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결송수관설비

연결송수관설비 송수구의 송수압력범위 규정에 대한 보완 필요 의견

728x90
반응형

송수구에는 송수압력범위를 표시할 것

 

송수압력범위 표시

. 송수압력범위란

옥외에 설치되는 송수구(SC, Siamese Connection)에는 송수압력범위를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송수압력범위는 연결송수관설비의 송수구에 소방차가 소화수를 어느 정도의 압력으로 송수해야 하는지에 대한 최소압력과 최대압력의 범위를 의미한다.

 

. 송수압력범위를 표시해야 하는 필요성

화재 건물에 도착한 소방대원은 이 건물의 높이와 깊이를 알 수 없다. 또한 어떤 소화설비가 설치되어 있는지도 판단하기 쉽지 않다. 다급한 상황에 소방대원이 뭔가를 계산해 가면서 송수압력을 설정하는 것은 기대하기 쉽지 않다. 그러므로 각 소화설비의 송수구에 송수압력범위를 표시해 줌으로써 급박한 상황에서도 쉽게 활용할 수 있게 하려는 의도이다.

 

송수압력범위 표시가 없는 경우 소방대원은 당황할 수 밖에 없다.

송수압력범위에 대한 혼란과 적용상의 문제

. 최소압력과 최대압력

송수압력범위에 대한 계산방법이 책마다, 학원마다, 설계사무소마다 각각 의도하는 바가 다르다. 종합해 보면 대부분 최소압력은 가장 낮은 지하층 노즐 선단에서 0.35Mpa 이상의 방수압력이 형성되는 압력을 말한다고 하고 있다. 그리고 최대압력은 최상층 노즐 선단에서의 방수압력이 0.35Mpa 이상 형성될 수 있는 압력이라고 하고 있다.

 

. 이런 방식대로 적용하면 현장에서의 방수압은?

연결송수관설비 송수구에 송수압력범위를 위와 같은 방식으로 표기해 놓는다면 소방대원은 송수압력범위가 매우 넓기 때문에 자신이 방수하어야 할 압력을 스스로 판단하여 송수압력을 결정하여야 한다. 하지만 그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또한 최대압력으로 송수한다 하여도 최상층 방수구 노즐 선단에서는 0.35Mpa이 가까스로 형성될 뿐이다. 만약 표시된 송수압력범위 중에서 소방대원이 선택한 압력이 어느 층에서는 0.35Mpa이 형성되지 않는 압력이 될 수도 있다. 이러면 화재진압은 불가하다.

 

. 그러므로 실제 적용 가능한 최소압력과 최대압력

최상층 노즐 선단에서의 방수압력이 0.35Mpa 나오는 것이 과연 최대압력일까? 나는 이것이 최소압력이라고 생각한다. 최소압력은 해당 건물의 어느 층 방수구 노즐 선단에서도 0.35Mpa 이상의 방수압력이 형성될 수 있는 압력이다. 그리고 최대압력은 최상층 방수구 노즐 선단에서 0.7Mpa(화재안전기준에서 별도로 규정하고 있는 것은 없음)을 넘지 않는 방수압력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압력이라고 생각한다.

화재안전기준에 명시하여야 할 사항

. 현행 화재안전기준을 살펴보면

 

현행 화재안전기준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2) 4(송수구)에서는 송수압력범위를 표시한 표지를 설치하라고만 규정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방식으로 규정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기는 하다. 하지만 어떤 압력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라는 말이 없어서 현실에서 설계와 현장 시공 방법이 상이하게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 현실에서 활용상 문제점

더 문제는 화재 건물에 도착한 소방대원은 잘못 표기된 송수압력범위 표지를 보고 그대로 사용한다는 것이 더 문제이다. 이는 고층부에서 화재진압을 하고 있는 소방대원의 안전에도 직결되는 문제이다. 연결송수관설비 방수구에 호스를 연결하고 아무리 기다려도 노즐에서 소화수가 나오지 않는다면 연결송수관설비의 존재 가치에도 문제가 생기는 일이기 때문이다.

 

. 화재안전기준의 바람직한 규정 방법

따라서 혼란을 막고 현장에서 사용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4(송수구) 6호에 누구나 알 수 있도록 명확한 규정이 필요하리라 본다. 내 생각에 송수압력범위최상층 방수구가 설치된 노즐 선단에서 최소 0.35Mpa 이상의 방수압력이 형성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최대압력은 소방대원의 활동 안전성을 고려해 0.7Mpa이 적당하리라 본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방법의 규정은 어떨까 생각해본다.

 

송수압력범위 기준

-------------------------------------------------------------------------------------------------------------------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 드립니다.

글 내용 중에 제가 잘못 생각하고 있는 부분이 있거나,

더 좋은 의견이 있으시면, 댓글로 저를 일깨워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