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사항은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에서 발간한 「전기차 충전・주차구역 화재예방 및 대응 매뉴얼」에서 발췌한 내용이다. 이는 현장에 도착한 소방대원이 행동해야 할 매뉴얼이 아니다. 건물을 관리하는 관리자 또는 건물에 거주하는 입주민이 전기차량 화재시 초기에 신고, 피난, 대응할 수 있도록 만든 행동 요령이다. 소방관서 신고시 전달해야 할 정보, 화재시 입주민 피난대피 방법, 화재시 소방관서 협력 방법에 대해 대응 요령을 설명하고 있다.
1. 소방관서 신고시 전달 정보
가. 일반 화재와 전기차 화재의 대응 방법이 다르므로, 전기차 화재임을 알리고 화재장소 위치와 차량 등에 대한 주요 정보를 전함
나. 1차 정보를 제공한 이후, 추가 정보를 준비
다. 핸드폰으로 다른 통화를 하지 않고, 추가 통화에 대비
라. 화재 장소에 대한 도면과 주변의 특시 사항, 위험물 등에 대한 내용을 준비 전달
마. 수신기의 화재상황 및 피난계단 위치, 거주인원 등 정보 등을 전달하여 인명구조 사항을 돕고 소방관의 대피 동선 계획에 도움
2. 화재시 입주민 피난대피 방법
가. 전기차 화재는 급격히 성장할 수 있어, 즉시 피난할 수 있도록 조치
나. 무조건 대피보다는 거주자의 위치 등 상황에 맞게 살펴서 대피
- 복도 등에 연기가 차 있을 경우, 구획된 안전한 장소에서 119로 구조 요청
다. 대피를 위하여 옥상문을 개방하고, 피난계단 등을 이용하여 대피
라. 방화문은 닫으면서 대피하고, 피난계단 근처에서 구조활동
마. 오프가스 발생시 폭발우려가 많으므로 화재 차량에서 즉시 대피
3. 화재시 소방관서 협력 방법
가. 소방대원이 화재장소까지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 및 장애물 제거
- 소방차 전용 주차구역 확보
나.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 위치 등에대한 건축물 주요 정보 제공
다. 피난인원과 건물 내 미피난자 확인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
- 세대 관리카드 및 비상연락망 정보 등
라. 수원이 부족한 경우 수관연장, 연결송수구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협조
- 연결송수구, 방재실, 펌프실 등 위치 안내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글 내용 중에 제가 잘못 생각하고 있는 부분이 있거나
더 좋은 의견이 있으시면, 댓글로 저를 일깨워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공동주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차 화재시 단계별 대응방법(관리자) (0) | 2025.01.06 |
---|---|
전기차 화재시 피난 및 대응요령(입주민) (4) | 2024.12.27 |
전기차 화재시 대응요령(관리자) (1) | 2024.12.26 |
전기차 전용구역에 필요한 수원의 계산과 적용 (0) | 2024.12.20 |
전기차 전용주차구역의 스프링클러헤드 K factor별 살수밀도의 비교 (1) | 2024.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