용어를 한글로 말할 때 어떻게 읽느냐 하는 것도 중요하다. 뭐 좀 아는 .. 더보기
소방시설에서 Fail Safe 적용 사례 Fail Safe와 Fool Proof의 출발 가. 들어가며 지난 글에서 Fail Safe와 Fool Proof의 개념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소방시설 중 Fool Proof를 적용하여 설치하는 것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Fool Proof는 사람의 과오에 의한 실수를 줄이고자 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화재와 같은 급박한 상황에 인지능력이 현저히 떨어진 상태에서도 쉽게 피난하고, 빨리 발견하며, 기구를 조작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 Fool Proof의 목적이라고 했다. 나. Fail Safe가 달성하고자 하는 것 Fail Safe는 기계가 가질 수 있는 실패 또는 오작동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데 초점이 있다. 기계는 언제든지 고장날 수 있기 때문에 주요 기계 및 부품들을 제2의 방법으로 대체할 수 있도.. 더보기
소방시설에서 Fail Safe와 Fool Proof의 적용 Fail Safe와 Fool Proof는 안전공학 분야에서 자주 등장하는 용어이다. 그런데 이를 소방시설에도 적용하고 있으니 어떤 방법으로 적용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용어의 개념을 알아보고, 이번 글에서는 Fool Proof가 소방시설에서 어떤 방식으로 적용되고 있는지 알아보자. Fail Safe는 다음 글에서 다루도록 한다. 먼저 Fail Safe와 Fool Proof가 뭔지 알아보자. 가. Fail Safe Fail Safe는 시스템이나 기계장치의 이상이 있는 경우 이를 대체할 다른 수단을 강구하는 것이다. 달리 말하면, 이중 안전장치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20층에 사는 사람이 엘리베이터를 타기 위해서는 전원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런데 어떠한 이유로 정전되면 해당 엘리베이터 시스.. 더보기
반응속도지수 RTI와 RDD, ADD와의 상관관계 RTI와 RDD, ADD의 상관관계를 알기 위해서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지특성과 방사특성을 먼저 이해해야 한다. 스프링클러 헤드가 가지고 있는 화재 제어 특성과 화재 진압 특성을 이해하고 RTI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RDD와 ADD는 조기진압형 스프링클러 설비인 ESFR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지특성과 방사특성 가. 헤드의 감지특성 헤드의 감지특성은 화재가 발생한 시점부터 실제 헤드가 개방되어 방사가 이루어지는 시간과 관련된다. 감열체의 열기에 대한 반응이 빠르면 그만큼 빨리 감열체가 개방될 것이고 감열 능력이 떨어지면 개방 시간도 늦어진다. 스프링클러 헤드의 이러한 특성에는 반응시간지수라고 하는 RTI(Response Time Index)와 열손실계수(Heat Loss Coeffi.. 더보기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 헤드에 적용되는 RDD와 ADD 소방시설의 수원을 구한다는 것은 스프링클러에서 방사되어야 할 소화수가 얼마나 필요한지를 구하는 것이다. 그런데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 설비에서 더 중요한 것은 실제 가연물에 표면에 도달하는 소화수의 양은 어느 정도인지 아는 것도 필요하다. 계산상 도출된 소화수의 양과 실제 소화에 사용된 소화수의 양이 다르기 때문인데, 이를 RDD와 ADD로 표현한다. 필요살수밀도(RDD) 가. 개념 필요살수밀도인 RDD는 필요진화밀도 또는 분포밀도라고도 부른다. 그런데 대부분 RDD라고 부르는 경우가 더 많다. RDD(Required Delivered Density)는 필요살수밀도이므로 일정 크기의 화재를 진압하는데 필요한 수량을 나타내는 척도이다. 즉, 단위 면적당 어느 정도의 소화수를 방사해야 화재가 진압되는지를 .. 더보기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