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동주택

인천 청라아파트 전기차 화재에서 배워야 할 교훈(스프링클러설비)

반응형
728x170

 

1. 인천 청라지역의 아파트 전기차 화재

. 화재 개요

2024. 8. 1일 오전 69, 인천 청라에 위치한 00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 주차되었던 전기자동차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처음에는 전기자동차 한 대의 화재였으나 소방시설이 작동하지 않았고, 화재가 인근 차량으로 계속 확대되는 바람에 완전 진압까지 화재는 약 8시간 정도 지속되었다.

 

.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의 특징

전기자동차에서 발생한 화재는 스프링클러설비의 작동 불능으로 쉽게 진압되지 않고 오랜 시간동안 화재가 지속되어 인근에 주차된 차량을 통해 화재를 확산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소방차가 직접 지하주차장에 진입하는 것은 곤란했고, 소방대원이 진입하고자 하였으나 지하에 가득찬 열기와 연기로 인해 진입 및 진압작전이 쉽지 않았다.

최근 아파트의 특성상 여러개의 동이 하나의 커다란 지하주차장을 겸용하여 사용하는 형태이므로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화재는 확산되어 지하주차장 전체 및 다수의 아파트 동에 영향을 주었다.

 

 

 

2. 스프링클러설비의 미작동

. 스프링클러설비가 작동하지 않았던 이유

해당 지하주차장에는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되어 있었다. 언론에 따르면 관리사무소 직원이 스프링클러설비가 작동하지 못하도록 버튼을 조작했기 때문이라는 보도가 있었다. 그 이유는 오작동인 경우 새벽시간대(오전 69분경)에 경종이 울리게 되면 항의성 민원이 예상되기 때문이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일단 정지시킨 후 실제 화재임을 확인하고 나서 다시 스프링클러설비를 작동하려 했다고 한다. 하지만 그사이 화재로 인해 소방전기배선 일부가 불에 타버려서 현장의 밸브를 작동시키지 못했다는 결론이었다.

 

.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의 시스템적 문제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는 밸브가 개방되려면 교차회로의 감지기가 작동해야 한다. 즉 지하주차장에 감지기가 설치되어 있고 해당 감지기가 먼저 작동해야 준비작동식밸브인 Pre-action Valve가 개방되는 시스템이다. 그런데 새벽시간대에 감지기가 작동하여 경종이 울어대니 만약 감지기의 오작동인 경우 항의성 민원이 불보듯 뻔해서 감지기와 밸브가 연동이 되지 않도록 스위치를 조작했다는 것이다.

3. 습식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되었더라면

. 습식스프링클러설비의 시스템적 특징

습식스프링클러설비는 감지기와 상관없이 헤드가 열을 감지하면 개방이 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위의 경우처럼 감지기가 작동하여 경종이 울려서 이를 끈다고 하여도 습식 알람밸브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즉 감지기와 관련된 경종 스위치나 연동정지 스위치를 조작한다 해도 화재로 인해 헤드가 감열되면 소화수가 방수된다는 의미이다.

 

. 습식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 대응성

이렇게 지하주차장에 습식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되었더라면 소화수는 방수되었을 것이고 화세의 확산은 더디게 이루어졌을 것이다. 그 사이 도착한 소방대가 지하주차장에 진입하여 화재가 발생한 전기차량에 대한 진화작업을 시도 가능했을 것이다.

 

. 현장에서 습식스프링클러설비를 사용하지 않으려는 이유

습식스프링클러설비가 간단하고 작동하는데 신뢰성이 좋다는 것을 알면서 왜 현장에서는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려는 것일까? 그것은 겨울철 동파의 우려 때문이다. 습식은 알람밸브 2차측 배관에도 항상 소화수가 충만해 있기 때문에 겨울철에는 난방 또는 보온조치를 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 배관에 열선이나 메탈히터 등을 설치해야 하는 추가 비용이 들어가야 하고 비상전원의 용량 또한 늘어나 경제적으로 부담이 된다는 것이다.

4. 성능위주설계에서는 지하주차장에 모두 습식스프링클러 적용

. 지하주차장 전체에

성능위주설계를 해야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지하주차장에는 대부분 습식스프링클러설비를 적용하는 추세이다. 지하 3층 이하의 층에 적용하던 것을 이제는 지하층 전체에 적용하는 추세이다. 청라아파트 화재를 계기로 습식스프링클러설비를 사용하려는 설계는 더 많은 지하주차장에 적용되고 있다.

 

. 전기차 전용구역에는

특히 전기차 전용구역이 있는 곳에는 습식스프링클러설비에 K-factor 115이상의 헤드를 설치하도록 하는 등 더 강화된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그 이유는 단위 면적당 살수밀도를 18.4/min이상으로 유지하려는 것이다. 그래서 지하주차장에서는 습식스프링클러설비와 동결방지를 위한 보온이라는 새로운 화두가 생겨나게 되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글 내용 중에 제가 잘못 생각하고 있는 부분이 있거나

더 좋은 의견이 있으시면, 댓글로 저를 일깨워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