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습식 스링클러설비 알람밸브의 알람스위치 오동작 방지를 위한 구성 압력스위치 배관의 구성 가. 압력스위치 배관 구성 습식 스프링클러설비를 구성하고 있는 압력스위치(Pressure Switch)는 알람밸브의 뒤쪽에 위치하고 있다. 정면에서는 1차측 압력계와 2차측 압력계가 먼저 눈에 띄지만, 알람밸브 뒤쪽으로 돌아가보면 T자 배관이 보인다. T자 배관의 좌측은 압력스위치로 연결되어 있고, 오른쪽으로는 배수배관(Drain Pipe)으로 연결되어 있다. 나. 클래퍼 하부에 압력스위치 배관 연결 알람밸브(Alarm Valve)의 클래퍼는 평상시 닫혀 있게 된다. 그래서 클래퍼가 평상시에는 압력스위치로 연결되는 배관의 입구를 닫고 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 그러다가 헤드가 개방되면서 2차측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면 1차측의 힘으로 클래퍼가 열리게 되는데, 이때 소화수가 압력스위치에.. 더보기 습식 스프링클러설비의 주요 구성 요소 습식 유수검지장치(Alarm Valve) 가. Alarm Valve(Alarm Check Valve) 습식 유수검지장치는 Alarm Valve 또는 Alarm Check Valve라고 부른다. 클래퍼가 열리면서 압력스위치가 접점을 이루고 경보(Alarm)를 발한다고 해서 Alarm Valve라는 명칭이 생겼다. 또한, 클래퍼는 2차측 방향으로만 열리고 물의 흐름이 정지하면 자동으로 닫혀서 1차측으로는 물이 흐르지 못하도록 한다고 해서 Check Valve라는 별칭이 생겼다. 나. 클래퍼(Clapper) ① 클래퍼의 본래 역할(Check Valve : 2차측 배관의 압력 유지) Alarm Valve 내부에는 1차측과 2차측을 구분하는 원형판이 있는데 이를 클래퍼(Clapper)라고 부른다. 평상시에는 1차.. 더보기 습식 스프링클러설비(Wet Pipe Sprinkler System) 습식 스프링클러설비란 가. 용어 정의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제3조(용어의 정의)를 살펴보자. 습식 스프링클러설비란 가압송수장치에서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까지 배관 내에 항상 물이 가압되어 있다가 화재로 인한 열로 폐쇄형 헤드가 개방되면 배관 내에 유수가 발생하여 습식유수검지장치가 작동하게 되는 스프링클러설비를 말한다. 나. 습식 스프링클러설비의 주요 구성 습식 스프링클러설비는 다른 스프링클러설비에 비해 가장 간단한 구성을 이루고 있다. 습식유수검지장치인 Alarm Valve를 설치하고, 2차측 배관에는 가압수가 충만되며, 폐쇄형 헤드가 설치된다. 클래퍼가 개방되었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한 압력스위치가 있고, 압력스위치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리타딩챔버가 설치된다. 그리고 유수검지장치.. 더보기 유수검지장치의 종류 및 작동 특성 비교 스프링클러시스템 및 유수검지장치 작동방법 비교 유수검지장치의 종류 가. 화재안전기준에서 정하는 스프링클러시스템 우리나라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에서는 총 5가지의 스프링클러시스템을 규정하고 있다. 습식, 건식, 부압식, 준비작동식,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시스템이다. 유수검지장치를 기준으로 1차측에는 모두 소화수가 충만되어 있다. 그런데 2차측은 스프링클러시스템에 따라 각각 내용이 다르다. 나. 2차측 배관과 특징 ① 습식 스프링클러설비는 알람밸브(Alarm Valve) 2차측 배관에도 동일한 압력의 가압수가 존재한다. 그래서 헤드가 개방되면 바로 소화수가 방수되는 형태를 갖는다. ② 건식 스프링클러설비에서 건식밸브(Dry Valve)의 2차측은 대부분 압축공기가 충전된다. 동결의 우려.. 더보기 스프링클러설비의 유수검지장치와 일제개방밸브의 구분 유수검지장치와 일제개방밸브 차이 가. 