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스프링클러설비

가지배관에서 스프링클러헤드 접속배관 분기 방법 헤드 접속배관은 가지배관 상부에서 분기해야 한다. 가. 수조 및 배관에서의 이물질 발생 소화수조는 수조의 가장 아랫부분에 존재하고, 청소를 자주 시행하지 않으면 수조 바닥에 이물질이 쌓인다. 기간이 경과한 후드밸브를 보면 각종 이물질에 의해 잘 닫히지 않을 정도로 이물질이 끼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펌프에 이르는 흡입측 배관에서 스트레이너를 통해 걸러진다 하더라도 결국 배관 내에는 각종 이물질들이 천천히 유입되는 것이다. 나. 헤드 방향의 배관에 이물질 침착 방지 가지배관의 상부에서 분기하라는 의미는 가지배관에서 헤드로 물이 흐르는 통로를 가지배관의 상부를 통하여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소화수의 흐름 방향이 가지배관의 상부이므로, 물의 흐름이 정지되면 이물질은 헤드 방향으로 가지 않고 가지배관 쪽에.. 더보기
패들형 유수검지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교차배관의 구경 패들형 유수검지장치 가. 패들형 유수검지장치란 패들형 유수검지장치(Paddle Type Alarm Valve)란 배관 내부 소화수의 흐름에 의하여 패들(Paddle)이 움직이고 접점이 형성되면 신호를 발하는 유수검지장치를 말한다. 알람밸브는 신호를 발하게 되는 요인이 소화수의 인입에 의한 압력이 압력스위치를 작동하는 것이지만, 패들형 유수검지장치는 배관 내 유수의 흐름을 인식하여 신호를 발신하는 것이다. 나. 패들형 유수검지장치의 주요 특징 ① 유수의 흐름을 감지한다. 배관에서 유수의 흐름이 발생하면 배관 내에 설치된 패들이 유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점점을 형성하는 것이다. 점접을 형성하는 방법이 크게는 자력을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로드핀에 의한 리미트스위치를 작동하는 방법이 있다. ② 지연타이머를 가.. 더보기
스프링클러설비 교차배관의 관경이 40mm 이상인 이유 교차배관의 설치 방법 가. 가지배관과 수평 또는 가지배관 밑에 설치한다. 기본 방향은 교차배관을 가지배관보다 아래에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원칙적으로는 교차배관은 가지배관보다 아래에 설치하여야 한다. 그런데 교차배관의 관경이 더 크고 가지배관의 관경이 더 작기 때문에, 교차배관의 측면에서 가지배관이 분기되는 것을 감안하여 측면 분기를 인정하였다. 나. 교차배관을 가지배관 보다 낮게 설치하는 이유 배관 내부에서는 시간이 지날수록 슬러지 등 이물질이 발생한다. 헤드가 막히지 않도록 이러한 이물질들을 주기적으로 제거해 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교차배관을 가지배관보다 더 낮게 설치하려는 이유는 배관 내 슬러지의 침착 방지와 청소구를 통한 제거를 원활하게 하기 위함인 것이다. 교차배관의 구경 가. 담.. 더보기
스프링클러설비 교차배관의 설치 스프링클러설비에서 등장하는 교차배관 가. 교차배관이란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103) 제3조(정의) 제18호에서 교차배관에 대한 정의를 규정하고 있다. “교차배관”이란 가지배관에 급수하는 배관을 말한다. 가지배관은 스프링클러 헤드가 설치되어 있는 배관을 말한다. 그러므로 교차배관이란 헤드가 설치된 가지배관에 급수하는 배관을 말한다고 할 수 있다. 나. 교차배관은 급수배관인가? 교차배관도 급수배관의 하나다. 급수배관이란 수원이나 송수구 등으로부터 소화설비에 급수하는 배관을 말하기 때문이다. 즉 스프링클러설비의 수원이나 옥외 송수구로부터 헤드에 소화수를 급수하는 배관에 해당하므로 급수배관이다. 물론 수평주행배관이나 헤드가 직접 설치되는 가지배관도 급수배관에 해당한다. 가지배관과 교차배관을 .. 더보기
