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클러설비 썸네일형 리스트형 스프링클러설비에 설치하는 수직배수배관 스프링클러설비의 수직배수배관 가. 수직배수배관이란 수직배수배관이란 스프링클러설비의 작동과 유지 관리를 위해 설치하는 배수배관이다. 수직배수배관은 건물의 전체 층에 걸쳐 수직으로 설치된다. 화재로 인한 스프링클러설비 작동 이후의 배관에 남아있는 물을 배수할 필요가 있거나, 설비의 작동점검 또는 일부 부품의 교체를 위해 배관의 물을 배수할 필요가 있을 때 활용되는 배관이다. 나. 수직배수배관에 대한 제한 특성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성능기준이나 화재안전기술기준에서 수직배수배관에 대한 규정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이 조항에서 최소 구경에 대한 규정만 존재할 뿐이다. 그 이유는 수직배수배관은 특성상 배관 내부에 가압수가 흐르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압력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배관을 규정하는 조항에서도 .. 더보기 스프링클러설비 배관에 설치하는 행거 설치 기준 스프링클러설비에서는 배관에 행거를 설치하여야 한다. 행거는 배관을 벽이나 천장에 매달아서 단단히 고정하기 위해 설치하는 구조물이다. 행거(Hanger)를 현장에서는 편의상 행가로 표현하기도 한다. 행거를 설치하는 이유 가. 배관 자체 하중을 지지 방호구역 또는 방수구역에 설치되는 배관은 대부분 천장을 통해 설치된다. 따라서 그 자체의 중량과 내부 충만된 소화수의 무게에 의해 아래로 쳐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그래서 배관이 하중에 의해 아래로 쳐지지 않도록 벽이나 천장에 안전하게 고정시켜 주는 것이 행거를 설치하는 주목적이다. 나. 수격 현상(Water Hammering)에 대비 스프링클러설비는 가압송수장치인 펌프가 기동하거나 정지할 때 발생하는 수격 현상(Water Hammering)이 존재한.. 더보기 스프링클러설비에서 시험장치 설치 방법 시험장치 배관의 구경과 헤드 가. 시험장치 배관의 구경은 25mm 이상이어야 한다. 시험장치에 사용되는 배관의 구경은 25m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그 시험장치 배관의 구경이 25mm 이상이어야 하는 이유는 헤드 하나 또는 두 개를 담당하는 말단 가지배관의 구경이 최소 25mm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헤드 하나가 개방되는 효과를 주기 위해 말단 가지배관의 구경과 동일한 25mm 이상이 되는 배관 구경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나. 시험장치 끝에 설치하는 헤드 또는 오리피스 시험장치 말단에는 끝이 개방되어 있는 개방형 헤드를 설치하거나 스프링클러헤드와 동등한 방수성능을 가진 오리피스를 설치한다. 이 경우 개방형 헤드를 설치하는 경우 반사판 및 프레임을 제거한 오리피스만으로 설치할 수 있다. 결국 개.. 더보기 건식 스프링클러설비에서 시험장치를 설치하는 위치 건식 스프링클러설비에서 시험장치의 설치 목적 가. 시험장치 설치 목적 건식 스프링클러설비에서 시험장치를 설치하는 목적은 헤드가 개방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켜보기 위해서이다. 그래서 헤드가 개방되면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시간, 유수검지장치의 정상적 개방 여부, 경보의 작동, 가압송수장치의 정상 기동 여부를 점검하려는 것이다. 결국 스프링클러설비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를 점검하는 것이다. 나. 헤드가 개방되는 것과 동일한 효과 설정 ① 건식 프링클러에서 가지배관의 헤드가 개방되면 제일 먼저 건식유수검지장치 2차측 배관에 충만되어 있던 압축공기가 개방된 헤드를 통해 빠져나가야 한다. 화재 발생 초기에는 폐쇄형 헤드 하나 또는 두 개가 개방될 것이므로 시험장치를 개방해서 헤드 하나가 개방된 효과를 설정하는 .. 더보기 습식 및 부압식 스프링클러설비에서 시험장치를 설치하는 위치 시험장치 설치 위치 가. 