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거실 제연설비에서 연기의 제어 방법
가. 거실 제연설비의 특징
거실 제연설비는 화재실을 대상으로 한다는 특징이 있다. 화재실에 급기와 배기를 통해 연기를 배출하거나 희석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거실 제연설비는 건물 내부에서 대피자의 수평피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 청결층 유지 방식
① 소방법령에서는 거실을 화재실로 본다. 거실 제연설비라는 것은 화재로 인해 발생한 연기를 기계적 힘으로 배출시키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해당 거실에 부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배출되는 연기량 만큼 신선한 공기를 넣어주는 것이다.
② 그러면 연기는 천장쪽으로 이동하고 신선한 공기가 아래쪽으로 들어와 사람이 활동하고 대피할 수 있는 청결층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면적이 400㎡ 이상인 대규모 거실이거나 인접구역 상호제연방식에서 적용되는 형태이다.
③ 거실 제연(청결층 유지)의 주 목적은 화재실에 청결층을 유지하여 사람들이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것이다.
다. 희석 방식
① 동일한 거실 제연이지만, 희석의 개념으로 사용될 때는 거실의 면적이 400㎡ 미만으로 작은 경우이다. 이때는 하나의 거실에 공기 유입구와 연기 배출구를 동시에 유지한다. 그래서 화재가 발생한 거실에서 연기와 신선한 공기가 뒤섞이겠지만, 이를 감수하면서 배출함으로써 화재실의 연기를 희석시키는 것이다.
② 거실 제연(희석)의 주 목적은 사람이 대피하는데 있어 연기의 농도를 저하시켜 가시거리를 확보해 줌으로써 사람들이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2. 부속실 제연설비에서 제어 방법
가. 부속실 제연설비의 특징
부속실 제연설비는 계단실 또는 부속실을 대상으로 한다는 특징이 있다. 제2차 안전공간인 부속실과 제3차 안전공간인 계단실을 급기 가압함으로써 화재실에서의 연기가 안전공간으로 침입하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부속실 제연설비는 건물 내부에서 대피자의 수직피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 계단실 또는 부속실 제연 방식
①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또는 부속실을 급기가압하여 거실과 차압을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계단실 또는 부속실이 가압되어 있으면 피난자가 피난할 때 문을 열더라도 거실의 연기가 방연풍속 때문에 계단실 또는 부속실로 침입하지 못하게 된다.
② 계단실 또는 부속실 제연의 주 목적은 대피자가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도록 피난 안전공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다. 승강장 제연 방식
① 비상용 승강기의 승강장 및 피난용 승강기의 승강장을 급기 가압하여 거실과 차압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거실에서 발생한 화재의 연기가 승강장에 침투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② 승강장 제연의 주 목적은 현장에 도착한 소방대가 소화활동 및 구조활동을 할 수 있도록 청결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글 내용 중에 제가 잘못 생각하고 있는 부분이 있거나
더 좋은 의견이 있으시면, 댓글로 저를 일깨워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거실제연설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수시설의 경우 제연설비 설치대상 (1) | 2025.04.01 |
---|---|
제연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대상 (0) | 2025.03.26 |
화재시 건물에 연기가 확산되는 원인 (0) | 2025.03.18 |
제연설비는 연기를 제어하는 설비이다. (0) | 2025.03.13 |
거실 제연설비의 역할과 목적 (0)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