한쪽 가지배관에 8개 이상의 헤드를 설치할 수 있는 경우 한쪽의 가지배관에 설치할 수 있는 헤드 수 가. 한쪽 가지배관에는 8개 이하의 헤드를 설치할 수 있다. 한쪽 가지배관이란 교차배관에서 분기되는 기점을 중심으로 하는 한쪽 방향의 가지배관을 말한다. 트리형 배관 방식에서는 교차배관을 중심점으로 해서 양쪽으로 가지배관이 설치된다. 이 중 하나의 방향에 설치된 가지배관에 설치할 수 있는 헤드 수를 8개 이하로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나. 헤드의 수를 8개 이하로 제한하는 이유 ① 가지배관을 포함한 급수배관은 담당하는 헤드 수에 따라 관경이 변화하게 된다. 담당하는 헤드 수가 많아질수록 관경이 커지게 되는데 이로 인한 살수장애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급수 배관의 관경이 커질수록 교차되는 곳에서는 Shadow Effect에 의한 살수장애 현상이 나.. 더보기
스프링클러설비의 가지배관은 토너먼트 배관 방식이 아니어야 한다. 토너먼트(Tournament) 배관 방식 가. 토너먼트 배관 방식이란 토너먼트 배관 방식은 수원(소화약제 저장용기) 또는 유수검지장치에서 각 헤드에 이르는 경로가 모두 동일한 거리를 갖도록 하는 방식이다. 거리를 동일하게 설정하면서 동시에 사용하는 배관 및 관이음쇠도 동일한 수량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각 헤드에 이르는 마찰손실이 동일하여 각 헤드에서의 방수압력과 방수량을 균일하게 설계할 수 있다. 나. 가스계 소화설비의 배관 이는 가스계 소화설비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식이다. 가스계 소화약제가 배관에서 액상과 기상이 혼합되어 흐르는 2상계 흐름(Two-Phase Flow) 특성이 있어서 마찰손실 계산이 복잡하다. 그런데 토너먼트 배관 방식은 방호공간 내에 설치한 각 분사헤드까지의 마찰손실이 동일하게 되.. 더보기
스프링클러설비 급수배관 구경 산정시 기준개수를 적용하면 안되는 이유 기준개수를 급수배관 구경에 적용하면서 혼선 발생 가. 기준개수 개념의 재등장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하나의 방호구역에 헤드가 200개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기준개수의 헤드만 개방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므로 모든 급수배관의 구경은 65mm면 될 것이다는 생각이 들 수 있다. 급수배관의 구경을 산정할 때 기준개수라는 개념을 동시에 연결시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나. 기준개수에 따른 급수배관의 구경 적용 즉 헤드는 200개 이지만, 결국은 기준개수에 해당하는 30개의 헤드만 개방될 것이잖아? 이런 식으로 말이다. 그렇다면 규약배관 규정이 존재하는 필요성은 무엇인지, 그리고 만약 기준개수에 의해 계산된 배관의 구경을 전체 급수배관의 구경에 적용하였을 때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알아보자. 규약배관에서 급.. 더보기
스프링클러설비의 기준개수와 급수배관 구경과의 관련성 기준개수와 급수배관의 구경 가. 기준개수의 등장 스프링클러설비를 공부하면서 많이 혼동하는 것 중의 하나가 기준개수에 대한 개념 때문이다. 폐쇄형 헤드를 사용하는 경우 기준개수가 등장하게 되는데 이 개념이 제대로 정리되지 않으니 나중에 급수배관의 구경을 산정하는 상황에서도 혼동이 오는 것이다. 나. 기준개수 적용상의 혼동 사실 기준개수는 수원의 양과 펌프의 성능을 정하는데 깊은 관계가 있다. 그리고 급수배관의 구경은 별도의 표를 통해 규약배관 방식과 수리계산 방식으로 산정한다. 이렇게 따로 생각하면 되는데 급수배관의 관경을 산정할 때 기준개수가 다시 등장하면서 문제가 생긴다. 기준개수를 적용하는 이유 가. 방호구역의 모든 헤드가 개방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방호구역의 최대 면적은 3,000㎡까지 가능하다.. 더보기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