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거실제연설비

거실 제연설비에 적용하는 배출풍도의 Aspect Ratio와 상당직경

반응형
728x170

 

 

1. 배출풍도의 크기에 따른 강판의 두께

 

 

 

. 배출풍도의 크기가 클수록 강판의 두께도 커진다.

사각형 배출풍도인 경우 한쪽 단면의 긴 변 또는 원형 배출풍도인 경우 직경의 크기에 따라 강판의 두께가 변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배출풍도의 크기가 커지면 커질수록 배출풍량도 많아질 것이니 배출풍도의 강판도 튼튼한 것을 사용하라는 의미이다.

 

. 긴 변의 길이가 중요한 이유

2.6.2.1 배출풍도의 크기에 따른 강판의 두께를 규정함에 있어 풍도단면의 긴 변의 길이를 따지는 이유가 있다. 긴 변의 길이는 곧 다른 변의 길이와도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긴 변이 있으면 당연히 짧은 변이 있을텐데 서로의 상관성, 즉 두 변의 길이의 비율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 길이의 비율을 Aspect Raio 또는 종횡비라고 부른다.

 

 

 

2. 사각형 풍도의 Aspect Ratio(종횡비)

. 세로 변과 가로 변의 길이 비율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풍도는 두 변을 갖는다. 세로인 변의 길이를 a, 가로인 변의 길이를 b라고 했을 때 이 두변 길이의 비율을 Aspect Ratio라고 부른다. 즉 세로 길이와 가로 길이의 비율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보통 천장에 설치되는 각종 시설물들의 높이를 낮추어야 하는 특성상 가로가 길고 세로가 짧은 형태의 풍도(덕트)가 설치된다.

 

. Aspect Ratio(종횡비)를 부르는 방법

그럼 Aspect Ratio(종횡비)를 어떻게 부르는지 알아보자. 사각풍도에서 세로의 길이는 800mm이고, 가로의 길이도 800mm의 크기라면 이때 Aspect Ratio1 : 1이 된다. 이는 정사각형 풍도의 형태인 경우이다. 그런데 세로의 길이가 600mm이고, 가로의 길이가 800mm인 직사각형 풍도라면 이때의 Aspect Ratio1 : 1.5가 된다.

 

. Aspect Ratio를 알아야 하는 이유

제연설비에서 풍도를 설계할 때에는 Aspect Ratio1 : 2 이상을 넘기지 않도록 노력한다. 그래야 내부 마찰손실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마찰손실이 커지면 커질수록 배출 휀의 정압이 높아져야 하므로 소음, 떨림, 누설 등 좋을 것이 없다. 다만, 도저히 천장고가 낮아 방법이 없더라도 최대 1 : 4 까지만 적용하는 것이 좋다.

3. 원형 풍도의 상당직경

. 상당직경이란?

풍도나 덕트의 형상이 원이 아닌 사각형일 때, 사각형 풍도와 동일한 유체역학적 특성을 갖는 원형 덕트의 지름을 말한다. 즉 사각형 덕트와 동일한 마찰손실을 갖는 원형덕트의 지름을 상당직경이라 한다.

 

. 상당직경을 구하는 공식

 

a : 사각풍도의 긴 변

b : 사각풍도의 짧은 변

deq : 동일한 저항을 갖는 원형풍도의 상당직경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글 내용 중에 제가 잘못 생각하고 있는 부분이 있거나

더 좋은 의견이 있으시면, 댓글로 저를 일깨워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728x90