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배연구 및 배연풍도
가. 불연재료로 설치
배연구 및 배연풍도는 불연재료로 설치하여야 한다.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는 고온이 형성된 상태로 부력을 가지고 상부로 이동한다. 이동하면서 다소 온도가 낮아지기는 하지만 계속적으로 축적되는 연기는 고온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배연구와 배연풍도는 불연재료로 설치하여야 고온의 연기를 감당해 낼 수 있다.
나. 배연구 및 배연풍도의 설치 방법
배연구 및 배연풍도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 축적되는 연기를 원활하게 배연시킬 수 있는 규모로 설치하여야 한다. 그리고 외기 또는 평상시 사용하지 아니하는 굴뚝에 연결하여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어야 한다.
2. 배연구의 개폐 방식
가. 수동개방장치 또는 자동개방장치 설치
① 배연구는 열감지기 또는 연기감지기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화재감지기가 작동했다는 것은 곧 화재를 의미하므로 배연구가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어야 함은 중요한 일이다.
② 배연구는 수동개방장치를 설치하여 손으로도 열고 닫을 수 있어야 한다. 손을 사용하여 직접 밀고 닫고 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손으로 스위치를 조작하여 배연구가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나. 평상시 닫힌 상태 유지
배연구는 평상시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화재감지기의 작동 또는 수동조작스위치의 작동으로 인해 개방된 경우에는 외부의 기류에 의해 저절도 닫히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 배연기 설치
가. 배연구가 외기에 접하지 아니하는 경우
배연구는 외기 또는 평상시 사용하지 아니하는 굴뚝에 연결하여야 한다. 그런데 배연구를 설치해야 하는 특별피난계단이나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이 건물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외기에 직접 면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때에는 배연구에 배연기를 설치하여 외기에 이르는 곳까지 연기를 반강제적으로 빼주어야 한다.
나. 배연기의 작동
이렇게 설치하는 배연기는 화재감지기 또는 수동식 개방장치에 의해 배연구가 열리면 배연기도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화재감지기에 의한 배연구의 열림은 곧 화재상황임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수동으로 배연구를 개방하는 경우에도 배연기는 작동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다. 예비전원 설치
배연기에는 예비전원을 설치해야 한다. 화재로 인해 건물이 정전이 되면 배연기에 이르는 상용전원이 차단된다. 그러면 배연구가 열리더라도 외기에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아 배연능력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배연기에는 예비전원을 연결하여 화재시라도 동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4. 배연설비 대신 제연설비 설치
특별피난계단 및 비상용승강기 승강장에 설치해야하는 배연설비 대신 소방법령에 의한 제연설비를 설치할 수 있다. 소방법령에서는 특별피난계단 및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에 덕트를 활용하여 계단실 및 부속실 등의 급기가압방식 또는 급배기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므로 연기의 부력을 이용한 자연배기가 아닌 차압을 활용한 연기의 침입방지와 배출구를 활용한 유입공기 배출을 실시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기 때문에 제연설비가 설치되면 배연설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글 내용 중에 제가 잘못 생각하고 있는 부분이 있거나
더 좋은 의견이 있으시면, 댓글로 저를 일깨워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건축법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관 진입창의 층수 적용 (3) | 2024.05.28 |
---|---|
건축물에 설치해야 하는 소방관 진입창 (2) | 2024.05.27 |
배연설비에서 배연구의 설치 방법 (34) | 2024.05.22 |
배연설비에서 배연구의 설치 (4) | 2024.05.21 |
배연창의 형태별 유효면적 산정 기준 (9) | 2024.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