유수검지장치 2차측 배관에 설치 습식 스프링클러설비 및 부압식 스프링클러설비는 유수검지장치 2차측 배관에 연결하여 설치한다. 시험장치의 설치 위치는 유수검지장치 2차측 배관이라고만 규정하고 있고, 더 이상 설치 위치를 특별하게 한정하고 있지는 않고 있다. 나. 2차측 배관이 가압수 또는 부압수로 채워져 있다. 습식 스프링클러설비 및 부압식 스프링클러설비는 유수검지장치의 2차측 배관이 소화수로 채워져 있다. 습식 스프링클러설비의 알람밸브 2차측 배관에는 가압수가 충만되어 있고, 부압식 스프링클러설비의 프리액션밸브 2차측 배관에는 음압의 부압수가 채워져 있다. 설치장소의 제한과 관련된 규정의 변화 가. 공기 흡입에 따른 배관의 부식 우려 그런데 많은 건물에서 볼 수 있듯이 기존의 경.. 더보기 스프링클러설비에서 시험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대상 시험장치란 가. 스프링클러설비에서 시험장치란 시험장치는 시험밸브 함, 압력계, 시험밸브, 개방형 헤드 또는 오리피스로 구성된 장치이다. 시험장치는 스프링클러설비가 원활하게 작동하는지를 시험하기 위해 유수검지장치의 2차측 배관 또는 가지배관의 말단에 설치하는 장치이다. 나. 시험장치의 역할 시험장치를 개방하면 2차측 배관의 소화수가 방출되거나 압축 공기가 방출되도록 하여 헤드 하나가 개방된 것과 동일한 상황을 만들 수 있다. 실제로 헤드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헤드가 개방되는 상황 즉 화재가 발생한 상황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시험장치는 화재가 발생한 상황과 동일한 효과를 만들어내는 역할을 한다. 다. 시험장치 설치 목적 시험장치를 설치하여 시험하는 목적은 유수검지장치를 직접 개방시켜보기 위함이다.. 더보기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 또는 일제개방밸브 2차측에 설치하는 배수배관 배수배관의 설치 가. 2차측 배관에 존재하는 물의 배수 개폐표시형 밸브와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Pre-action Valve) 또는 일제개방밸브(Deludge Valve) 사이에 배수배관을 설치하여야 한다. 이는 프리액션밸브 및 일제개방밸브 2차측 배관에 존재하는 물을 배수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배관 내에 존재하는 물을 배수해야 하는 이유는 겨울철에 동결의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나. 개폐밸브를 설치하고 폐쇄된 상태로 유지 배수배관은 수직배수배관으로 연결하고, 해당 배관 상에는 개페밸브를 설치하되 항상 폐쇄된 상태로 유지시켜야 한다. 평상시 해당 밸브를 개방시켜 놓으면 실제 화재시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나 일제개방밸브가 개방되는 경우 소화수가 2차측 배관으로 가기보다는 곧바로 배수배관을 통.. 더보기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 또는 일제개방밸브 2차측의 개폐표시형 밸브 개폐표시형 밸브 설치 가. 개폐표시형 밸브를 설치해야 하는 대상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 및 일제개방밸브를 사용하는 스프링클러설비의 경우에 해당한다. 물론 습식 알람밸브 및 건식 밸브의 경우에도 개폐표시형 밸브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 조항은 특별히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와 일제개방밸브의 2차측에 대해 규정하는 조항이므로 두 개의 밸브만 언급되어 있을 뿐이다. 나. 개폐표시형 밸브를 설치하는 위치 프리액션밸브(Pre-action Valve)의 2차측 또는 일제개방밸브(Deludge Valve)의 1차측 및 2차측 모두에 개폐표시형 밸브를 설치해야 한다. 그런데 이 조항은 밸브의 2차측에 설치하는 부대설비에 대해 언급하는 규정이므로, 위 처럼 규정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마치 2차측에만 설치하라는 것으로 이해.. 더보기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