유수검지장치 유수검지장치는 본체 내의 물 흐름 현상을 검지하여 자동으로 신호 또는 경보를 발하는 장치를 말한다. 유수검지장치의 종류로는 습식유수검지장치(패들형유수검지장치 포함), 건식유수검지장치, 준비작동식유수검지장치가 있다. 유수검지장치와 연결되어 설치되는 스프링클러헤드의 종류는 폐쇄형헤드이다. 나. 일제개방밸브 일제개방밸브도 큰 범주로 보면 유수검치장치의 일종이다. 경보를 발하는 방식은 감지기의 감지에 따라 해당 구역과 수신반에서 경보를 발하므로 준비작동식유수검지장치와 유사하다. 다만, 설치되는 헤드가 폐쇄형 헤드가 아닌 개방형 헤드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므로 유수검지장치와 별도로 규정하고 있을 뿐이다. 유수검지장치와 일제개방밸브를 별도로 구분하는 이유 유수검지.. 더보기 감열체의 반응시간지수(RTI)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구분 스프링클러헤드 감열체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열체란 스프링클러 헤드에서 열을 감지하는 부품을 말하는데, 헤드의 끝을 감열체가 막고 있는 형태이다. 따라서 헤드까지는 소화수가 도달해 있더라도 감열체가 헤드의 끝을 막고 있어서 물이 방수되지 못한다. 화재로 인한 화열을 감지하여 감열체가 헤드로부터 떨어져 나가면 비로소 물이 방수되는 것이다. 반응시간지수(RTI) 가. 반응시간지수란 반응시간지수(RTI. Response Time Index)란 기류의 온도, 속도, 작동시간에 대하여 스프링클러 헤드 감열체의 반응을 예상한 지수를 말한다. 이를 다시 말하면 감열체가 개방되기 위해 필요한 열을 주위로부터 얼마나 빨리 받아들이는지를 나타내는 값을 반응시간지수라고 한다. 나. RTI 값에 따른 헤드의 분류 반응시간지수인 .. 더보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종류 헤드의 개방 여부에 따른 구분 가. 개방형 헤드 개방형 스프링클러 헤드란 감열체 없이 방수구가 항상 열려져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말한다. 쉽게 말해 헤드가 막혀있지 않아서 물이 도달하면 바로 방수될 수 있는 조건을 가진 헤드이다. 개방형 헤드를 설치하는 목적은 화재 확산 속도가 빠른 곳이어서 일시에 다량의 물이 방수되어야 할 특성이 있는 곳을 방어하기 위함이다. 나. 폐쇄형 헤드 일반 건물 천장에서 볼 수 있는 대부분의 헤드는 폐쇄형 헤드이다.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란 정상상태에서 방수구를 막고 있는 감열체가 일정 온도에서 자동적으로 파괴·용해 또는 이탈됨으로써 방수구가 개방되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말한다.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헤드 끝을 감열체가 막고 있는 형상이어서 소화수가 방수되지 않는다. 감열체가 .. 더보기 옥내소화전설비에서 고가수조의 자연낙차수두 구하기 문제의 제기 가. 질문 사항 하나의 층마다 옥내소화전 방수구는 2개씩 설치되어 있다. 옥내소화전설비의 수원으로 고가수조를 사용할 때, 고가수조에 필요한 자연낙차 수두(m)를 구하시오 나. 고가수조를 활용한 옥내소화전설비의 설계 ① 옥내소화전설비 최상층 방수구의 설계 방수량 : 130ℓ/min 이상, 최상층 방수구의 방수압력 : 0.17Mpa 이상 ② 각 방수구마다 15m 길이의 마제호스 2본을 사용한다. 또한 호스 100m당 마찰손실수두는 다음과 같다. 구분 40mm 50mm 65mm 마호스 고무내장호스 마호스 고무내장호스 마호스 고무내장호스 130ℓ/min 26m 12m 7m 3m - - 350ℓ/min - - - - 10m 4m ③ 직관 100m당 마찰손실수두 구 분 130(LPM) 260(LPM) .. 더보기 이전 1 ··· 40 41 42 43 44 45 46 ··· 103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