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화재탐지설비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경계구역 설정 방법

반응형
728x170

1. 경계구역 설정의 기본 원칙

 

경계구역 설정 기본 원칙

 

. 하나의 건축물을 기준으로 설정한다.

경계구역은 하나의 건축물을 기준으로 설정하여야 한다. 하나의 대지 내에 두 세개의 건물이 존재하는 경우 건축물의 규모나 면적이 작다고 하여 다수의 건물을 묶어서 하나의 경계구역으로 설정하면 안된다. 화재 발생시 수신기에서의 화재창 점등 상황을 보고 뛰어나간 관계인은 다수의 건물들 중에 어떤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 하나의 층을 기준으로 설정한다.

하나의 건축물에서도 하나의 층을 기준으로 경계구역을 설정해야 한다. 이 역시 화재 층을 정확하게 빠르게 인지할 수 있기 위해서이다. 단서에 500이하의 범위 안에서는 2개의 층을 하나의 경계구역으로 할 수 있다고 하지만, 실제 실무에서는 무조건 하나의 층을 기준으로 경계구역을 설정하는 것이 좋다.

 

 

2. 수평적으로 구획하여 설정하는 방법

 

경게구역의 면적과 한변의 길이

 

. 면적별로 설정하는 방법

경계구역을 수평으로 구획한다는 의미는 일정한 면적 이하로 경계구역을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정 범위 내를 하나의 경계구역으로 설정해 놓아야 화재가 발생한 구역을 특정지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규정에서는 600이하로 하나의 경계구역을 설정하되 한 변의 길이는 50m 이하로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

 

. 방화구획에 맞추어 설정하는 방법

해당 면적이 한눈에 보이는 큰 규모의 공간(공장 또는 창고 등)일 수도 있으나, 대부분은 해당 면적 이내에 다수의 실이 설치된 경우가 더 많을 것이다. 이 경우 바닥면적 1,000이내로 구획해야 하는 방화구획 규정이 적용되어 방화구획이 설정되는 범위에 맞추어 경계구역을 설정하는 방법이 있다.

3. 수직적으로 구획하여 설정하는 방법

 

수직 통로에 대한 경계구역 설정

 

수직적으로 구획하여 설정하는 것 역시 방화구획과 상당한 연관이 있다. 계단이나 경사로, 엘리베이터 승강로, 각 덕트나 피트 등은 건물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이러한 곳은 연기의 수직 상승로가 되기 때문에 다른 부분과 별도의 방화구획을 설정해야 하는 곳이다.

 

 

4. 경계구역 선정시 다르게 적용하는 사항

 

경계구역의 설정의 예외

 

. 경계구역의 면적에 산입하지 않는 경우

외기에 면하여 상시 개방된 부분이 있는 차고주차장창고 등의 경우를 말한다. 이때에는 외기에 면하는 각 부분으로부터 5m 미만의 범위 안에 있는 부분은 경계구역의 면적에 산입하지 않는다. 열 또는 연기가 발생하더라도 외기 기류의 영향을 받아 유효하게 화재감지를 할 수 없어서 감지기를 설치하는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 자동소화설비의 방호구역과 동일하게 설정하는 경우

스프링클러설비물분무등소화설비 또는 제연설비의 화재감지장치로서 화재감지기를 설치해야 한다. 이때에는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위한 화재감지기이지만, 자동소화설비나 제연설비의 작동을 위한 화재감지기가 되기도 한다. 이런 경우 자동화재탐지설비에서 사용하고 있는 경계구역은 해당 소화설비의 방호구역 또는 제연구역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글 내용 중에 제가 잘못 생각하고 있는 부분이 있거나

더 좋은 의견이 있으시면, 댓글로 저를 일깨워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